4월 27일. 한국의 탄생화 / 금난초, 은난초, 은대난초, 복주머니란 등
♧ 4월 27일. 오늘의 역사와 기념일.
* 2018년 - 남북정상회담 (문재인대통령-김정은위원장)
* 1994년 - 넬슨 만델라가 흑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통령에 당선되다
♧ 4월 27일. 한국의 탄생화
* 봄에 개화하는 야생 난초들 : 난초과 7속 31종
* 대표탄생화 : 금난초
* 주요탄생화 : 광릉요강꽃, 복주머니란, 금새우난초, 새우난초, 약난초, 은난초, 은대난초
※ 4월 27일 세계의 탄생화
수련 (Water Lily) → 7월 28일 한국의 탄생화



금난, 은난, 복란의 축복을 받으며 한반도의 평화가 봄처럼 내리시기를.
2018년 4월 27일.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이 있었던 날입니다. 2년 전의 그 감동이 아직도 느껴지는 듯 합니다. 작년 하노이 북미정상회담이 깨지는 바람에 지금은 조금 어색하고 소강 상태이긴 하지만 남북 모두 외세의 방해를 이겨내고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를 이루어 내리라 확신합니다. 촛불로 [혁명]의 씨를 뿌린 위대한 대한의 국민들이 [민주]의 싹을 틔우고 기필코 [평화]의 꽃이 활짝 피어나게 할 것입니다. 그리고 어느 가까운 훗 날에 마침내 [통일]의 열매가 열리라는 기대를 가져봅니다.
남북정상회담 2주기를 축하하는 한국의 탄생화는 4, 5월에 개화하는 [야생난초]들입니다. [난초과]는 850여속에 약 22,000종이 있어 세계적으로는 속씨식물 중에 가장 종류가 많습니다. 현재 한국의 탄생화에 등록된 모든 식물의 개체 수가 버섯, 지의류, 선태식물, 해조류를 포함하여도 9,500여종 이라는 것을 비교하면 정말 어마어마한 양입니다. 대부분 열대지방에 분포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의 난초들은 원예종으로 들어온 서양란을 포함하여 현재 130종의 난초가 한국의 탄생화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이 중 [금난초], [은난초], [복주머니란]을 비롯한 25종의 야생란들이 오늘 한국의 탄생화입니다.
오늘의 대표탄생화인 [금난초]는 [난초과 은대난초속]으로 우리나라의 중부 이남의 산 속에 서식하는 난초입니다. 황금빛 화관을 머리에 이고 고고한 자태를 뽐내는 멋진 아이이지요. 아름다운 횡금꽃망울을 시기, 질투해서인지 꽃말은 [주의와 경계]입니다.

[금난초]와 같은 [은대난초속]의 [은난초]와 [은대난초]의 꽃들도 하얀색의 은은한 꽃망울을 달고 있는 멋진 아이입니다. 야생 분포가 중부지방까지로 알려져 있는데 저는 실제로 한번도 본 적이 없어 아쉽습니다. [은대난초]는 잎이 [은난초]에 비해 가늘고 잎의 길이가 줄기 보다 더 긴 특징이 있습니다. [은난초]의 꽃말은 [총명, 청초한 아름다움]이며 [은대난초]는 [탄생]입니다.


꽃망울에 복이 가득 들어 있을 것 같은 [복주머니란속]에는 멸종위기 2급보호종인 [복주머니란]을 비롯하여 1급보호종인 [광릉요강꽃], [털복주머니란] 등이 있습니다. 자주색의 멋진 복주머니꽃을 품고 사는 복주머니란의 꽃말은 [튀는 아름다움, 숲속의 요정], [털복주머니란]은 [당신의 신발이 되고 싶어요], 경기도 광릉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꽃의 모양이 요강을 닮은 [광릉요강꽃]은 [숲속의 인어]입니다.



[새우난초속]의 난초들도 빼먹을 수 없는데요, 꽃 모양이 새우를 닮았다고 하는데 아무리 봐도 별로 닮지 않았습니다. 연한 갈색과 분홍색이 어우러진 [새우난초]와 황금빛 자대를 뽐내는 [금새우난초], 그리고 이둘의 교잡종인 [한라새우난초] 등이 있습니다.



이밖에도 비자란과 차걸이란은 제주지역에서, 금자란은 제주와 남해안 일부에서 자라는 멸종위기 2급보호종입니다. 이들은 다른 나무에 붙어서 기생하는 착색란으로 겨울에도 잎이 푸르름을 잃지 않는 상록초입니다. 열대지방에 난초들이 많다고 하였지요. 이 열대의 난초들은 우리나라 제주도와 남해까지 그 생활의 영역을 넓힌 것이랍니다.



이 난초들은 워낙 귀한 꽃이다 보니 아직 꽃말이 정해지지 않았답니다. 그래서 비자나무에 기생한다는 황금꽃의 비자란은 널리 번성하라는 의미로 [번성의 꿈], 음습하고 빛이 들지 않는 나무가지에 거꾸로 매달려 겨우겨우 살아가는 차걸이란에는 [고독한 전진], 소나무나 비자나무에 기생하며 자줏빛 얼룩을 가진 잎이 삶의 상처로 느껴지는 금자란은 [화려한 상처]라는 꽃말을 지어주었습니다.
오늘 화려하고 멋진 난초들의 축하속에 한반도의 평화와 겨레의 바람이 이루어지는 특별한 하루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평화. 새로운 시작. 웅비하라. 한민족 한겨레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