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설명: 영어에서 번역됨 - Digeridoo는 일렉트로닉 음악 프로듀서이자 뮤지션인 Aphex Twin의 확장 플레이 레코드입니다. 1992년 1월 R&S Records를 통해 발매되었습니다. 타이틀곡은 앞서 Analog Bubblebath Vol 2에서 'Aboriginal Mix'로 발매된 바 있다. 위키백과(영어)
원문 설명 보기:
아티스트: 에이펙스 트윈
장르: 테크노, 애시드 테크노, 브레이크비트, 레이브 뮤직
레코드 회사: R & S Records UK
발매일: 1992년 1월
Aphex Twin - Digeridoo
(에이펙스 트윈 - 디제리두)
▼
https://youtu.be/CyEV0_RzUUs
1. 개요
Didgeridoo
호주 원주민의 전통 관악기.
나무로 만든 것이 가장 보편적이지만 기술의 발전으로 플라스틱, 유리 섬유, 하드 파이버 등의 소재들을 사용해서 만든 디저리두도 나오고 있다. 원조 디저리두는 흰개미가 파먹어 속이 빈 나무관을 이용해서 만드는데, 때문에 모양이 불규칙적이다.
2. 현지에서
호주 원주민 악기지만 디저리두라는 이름은 호주 원주민 언어가 아니다. 이에 대한 2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이 악기 처음 본 백인들이 그 소리를 "디저리, 디저리"로 들어서 디저리두가 됐고 그걸 원주민들이 역수입했다는 설이고, 다른 하나는 게일어 dúdaire dubh 또는 dúidire dúth가 변한 것이라는 설이다. 학계에선 일반적으로 첫 번째 설을 인정한다. 왜 원주민들이 멀쩡한 자기네 이름 말고 외국인들이 붙여 준 이름을 사용하냐면, 지역 민족들이 다 다르게 부르기 때문이다. 노던 준주 율릉구 족은 yiḏaki(이르다키), 비닌지 족은 mago(마고), 구파푸이구 족은 yiraka(이라카)... 이렇게 해서 최소 45개나 되는 이름이 있다. 원주민 전통에 따르면 디저리두는 오직 남성만 연주할 수 있다고 한다. 여자가 불면 임신을 못 한다고(...). 니콜 키드먼이 이걸 부는 모습이 찍혔다가 곤혹을 치르기도 했다. 물론 외국에서는 호주 문화원이 여학생들에게 디저리두를 소개하는 등 여자들도 잘만 분다.
3. 창작물에서
일렉트로니카 뮤지션인 에이펙스 트윈의 데뷔 EP 이름이 Digeridoo다. 타이틀곡에 나오는 음색이 이 악기와 비슷해서 이런 제목이 붙여진 듯... 레이맨 오리진에서는 악기로 이루어진 스테이지 이름이 디저리두 사막이다. 팀 포트리스 2에서는 스나이퍼 병과로 도발로 사용 가능하다. 그런데 데모맨이 백파이프를 부는 것처럼 소리가 우렁차 꽤나 거슬린다. 스포어에서는 부족단계 크리쳐들의 사교용 악기로 나온다. 매직 더 개더링에서는 마법물체 카드인 Didgeridoo로 등장한다. 어째서인지 전혀 연관 없는 미노타우루스를 부르는 악기로 나온다. 돈스타브 투게더에서 캐릭터 웜우드의 목소리로 사용되는 악기이다. 문명6에서는 호주문명의 배경음악인 월칭 마틸다에 사용되었다. 어도비 플래시의 용수철 소리가 디저리두일 가능성이 있다.
4. 기타
2017년 스위스, 캐나다, 미국, 네덜란드 공동연구팀에 의해 디저리두를 꾸준히 연주하면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을 치료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해당 연구팀은 이 연구를 통해 이그노벨상을 받았다.
본문은 Chrome 과 글자 크기 110%에 최적화 돼 있음을 알립니다.
첫댓글 음악이 굉장히 강렬 하답니다 감사구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