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암동 mbc 본사
방송장악 공작의 시작이었다. 2017년 8월 25일 민주당 의원 연찬회에서 MBC와 KBS 경영진 교체 방법을 담은 문서가 배포됐다. 총 9단계의 로드맵은 ‘방송사 구성원 중심의 사장 퇴진 운동’, ‘시민사회단체 퇴진운동’ ‘야당 측 이사들 퇴출’ 등으로 구성됐다.
문서의 내용은 실제로 이행됐다. 2017년 9월 4일 언론노조 MBC본부가 총파업에 들어갔다. ‘전국적 동시다발적으로 궐기대회와 서명운동을 전개해야 한다’고 했는데, 이 또한 그렇게 됐다. 9월 5일 3대 언론학회 소속 학자 400여 명이 MBC 경영진 사퇴를 요구하는 성명을 냈다. 같은 날 충북지역 35개 시민단체들이 MBC 총파업 지지 기자회견을 열었고, 9월 6일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와 전북 시민단체들, 9월 7일 부산의 57개 단체와 전교조 보건의료노조 공무원노조의 원주지부들, 9월 8일 민노총 전남본부가 MBC 총파업 지지를 선언했다.
야당 측 이사들 괴롭히기도 본격화됐다. 2017년 9월 7일 방문진 이사인 유의선 이화여대 교수가 사퇴했다. 그날 경향신문은 “학계 후배들의 간곡한 설득이 유 이사가 사퇴를 고민하게 만드는 데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는 관계자의 말을 보도했다. ‘간곡한 설득’이 아니라, 유의선 이사는 ‘허위 날조된 인신공격으로 말할 수 없는 고통을 당했다’고 호소했다. 10월 18일 목원대 총장이었던 김원배 방문진 이사도 사퇴했다. “(부인이) 생명의 위협을 받을 정도이다. 더이상 견디기가 어렵다”고 밝혔다. 그렇게 방문진의 여야 비율을 바꾸더니 김장겸 MBC 사장을 해임하고 민노총 언론노조가 경영권을 장악했다.
유의선 전 방문진 이사는 ‘보이지 않는 손’이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민주당의 ‘공영방송 장악 문건’이 사실인 것 같다고도 말했다. 언론독립 · 방송독립을 위해서는 그 ‘보이지 않는 더러운 손’을 반드시 찾아내 문책해야 한다. 문건 자체는 민주당 전문위원이었던 안 모 씨가 만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당 전문위원이 문재인 정권의 언론공작 총책이었다고 볼 수는 없다.
민주당 ‘공영방송 장악 문건’의 최대 피해자인 김장겸 전 MBC 사장과 고대영 전 KBS 사장이 오늘 해당 문건을 모의하고 작성하고 실행한 관련자 모두를 직권남용 혐의로 고소했다. MBC노조는 이를 적극 환영하며 당국의 철저한 수사를 촉구한다. 해당 사건은 정권과 국가기관, 특정 이념의 단체들이 공모해 공영방송의 독립성을 짓밟은 정치적 재난이었다. 지난 일이라고 방관하면 독초의 뿌리처럼 언젠가는 재발할 수 있다. 이제라도 정의를 세워 민주주의를 해하려는 기도를 예방해주기 바란다.
2023년 8월 8일
MBC노동조합 (제3노조)
출처 더불어민주당의 ‘방송장악 문건’을 철저히 수사하라 < 성명·논평 < NGO게시판 < 기사본문 - 한국NGO신문 (ngonews.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