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점오염원 저감시설 견학.hwp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견학 정리
* 일시 : 2009년 5월 3일(일) 오후1시30분
* 장소 : 광주와 나주지역의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견학
* 참여 : 현병순, 홍기혁, 이병님, 김희련, 박태규, 류동선, 홍희정, 홍기창, 김춘희
* 안내 : 청신기건 김유미 과장(010-2707-2643), 이영기 현장소장(011-656-4489)
- (광주와 나주의 저감시설 운영) 광주와 나주의 저감시설은 *물환경학회에서 사업을 따내서 * 청신기건에서 유지 관리하고 있으며 * 환경시설관리공사에서 모니터링하고 있다.
* 청신기건 :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설계, 유지관리, 녹조관리를 하고 있는 사업체
- (우리나라 비점오염원저감시설 현황) 비점오염원저감시설은 우리나라에서 시작한 지 얼마 안 되기 때문에 현재 시설의 타당성, 적합성 등을 연구하고 있는 단계이다. 현재 전국에 1,000개 정도의 저감시설이 있는데 대부분 잘 관리가 안 되어 오히려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기도 하다. 오염원총량제로 오염정도를 규제하게 되면서 비점오염원 저감 사업에 뛰어든 기업이 많다.
- (비점오염원) 비점오염원이란 오염원이 나오는 곳을 점을 찍을 수 없이 널려 있는 것을 말하는데(*예: 농사지을 경우 농약을 살포한다면 광범위해서 오염원이 어디서부터 나오는지 정확히 알 수가 없다. 산간지역의 토사, 도심의 경우 타이어가루, 매연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또 폐수처리장 설치가 법적으로 적용안되는 경우이지만 비올 때면 오염원들이 흐르게 된다. 예전에는 점오염원만 잡으면 강의 오염문제를 해결될 줄 알았다. 하지만 그렇게 되지 않았다. 그래서 비점오염원에 신경을 쓰게 되었다) 예를 들어 제철공장의 겨우 일전한 폐수가 안 나오기 때문에 폐수시설을 하도록 되어 있지 않지만 비가 오면 빗물에 씻겨내리는 오염원이 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 전국 강의 오염원 중 비점오염원이 20~50% 정도 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광주천은 발표된 자료에 의하면 비점오염원이 30%정도 되는 것 같다) 도시 내 포장지역이 많아지면서 오염원을 자정할 수 있는 능력이 적어지고 있다. 문제이다. 토양의 경우 토양에 있는 미생물이 오염원을 분해해 주는데 포장을 해 버리므로써 그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 교량은 일반 도로보다 오염농도가 3~4배 정도 더 높은데, 교량을 흐르는 물이 하천에 곧바로 흘러들게 된다면 문제가 된다. 그래서 하천으로 직접 들어가기 전에 흡착이나 필터 등을 거쳐 들어가게 해야 한다.
-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에 대한 이해)
▶ 종류(외국의 경우 잘 구분 안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다음과 같다)
1) 장치형 - 여과형(필터) , 와류형, 미생물처리형, 흡착형
2) 자연형 -저류형(인공습지형), 식생수로형, 침투형 (*자연형은 효과가 아주 좋은 것으로 판단되고 있음)
(한강은 2003년까지 26개 시설 모니터링했었음)
▶ 현재 비점오염물질 처리대상 : 합류식 관거의 경우 하수월류수, 우수관에서 들어오는 물, 초기우수(초기30분~1시간), 평상시 들어오는 물들(예를 들면 축산폐수의 경우이다. 오수는 10ppm인데, 축산폐수는 BOD 120~130ppm이므로 축산폐수는 평상시 들어오는 물들의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하수관시설이 80%정도 갖춰져 있다. 그리고 합류식에서 분류식으로 개조해 가고 있으며, 최근에 설치되는 것들은 모두 분류식이다.
▶ 나주의 시설(여과형, 침투형주차장, 인공습지)은 가동 반년, 광주 상무지구(여과형)는 3~4월에 가동 시작
- (시설 견학) - 영산강유역 5군데.
▶ 광주의 시설 : 여재(발효목편/ 미세여과필터)를 이용한 여과형 시설, 환경시설공단내 장치형설비(문을 들어서면 왼쪽켠에 있음)
° 사업면적 및 특징 - 상무지구1(160ha) + 상무지구2(146ha)의 주거지역(*포장되어 있다는 것, 토사, 중금속도 들어 있음) / 시설규모는 1이 71,280㎡/d, 63,072㎡/d /광주천 하류(상무지구)우측에 관을 두 개 묻어 주거지역의 우수를 모아 광주천 하상에 묻은 관을 통하여 저감시설로 유입 / 처리하여 광주천으로 방류
° 처리계통 : 유입 → 펌프저류조(*유입 후 높이가 4m정도 차면 자동적으로 펌프가 작동하여) → 저류조(토사 등이 가라앉음. 나중에 이것을 모아서 일종의 진공청소기같은 것으로 빨아들여 하수처리장으로 보냄) → 여과조(1의 경우 ‘발효목편’/ 2의 경우 ‘미세여과조-마이크로필터’) → 접수조 → 유출저류조 → 방류 (*가동~방류까지 24시간을 넘지 않음)
° 현재 환경시설관리공사에서 모니터링하고 있다. BOD, DO, SS, COD 등 모두 검사
° 비가 5mm이상 내릴 때부터 채수하고, 모니터링 시작한다.(* 5분, 10분 단위로 유입구쪽 12회, 유출구쪽 12회를 정기적으로 물을 뜸)(반면 습지형은 항상 모니터링한다)
° 그런데 비가 안 올 때도 항상 가동해야 되므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므로 항상 토사나 쓰레기들이 쌓이게 된다. 이것을 계속 치워주어야 한다. 이에 대한 돈이 낭비인지 아닌지도 모니터링을 통해서 밝혀내야 한다.
° 저감시설에서 처리할 수 있는 양은 하루 약 6만톤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그 이상의 것은 자동으로 유입수문이 닫혀 처리하지 못하고 방류해 버리고 있다.
° 시설 및 모니터링을 3년 내에 하도록 하고 있다. 다른 나라의 경우 모니터링만 10년~15년, 또는 30년의 기간을 두고 있는데, 모니터링기간이 너무 짧아서 제대로 될 수 있을 지 의문이다. 더구나 자연형의 경우도 어느 정도 풀들이 자라서 제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효과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니터링기간이 너무 짧다. (*2010년 중반 모니터링 결과 나옴)
° 저류지안에 오염원들이 쌓이기 때문에 저감시설은 유지관리가 제일 중요하다. 유지관리가 안되면 처리효율이 꽝이다.
- 장치형일 경우 : 저류조에 쌓이는 토사 제거가 제일 중요. (쓰레기를 제거도) 여재를 교체해 줘야 한다. 토사를 제거하는 것을 준설(*보통 5년 주기로 준설)이라 하는데, 방법은 진공청소기 같은 준설용펌프로 빨아들여 저류지슬러지펌프를 통해 환경시설공단의 마지막 단계로 보내게 된다.
- 자연형일 경우 : 토사제거, 식생관리, 유입유출구에 쓰레기 처리가 중요.
° 장치형시설의 필터장치(발표목편, 마이크로필터)는 항상 어느 정도 젖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평소 때도 광주천으로부터 약간의 물을 흘러들게 한다. 처음에 물이 들어오면 남아 있는 슬러지 등을 함께 휘저어서 나가게 된다. 이럴 때 충분히 썩은 물이 나가게 될 경우들이 있다. 그래서 장치형은 자연형에 비해 오염원이 될 수 있는 소지가 많다. 장치형은 사람손이 안 닿게 되면 오염원으로 전락할 수가 있다. 자연형의 경우는 얼마정도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정화될 수 있다.
° 이 곳의 물은 그렇게 오염되지 않아(여기는 유기물이 많지 않다. 유기물이 많으면 유기물막이 생기기도 함) 여재(발효목편필터 : 가동이 안될 때도 미생물들이 오염물질들을 분해시킴 )를 10년~20년 정도는 쓸 수 있다고 함.(진짜 그럴까? 안내자도 의문을...), 상무지구 2의 경우 설치된 ‘미세여과필터(*100~150마이크론을 잡아낸다고 함)’는 과연 필요한 것인지 의문이라고 함. 이 지역에서 들어오는 비점오염원의 경우 이것을 써야 할 정도로 미세하지는 않기 때문. 즉, 비점오염원의 개념과 미세여과필터가 알맞지가 않다는 것임. 기본적으로 저류조에서 50%정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데(가라앉히는 것만으로도), 그러므로 이 저류조를 거쳐나오는 오염원은 미세여과필터로 걸러내기란 불가능한 것이 아닌가한다.
▶ 인공습지형 : 나주시 다시면 송촌리 (고막원천 옆)
° 사업면적 및 특징 : 나주시 다시면 송촌리 일원 농경지역 253ha 처리/ 시설면적 22,935㎡/ 방류수역은 영산강수계
° 처리계통 : (유입부 → )침강부 → 깊은 습지 2개 → 얕은 습지 1개 → 침전지(→ 유출부)
° 유입부와 유출부에 유량계 설치되어 유량 측정, 강우량계 설치
▶ 여과형 : 나주시 동수오량농공단지 (상무1과 같은 시스템)
° 사업면적 및 특징 : 나주시 동수오령 농공단지 46ha 처리/ 시설용량은 23,933㎡/d / 시설면적은 207,84㎡/ 방류수역은 영산강수계
° 처리계통 : 유입 → 침사조 → 집수조1 →여과조1 → 여과조 2 → 집수조2 → 유출
° 여제(셀룰로오즈계열 발효목편)를 이용한 여과형 시설
▶ 침투형주차장 : 나주시 성북동 공영 주차장 0.26ha 처리 / 시설용량은 2,834㎡/ 방류수역은 영산강수계
° 환경친화적 침투형 주차장(수직 침투형 시설)
° 처리대상 면적 100%가 침투형 바닥으로 구성(Bypass형 침투구)
° 침투된 강우 유출수는 4m 깊이 수직갱도 하부에 위치한 유출 관거를 통해 배출
첫댓글 저감시설 설계도와 현장 사진은 다시 정리하여 올리겠습니다.
정말 수고들 많이 하셨습니다. 박 용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