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venture?
첨단의 신기술과 아이디어를 개발, 사업에 도전하는 기술집약형 중소기업. ...이라고 이누스 홈피에도 있더군요.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사업을 하는
새로시작했으니까 아직 규모는 작겠죠? 그래서 중소기업
중소기업과 대기업을 가르는 기준은 명시된 명확하진 않지만 모두들 대강은 알구 있습니다.
대기업은 계열사, 하청업체 등을 거느리고 있는 역사와 규모가 있는 큰 회사 입니다.
중소기업이 성장해서 규모가 커지만 대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대기업은 대체로 고도성장기(70s~ 80s)에 국가의 경제개발 계획과 연계하여 성장한 회사들입니다. 이름있는 회사들이 다 이런 회사들이죠.
이누스는....
조연웅군이 갖은 기술력(홈페이지 구축과 모바일 언어로 프로그램 개발)과
김가연양이 갖은 경영력(님이 모르시는.. 회사의 개념과 하는 일, 서류 작성하고 내고 영업하고 수주 따내는 방법을 알고 있습니다)을 바탕으로
사업자등록(이것만 해도 회사는 만들어집니다.)을 했고
어느정도 생존력이 검증 받아 주식시장에 상장까지한 (주식회사는 주식시장에 상장(등록)한 회사를 말합니다.)
올해 매출 200억을 노리는 파릇파릇한 벤처기업입니다.
아래에 자료로 중소기업을 뜻을 붙입니다.(파스칼 백과사전- 다음검색)
중소기업 [中小企業]
--------------------------------------------------------------------------------
요약
자본금·종업원수 또는 그 밖의 시설 등이 소규모인 기업. 거대기업·대기업에 비하여 경영조직·생산기술·자본구성·신용력이 취약한 편이다. 중소기업의 범주규정에는 양적기준과 질적기준의 2가지가 있다. 양적기준으로는 종업원수·자본액·자산액·생산액·매출고·동력사용량·평균임금수준 등을 사용하고, 질적기준으로는 독점도·집중도·소유형태·경영형태 등을 사용한다.
--------------------------------------------------------------------------------
내용
자본금·종업원수 또는 그 밖의 시설 등이 소규모인 기업. 거대기업·대기업에 비하여 경영조직·생산기술·자본구성·신용력이 취약한 편이다. 중소기업의 범주규정에는 양적기준과 질적기준의 2가지가 있다. 양적기준으로는 종업원수·자본액·자산액·생산액·매출고·동력사용량·평균임금수준 등을 사용하고, 질적기준으로는 독점도·집중도·소유형태·경영형태 등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준들은 한 나라의 경제발전 수준에 따라 달라지며, 각 나라들은 정책상의 합목적성을 고려하여 질적기준과 양적기준을 적절히 취사선택하여 중소기업의 범주를 책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미국에서는 중소기업을 스몰비즈니스(small business)라고 하며, 제조업에서는 종업원수 100명 이하, 도매업에서는 연간매상액 20만 달러 이하, 기타 소매업에서는 연간매상액 또는 총수입액 5만 달러 이하인 업체를 가리킨다. 한국의 경우 업종의 특성과 자산의 규모에 따라 그 기준이 약간씩 다르나 공업, 제조업, 광업, 운송업, 건설업을 주된 사업으로 하는 경우 종업원수가 300명 이하인 기업을 말한다. 한국에서는 1961년 중소기업은행을 설립하면서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과 발전 방안을 강구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66년 12월 6일에는 <중소기업기본법>이 제정되었다. 67년 제 2 차경제개발 5 개년계획이 시작되면서 중소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육성책이 모색되어 75년 <중소기업계열화촉진법>이 제정되었고, 78년에는 <중소기업진흥법>을 제정하여 중소기업진흥기금이 신설되기도 하였다. 또한 이듬해 중소기업진흥공단이 설치되어 이에 따른 사업이 전개되었다. 90년대에 들어와 중소기업의 구조조정이 추진되어 국제경쟁력을 강화해나가면서 구조과정에서의 경영난을 극복하기 위한 각종 지원정책이 추진되었으나, 자금압박·인력난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들이 많았다. 1987년에 개정된 헌법에 <국가는 중소기업을 보호·육성하여야 한다(123 ②)>고 명시되어 있듯이 국가적 차원에서 중소기업에 대한 좀더 적극적인 육성책의 마련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