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문산 (용문사- 가섭봉- 대장봉- 상원사)
용문산 정상-가섭봉의 은행잎 조형물이 상징하는 의미는?
추석연휴 몸 풀이로 나선 용문산행은 용문역사를 나서자마자 빗발이 하나씩 날렸다.
필시 번지수 잘 못 알고 구름떼가 찔끔찔끔 흩날린 새우(崽雨)였지 싶었는데
용문사일주문을 들어서도 그 모양새였다.
은행나무가 그 새우로 새안하고 번들거리며 천왕문 대신 나를 반긴다.
은행나무도 천오백 번쯤 맞은 추석 잘 쇠었지 싶다.
태풍여파로 용문계곡의 풍부한 청정수에다 스님들도 추석음식으로 배설량이 늘어
해우소(解憂所)에 영양분이 넘칠 테고,
스님들이 명절탁주를 몇 말이나 보시했을 테니 말이다.
용문사일주문
흔들다리
용문사은행나무는 그렇게 청정수골짝과 해우소에 뿌릴 뻗어 천 오백 년을 무탈하게 버티며
높이67m에 둘레는16m가 넘는 유실수로 동양의 최장수거목이 됨이라.
신라 마지막 왕 경순왕의 아들인 마의태자는 망국의 한을 품고 서라벌을 빠져나와
금강산을 향하다가, 여주신륵사에 들러 행장을 꾸릴 때 은행나무가지를 꺾어
지팡이삼아 용문산으로 왔었다.
1천5백살의 은행나무와 석탑
1천5백살의 용문사은행나무의 장수비결은 해우소분뇨와 청정수 땜이란다. 하여 용문사의 해우소청소는 찌거기만 긁어 낸다
사천왕문 앞에다 그 지팡이를 꽂아두고 며칠 후 금강산을 향했는데
그게 싹 틔워 자란 거다. 마이태자는 사라졌지만 그의 지팡이는 살아나
천년의 애환을 파노라마 시킨다.
1907년 정미항쟁 때 소실 된 사천왕문을 대신하는 천왕목(天王木),
온갖 수난에도 버텨온 호국목(護國木)은 부인들이 쌀 한 말 시주하고
치성을 드리면 옥동자를 낳아 대를 이을 수 있다하여
사랑목으로 회자되기도 한다.
▲용문사 경내▼
또한 매년 10가마정도의 은행 알을 수확케 하는 상서로움을 기리려
주민들이 영목제(靈木祭)란 축제를 지낸다.
용문사경내를 일별하고 물길 따라 계곡을 파고든다.
풍부한 강수량에 물소리가 웅혼하다.
용문산계곡에 들면 흙길 밟기가 서울도심 보다 더 어렵지 싶다.
온통 바위와 돌너덜뿐 이어서다.
바위와 돌멩이를 어르고 뛰어넘는 물살은 물보라까지 일으켜
용문계곡을 뒤흔든다.
▲용문산계곡의 물길이 빚는 교향악은 두 시간여 동안 연주된다▼
그 물바람에 깊은 골짝의 푸나무들이 춤추고 있다.
무생물인 바위와 돌너덜은 어떻게 해서든 푸나무를 키워 살아있는 척 한다.
깊은 계곡에 살아있는 건 물길과 흔들거리는 이파리와 다람쥐와 이름 모를 새들이다.
놈들의 동작 하나의 울림이 새소리와 하모니를 이뤄 오케스트라전당을 만드는 거였다.
그 자연교향악에 취해야 험하고 가파른 바위돌너덜길을
징검다리 밟듯 가뿐히 오를 수가 있다.
계곡에 전시한 기암괴석과 귀목은 한 폭의 사생화로 눈호강 시킨다.
내가 홀로산행을 즐기는 소이다.
일상의 소음과 사회생활의 스트레스 탈출을 위해 찾은 산행이 동행하는 이를 의식해선
오롯한 일상탈출을 기대하기 난망이라.
홀로산행이 위험하지만 그만한 열락에 취할 수가 있는 매력을 놓치고 싶질 안해서다.
마당바위에 올랐다.
완만한 오름의 바위돌너덜길은 여기서부턴 빡센 오르막길로 바뀐다.
높이2m 둘레5m의 마당바위.
용문사와 가섭봉의 중간쯤 돼 산님들의 쉼터로 사랑을 받는다
단애 끝 처마에 말벌통(우)이 보인다. 저 아래 말벌통은 누군가가 떼어갔었다.
물의 노래가 자지러질 만한데 화음은 그대로다.
골짝이 좁아 물길이 합수된 땜이려니!
여태껏 산님들 두 커플과 홀로 산님 합쳐 다섯 분과 마주쳐 인살 했다.
2019년 겨울산행 때와 별다를 게 없이 인적이 뜸한 건 용문산이
상당한 악산인 땜인가? 3년 전 겨울 정상부근까지 오르다가 되돌아섰었다.
적설량이 많고 인적이 뜸해 겁이 났었다.
근디 오늘은 등산하기 딱 좋은 날인데도 적요하기까지 하다.
고사목은 버섯꽃 가사를 걸치고 제2의 삶을 즐기나 싶고!
용각바위
빡센 계단 올라 능선에 서면 무한대의 사위가 ‘천상천하 유아독존’을 뇌까리게 한다.
삥 휘두른 안무 속에 산릉들이 구름 한 자락을 걸치고 파도처럼 밀려온다.
골짝의 오케스트라 대신 장엄한 우주창조의 얼개그림이다.
산만이 주는 마력이다. 정상에 섰다.
아니 지금도 정상은 군부대가 차지하고 있어 어수선하다.
안테나와 송신탑과 레이더와 창고와 막사가 철조망을 치고 치외법권인냥 당당하다.
정상 쉼터에서 조망한 용문능선
그 철조망 옆에 어설프게나마 정상 맛을 보라고 은행잎을 형상화한 조형물을 설치했다.
가섭봉의 은행잎! 마의태자혼백이 쓸쓸하게 서성댈 것도 같았다.
경기의 금강산으로 불리는 용문산(龍門山,1157m)의 옛 이름은 미지산(彌智山)이었으나,
태조 이성계가 날개 달린 용이 들고나는 산이라고 해서 용문산이라 했다는 설도 있다.
허나 저 아래 신라 신덕왕(913년) 때 창건한 용문사가 있어
용문산으로 불렸다는 설이 정설일 것이다.
백운봉과 시나사가 있는 양평방면
대웅전안을 기웃거려본다.
6.25사변 때 남침하는 북한군의 아지트로 사찰이 이용돼 그걸 예방키 위해
아군은 강원도 월정사 등의 사찰을 소각시키면서 후퇴했었다.
상원사에도 국군이 들이닥쳐 절을 소개시키려 했다.
대웅전서 좌선하던 주지스님 한암이 군인들의 닥달에 가사와 장삼을 차려입고
법당에 정좌한 채 "자, 이제 불을 지르게."라며 엄숙하게 일갈했다.
▲용문사사천왕과 템플스테이▼
두 분 경찰님들은 나를 용문전철역사 앞에 내려줬다.
황송하여 어찌할 줄을 몰라 주춤거리다 아까 "명함 있으면 주실 수 있냐?"고 물었을 때
"용문파출소 권병정ㅇㅇ"이라고 했던 성함을 다시 확인하고 헤어졌다.
'경찰은 민중의 지팡이다'란 말을 실증한 공복들이었다.
낯선 이를 불신하는 게 당연시 하는 세태에, 코로나팬데믹에
선뜻 호의를 베푼다는 일이 가당치 않은데 두 분 경찰님은 나를 감동케 했다.
명함을 달랬던 건 졸작이지만 나의 산행에세이
책 <숲길의 기쁨을 좇는 행복> 한 권을 선물하여 성의에 답하고 싶어서였다.
빨강선이 오늘의 주행코스 ; 약 11.5km를 6시간남짓 소요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