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9일. 한국의 탄생화 / 조개나물
♧ 4월 29일. 오늘의 역사와 기념일.
* 세계 골프없는 날(World No-Golf Day)
* 세계 춤의 날(International Dance Day)
* 1932년 상해 홍구공원 윤봉길의사 폭탄 의거
♧ 4월 29일. 한국의 탄생화
* 조개나물과 개화기의 꿀풀과 식물들 : 꿀풀과 4속 9종
* 대표탄생화 : 조개나물
* 주요탄생화 : 긴병꽃풀, 벌깨덩굴, 금창초, 자란초, 아주가
※ 4월 29일 세계의 탄생화
동백나무 (Camellia) → 4월 3일 한국의 탄생화

“나는 적성으로써 조국의 독립과 자유를 회복하기 위하여 한인애국단의 일원이 되어 중국을 침략하는 적의 장교를 도륙하기로 맹세하나이다.” 매암 윤봉길

1932년 4월 29일 중국 상하이. 4윌 29일은 지금 일왕의 증조할아버지인 전범 히로히토 일왕의 생일이기도 합니다. 일왕 생일 기념식이 열리던 상하이 홍구공원에서 대한의 청년 윤봉길은 기념식을 위해 모여있던 일본군 수뇌부를 향해 수통형 폭탄을 투척하여 일본군 대장 등을 처단하고 상당수 수뇌부에게 부상을 입힙니다. 이 쾌거는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으며, 중국의 장개석 총통은 “중국의 백만 대군도 못한 일을 조선 청년이 해냈다”고 말하며,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하였습니다.

현장에서 체포된 의사는 이 후 1932년 12월 19일 형장의 이슬로 산화하십니다. 해방 후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습니다.
우리나라의 독립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아끼지 않으셨던 순국선혈들을 생각하며 민족의 평화와 통일로 선혈들의 피에 보답하는 후손이 되어야 하겠습니다.
오늘 한국의 탄생화는 맛과 향기, 약효가 좋고, 줄기는 네모져 있고 잎은 쌍을 이루며 마주나는 것이 특징인 [꿀풀과] 식물 중 4, 5월에 꽃이 피는 풀들입니다.
꿀풀과는 세계적으로는 200여속 3,500여종이 있는데, 현재 한국의 탄생화에는 자생식물 99종, 귀화식물 3종을 포함해 136종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이 중 오늘의 대표탄생화는 [꿀풀과 조개나물속]의 [조개나물]입니다. 꽃의 모양이 조개를 닮아 조개나물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는 데 '나물'이라고 이름을 달고 있지만 독이 있기 때문에 함부로 섭취해서는 안되는 식물입니다. 할미꽃과 같이 양지바르고 물이 잘빠지는 메마른 토양과 잔디 위에서도 잘 자리기 때문에 이 조건과 잘 맞는 무덤가에서 자주 발견되는 꽃입니다. 어머니 무덤가에서 자라는 조개나물을 보고 백승훈 시인은 돌아가신 어머니가 그리웠나 봅니다.
조개나물 꽃
/ 백승훈
어머니
산소 위에 탑을 닮은
조개나물 꽃이 피었습니다
살아서도
자나깨나 내 걱정 뿐이더니
선산에 누워서도
내 걱정만 하시는지
꽃으로
탑을 쌓아 놓았습니다

[조개나물]의 꽃말은 [순결]과[ 존엄]인데 조개가 여성의 성을 상징하는지라 이런 꽃말이 붙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우리는 흔히 사랑을 정신적인 사랑인 아기페와 육체적인 사랑인 에로스로 구분하는데요, 종교에서는 아가페가, 자연계에서는 에로스가 사랑의 주류입니다. 사마귀나 거미와 같은 동물은 사랑을 한번 나누기 위해서는 목숨을 걸어야 하는 경우도 있고, 연어나 매미의 경우는 온 힘을 다해 사랑을 나눈 후에는 그 생을 마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람의 경우는 이 둘의 사랑을 풍성하게 공유할 수 있는 유일한 지적 생명체입니다. 에로스를 아가페로 승화시키면 성의 순결과 존엄에 대한 철학적인 답을 찾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조개나물속]의 주요 탄생화로는 [금창초]와 서양조개나물이라 불리는 [아주가], 우리나라 특산이며 희귀식물인 [자란초] 등이 있습니다.


[벌깨덩굴]은 잎은 깻잎을 닮았고 꿀이 많아 벌들이 자주 찾아와 붙여진 이름입니다. 비슷하게 생긴 꽂으로 골무꽃이 있는데 골무꽃은 꽃받침이 없고 꽃이 줄기의 위쪽으로 몰러 피는 반면, 벌깨덩굴은 통꽃받침이 있고 꽃이 줄기의 위쪽 뿐만 아니라 중간에도 피는 특징이 있습니다. 벌깨덩굴은 꽃이 진 다음에는 덩굴식물로 돌변하여 다른 풀과 나무를 타고 올라가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 그 덩굴에서 뿌리가 내려 다음 해에는 그 곳에서 꽃을 피우는 특징이 있습니다. 일년마다 사는 곳을 옮기는 독특한 식물입니다.

[긴병꽃풀]은 꽃 모양이 마치 광대수염처럼 생겨 [조선광대수염] 또는 [덩굴광대수염], [참덩굴광대수염]이라라는 별명이 있는 야생화입니다. 또 잎의 모양이 동전을 닮아 [금전초], [동전초], [연전초]라 불리기도 합니다.

꿀이 많아서 꿀풀과라 불리는 꽃들과 함께 지나는 사월의 찬란함을 만끽하는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