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폐암' 생존율 높아지는 이유
환자 55~80%, 전이 상태 발견…확실한 조기검진법 없어
장기 흡연자, 저선량 CT 도움…내성 잡고 약효 높인 신약 출시…1·2기 발견 늘어 생존율 증가
조기검진과 의술의 발전으로 암에 걸려도 10명 중 7명은 5년 이상 살 수 있는 세상이 됐지만
폐암의 5년 생존율은 아직 20%에 불과하다.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대장암·유방암·위암 등 조기검진으로 조기에 찾을 수 있는 암과 달리 폐암은 확실한 조기검진법이 없다.
또 폐에 통증을 느끼는 신경이 없다 보니 대부분 증상을 잘 못 느껴 암이 전이가 된 다음에야 발견된다.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조병철 교수는 "환자의 55~80%는 처음 진단받을 때 전이가 된 상태로 수술을 해도
20~50%는 재발한다"며 "다행인 것은 최근 효과가 좋은 표적항암제가 개발되면서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도
1년 이상 생존이 가능하게 됐다"고 말했다.
◇폐암, 생존율 낮은 대표 암
폐암은 다른 장기로 전이되기 전에 찾아내면 생존율이 높다.
하지만 폐암은 55~80%가 전이된 상태로 발견된다.
조 교수는 "워낙 자라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라며 "암세포가 생긴 후 다른 장기에 전이가 되는 3기가 될 때까지
두 달 정도밖에 안 걸린다"고 말했다.
그동안 폐암을 조기에 찾기 위해 흉부엑스레이, 객담세포진(가래에 섞인 암세포를 찾는 것),
혈청표지자(암세포가 혈액에 내뿜는 물질의 농도를 재는 것), 유전자 돌연변이, 기관지내시경,
저선량CT 등 다양한 검사법이 시도됐다. 하지만 전세계적으로 폐암 조기검진법으로 인정받고 있는 것은 없다.
그나마 담배를 하루 한 갑씩 30년(혹은 두 갑씩 15년) 피운 중장년층은 매년 저선량 CT 검사가 유용하다는 정도다.
폐암을 발견해서 치료를 한다고 해도 치료제 역시 효과가 좋지 않다.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는 '이레사'나 '타세바' 같은 표적항암제를 쓰는데, 내성이 잘 생기는 한계가 있다.
폐암을 발견해서 치료를 한다고 해도 치료제 역시 효과가 좋지 않다.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는 '이레사'나 '타세바' 같은 표적항암제를 쓰는데, 내성이 잘 생기는 한계가 있다.
표적항암제가 개발
폐암은 수술을 해도 재발이 쉽고 항암제 효과가 낮아 사망률이 높다.
최근에는 1년 이상 생존 기간을 연장하는 효과가 밝혀진 표적항암제가 개발됐다.
/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조기 발견 늘어 생존율 증가
희망적인 것은 미약하지만 폐암 생존율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국가암정보센터에 따르면 1993~ 1995년 폐암 생존율은 11.3%에 불과했지만 2008~2012년에는
21.9%로 올라갔다.
고대구로병원 호흡기내과 이승룡 교수는 "초기에 발견하는 환자가 늘었기 때문"이라며
"경험상 5년 새 초기 폐암 환자가 2배 정도 늘어난 것 같다"고 말했다.
암이 폐나 인접한 림프절에만 머물러 있는 1·2기면 수술이 가능해 생존율은 50% 이상으로 높아진다.
최근에는 수술 성적을 높이는 방법도 연구 중이다.
감시림프절(암과 가장 가까운 림프절에 암이 없으면 그 뒤에 있는 림프절에도 암이 없는 것으로 간주)의
미세한 전이를 찾아내 수술 후 암이 재발하는 것을 막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2세대 표적항암제, 생존 기간 늘려
효과가 좋아진 표적항암제도 새로 개발됐다.
'지오트립'이라는 약인데 내성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줄여 그만큼 약효가 오래 간다.
폐암의 표적항암제는 암세포의 성장과 관련된 신호를 전달하는 단백질(EGFR)의 돌연변이를 막는데,
EGFR은 네 종류나 된다.
기존 표적항암제는 이 중 하나의 활동만 막기 때문에 여기에 내성이 생기면 더 이상 약이 듣지 않는다.
조병철 교수는 "새 표적항암제는 네 종류의 EGFR을 모두 막기 때문에
이전보다 강력하게 암을 차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임상시험에서 폐암 표적항암제 중 유일하게 생존 기간을 1년 이상 늘리는 효과가 밝혀졌다
첫댓글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