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별할 신(䝲)자는 의부(義符)로 조개 패(貝)자에 성부(聲符)로 다할 진(盡)자는 다할 진(尽)자의 번체자(繁體字)입니다. 글자의 연원(淵源)은 번체자(繁體字)를 통해서만 알 수 있습니다. 간체자(簡體字)로는 글자의 연원(淵源)은 알 수 없습니다. 다할 진(盡)자는 글씨를 쓰려고 갈아놓은 먹물을 붓으로 다 찍어서 써서 먹물이 말라서 다 된 것을 나타냈습니다. 조개풀 신(藎), 옥돌 신(璶), 깜부기 불 신(燼), 전별할 신(贐)자들은 다할 진(盡)자가 들어 있어서 ‘신’으로 읽습니다. 조개풀 신(荩)자는 조개풀 신(藎)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신의(贐儀) 신행(贐行) 신물(贐物) 신어(贐語) 전신(錢贐) 국신(國贐) 밀신(密贐)
말 많을 신(駪)자는 의부(義符)로 말 마(馬)자에 성부(聲符)로 먼저 선(先)자를 했습니다. 먼저 선(先)자는 앞서 걸어간다는 뜻을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먼저 선(先)자에서 윗부분은 발 지(止)자이고, 아래 부분은 우뚝할 올(兀)자입니다. 우둑할 올(兀)자는 높이 받쳐 놓은 모양입니다. 그래서 앞서 간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걷는 모양 신(侁), 나아갈 신(兟)자는 먼저 선(先)자가 들어 있어서 ‘신’으로 읽습니다. 신신(駪駪) 뇌가신(雷家駪) 신신정부( 駪駪征夫)
옥돌 신(璶)자는 의부(義符)로 구슬 옥(玉)자에 성부(聲符)로 다될 진(盡)자를 했습니다. 다될 진(盡)자는 글씨를 쓰려고 갈아놓은 먹물을 붓으로 다 찍어서 써서 먹물이 말라서 다 된 것을 나타냈습니다. 조개풀 신(藎), 깜부기 불 신(燼), 전별할 신(贐)자들은 다할 진(盡)자가 들어 있어서 ‘신’으로 읽습니다. 윤신(尹璶) 박신혜(朴璶惠)
모이는 모양 신(甡)자는 날 생(生)자를 좌우(左右)로 나란히 두 개를 배열(配列)한 글자입니다. 날 생(生)자가 풀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이니까, 모이는 모양 신(甡)자는 풀이 많이 모여서 나 있는 모양입니다. 풀이 많이 모여 있는 풀밭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신신(甡甡) 신신기록(甡甡其鹿) 신신중다병행지모(甡甡衆多幷行之貌) 조신신물(造甡甡物)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