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24일 이경용 원장님 및 학회 회원님들과 덕포리 제2참성단을 실견했지요.
내려 오는 길에 이경용원장님께서 '화도면지'에 해당 자료가 있을 거 같다고 얼핏 말씀하셨습니다.
인연이 닿아 97년 발간한 화도면지 초판본을 보니 사진과 같은 자료가 있습니다.
제2 참성단에 대한 자료를 찾을 때, 많은 분들이 문산리 보천교 신도들이 쌓았을 것이라 말씀하셨습니다.
5월 24일 실견하고 주변 정리하면서, 하곡학회 한재호 선생님께서 제2 참성단 뒤쪽에 있는 병풍바위에서 한규식'이라는
각자를 발견하였습니다. 위 사진 문산리 신도 첫칸에 한규식이라는 성함이 발견됩니다. 우연은 아닐듯 합니다.
97년에 발간된 화도면지에 문산리 덕포리 소개 편에 참성단에서 초피봉까지 마니산 능선을 소개하는데, 참성단 옆에 28번 만경대가 보입니다. 그 아래 29번 왕검암이 보이고 왕검암 아랫 부분에 제2 참성단이 있습니다.
ㅡ 29번 왕검암을 화도면지에서 소개할 때 뿌리바위라고 써 있더군요.
많은 느낌이 있었습니다. 국조 왕검? 민족의 뿌리? 아무튼 깊은 의미가 있을 듯합니다.
ㅡ 참성단 옆 만경대를 보고 초원 이충익 선생님을 생각했습니다.
초원 선생님께서 만경대 아래 폭포암을 지으시고 수행하시다 집안의 압력으로 해체하셨다는 글이 있지요. 폭포암은 초피봉과 함허동천 사이가 아닐까 추정했는데, 만경대가 구체적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에 폭포암 자리를 찾기가 좀 수월해 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마침 자료를 찾는 중 폭포암 자리를 알고 계시다는 선생님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언제 더위가 걷히면 폭포암을 찾으러 가야겠습니다.
97년 발간된 화도면지 표지입니다.
이 책을 빌려주신 문산리 유 ** 선생님은 54년생으로 덕포리 전주유씨 집성촌의 자손으로 초피봉과 덕포리 계곡 일대에 대해 잘 알고 계시더군요. 1) 60년대 70년대 초반 마니산이 헐벗을 당시 덕포리 아래서 탑이 보였고 2) 당신들은 참성단은 큰탑 제2참성단은 작은탑으로 불렀으며 3) 언제 세워졌는지는 모르지만, 당신이 사물을 인지할 무렵 부터 탑은 있었다고 합니다.
이상으로 5월 23일 제2참성단(은성단)을 실견하고 1차 보고한 후 운 좋게 자료 찾아 마무리 보고합니다.
마리지'는 오늘 자로 반납합니다. 사진외 복사는 하지 않았습니다.
첫댓글 신효섭 선생님 안녕하세요^ ^
하도면지를 찾아 상세하게 밝혀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은 분께서도 이제는 잘 알게 되었습니다.
지난 5월 24일 답사를 추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답사 가기 며칠 전에
덕포리에 사시는 류기정 전임 회장님께 여쭈어보았습니다.
류기정 회장님이 하도면지에 자료가 있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이렇게 하나하나 유적과 문헌 자료를 모으면
1919년 3.1독립운동에서
민족종교의 독립운동을 더 잘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신효섭 선생님 갑사합니다.
이경룡 올림
아이구 감사합니다. 연구원에서 매 주 목요일 저녁 7시, 숭조회관에 2층에서 공부하고있습니다,혹 시간 되시면 나오십시요.
아! 연구원에서 공부를 계속 하고 계셨군요. 언제 인사 드리러 들르겠습니다.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