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념미술가 최철주|현대개념미술평론 현대개념미술가평론 이미지개념설치작품평론Contemporary conceptual artwork criticism: Contemporary conceptual art Criticism [10] Abstract conceptual art = Louis Choi Chul-joo, morning glory p110-7-window shadow-pond,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Louis Choi Chul-joo, Bamboo Forest Forest c79-pond,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연못에 비친 생각에 의해 투영된 욕망 이미지
연못에 비친 생각이 투영하는 욕망의 이미지는 수면 위의 물처럼 모여드는 욕망의 경계를 넘어선 연못의 기하학적 단면과도 같다.
사라진 연못은 가역적인 빛의 그늘로 순간적인 욕망의 개념에서 벗어난 빛의 구조이며, 투시객체성은 수면 위에 덧씌워진 물체에 가역적인 빛으로 하늘의 범위와 투시 단면적의 크기를 왜곡시킨다.
이 왜곡된 욕망의 개념은 가역적인 빛의 음영을 가진 현실적인 형태소의 연못에 맞도록 추상화된다.
그 추상은 최철주 욕망 디자인 과정과 동일하다. 이것은 추상적 형태와 추상적 개념 구조를 통해 욕망의 개념을 탐구하는 시각적 표현을 창조한다,
여기서 개념적 토대는 욕망 디자인 과정에서 추상적 욕망의 개념을 깊이 탐구하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이것은 추상적 욕망을 감정으로 실재 이미지로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심리적, 사회적, 철학적 요소들의 복잡한 상호작용으로서 타자의 욕망 개념을 해석한다.
사라진 연못에서 최철주의 욕망 개념은 실재 이미지와의 인과를 전제하지 않고 무의식에 소외된 욕망이 분열된 추상적 개념에서 욕망의 대상을 개념적 주체로 한 디자인으로 상징화하여서 실재 이미지의 상관 관계로서의 욕망 개념으로 추상한 실재 이미지로 귀결한다.
따라서 욕망 개념의 추상적 표현은 타자의 욕망을 다양한 측면에서 상징하기 위해 추상적인 형태로서 단면적 형태를 구분하는 기하학적 면과 추상적 유동성을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다각적인 그 형태를 특징한다.
여기서 가역적 빛과 음영의 사용은 시간성에 따른 빛으로 욕망의 그림자의 깊이를 만들고 추상적인 형태를 강조한다. 이것은 회화적 기술로 한 욕망의 추상적 측면을 시각화하는 데 도움을 주어서 보는 사람이 욕망 개념의 실재에 접근시킨다.
언어적 추상에서 실재 이미지로서 추상의 의미를 귀납적으로 추론하여서 상징적 존재의 의미를 취한다. 그 이미지는 문화적, 보편적 욕망 개념과의 연관성을 전달하는 형태소이다.
그리고 그 존재의 이미지를 바라보는 시선은 실재의 외면으로 욕망 개념을 추상화하여서 그 욕망 개념으로 실재의 상관물로서 실재 이미지가 추상의 대상이 된다. 이것은 최철주 욕망 개념 디자인 프로세스1에 따른 추상의 실재 이미지다.
추상적 욕망의 대상을 개념적 주체로 한 디자인으로 상징화된 실재 이미지를 음영으로 한 크기를 생략하고 빛으로 보이는 범위로 자리에 이미지를 평면화한다. 그리고 그 이미지가 언어적 의미로서 말하는 욕망 개념의 상징 구조로서 표상한다.
이렇게 표상된 상징 구조는 여러개의 단면적인 층과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반사된 질감을 추가하여서 욕망 개념의 복잡함과 깊이감을 만들어 타자의 욕망의 복잡한 본질과 실재 이미지를을 투영한다.
최철주의 욕망 디자인 과정 2의 개념에 따른 실제 구조물의 욕망 이미지의 심미적 가치는 이렇게 투영된 상징 구조물의 현실이 단일 무대로서 장소에 상응하는 심미적 가치를 가지도록 대상을 현실의 보편적인 색채로 장식하는 것이다.
욕망 개념으로 디자인한 이미지에 은폐된 미적 구조는 구름으로 구분되어 가려진 음영으로 욕망 개념과 이미지로 대립된 방향으로 여러개의 방향에서 욕망 개념을 이미지로 시각화하여서 그 이미지를 추상화로 인지하도록 사회적 환경에서 생성된 욕망 구조의 피사체를 과거에 존재물로 대리한다. 그리고 그 존재물을 그린 주체가 욕망 개념을 기호화한 실재를 대리자로 집행하여서 추상적 욕망을 이미지의 정신적 현상으로 무의식의 이미지를 실제화한다.
그리고 무의식에서 추상적 욕망 대상의 이미지의 선택은 욕망의 주체가 바라는 상상에 의해 생성된 것이 최철주의 욕망 개념 추상화 다.
이것은 무의식적 추상의 인터랙티브 요소로서 욕망 개념의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해서 타자의 욕망을 객관화한다.
그리고 추상화 이미지로서 무의식 구조로서 선과 색이 조합된 이미지가 생각속에 있지만 의식되지않는 것을 무의식과의 인터랙티브 행위로서 욕망을 반복해서 디자인하여서 실재의 이미지로 생성하는 것이 욕망 개념 디자인 프로세스3에 따른 무의식 욕망의 디자인이다.
무의식적으로 추상하는 욕망 개념은 실재의 대상이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보이지 않는 실재의 조각 이미지로 실재를 그림자로 감추고서 또 다른 실재 이미지를 보인다.
그 이미지는 실재 이미지와 욕망의 주체가 바라는 상상에 의해 유지하는 무의식으로서 그 이미지로 자각할 수 없는 생각이다.
이것은 생각에 대한 스토리텔링으로서 언어적 방식으로 내러티브와 맥락을 주어서 욕망 개념의 심도를 높인다.
따라서 현실에 조각된 평면 단색화인 욕망의 공간구성은 의식적인 움직임을 통해 사유의 이미지를 빛의 가역적인 구조로 결합하고, 사유의 이미지를 빛의 가역적인 구조로 결합하여 욕망의 공간을 디자인하는 욕망 개념설계 과정 4이다.
욕망 개념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과한 욕망 이미지는 거울에 비친 욕망의 형태소다.
욕망의 언어적 상관물에 따른 사회적 형태소의 무의식적 욕구를 추상한 개념 이미지를 거울에 비친 단상이 시간성에 따라 사라진 연못의 수면에서 보이는 존재의 이미지다.
그 존재의 이미지를 바라보는 시선은 실재의 외면으로 욕망 개념을 가역적 빛으로 단상하여서 무의식적 욕망 개념으로 실재의 상관물로서 실재 이미지가 추상의 대상에 은폐된다
무의식적 욕구는 시간성에서 은폐된 욕망의 상관물로서 추상할 수 있는 존재물을 반복해서 디자인한 것이 최철주의 욕망 개념 디자인이다.
이것은 디자인의 주체를 타자로 하여서 욕망의 대상을 추상한 존재물을 이미지로 출현시키는 그림의 구조를 생성한다.
관습에 적합한 보편적 추상적 구조에서 욕망의 주체는 그림의 구조로 표상되는 추상적 구조의 실체가 하나의 이미지로서 장소에 상응하는 미적 가치를 갖도록 대상을 현실의 색채로 장식한다.
따라서 욕망의 배경을 추상의 영역한 실재를 주체로 존재적 상관물을 사건과 공연의 주인공을 욕망의 원인을 충족하는 추상의 이미지를 정한다.
그 추상 이미지로서 무의식 구조로서 선과 색이 조합된 이미지가 생각속에 있지만 의식되지않는 것을 무의식적 행위로 한 욕망을 반복해서 디자인하여서 생각 이미지로서 욕망을 자각하게 한다.
그 생각 이미지는 실재에서 조각난 평면적인 단색화가 의식 운동을 통해서 가역적 빛의 구조로 조합하여 자리한 욕망의 공간 구성하여서 타자가 자각하도록 디자인한다.
이것은 욕망을 타자가 자각할 수 있도록 그 주체가 존재했던 시간성에 맞는 대상을 동시대의 사건과 공연 행위적 이미지를 추상으로 출현하기 위해서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동일한 실재 이미지로 한 대상으로서 욕망이 거울에 비친 존재적 실재다.
그 실재 이미지를 욕망 개념으로 현전하여서 언어적 의미를 욕망의 구조로 표상한다.
욕망과 거울에 비친 모습은 실제상으로서의 욕망의 구조적 형태로 시각적으로 공감되며, 실재 이미지와 동일시된 욕망과의 상관관계로 이해된다.
연못에 비친 욕망의 이미지는 욕망의 형태에 적합한 추상적 개념이며, 현실의 구조로 설계된 욕망의 거울처럼 연못은 언어적 욕망의 형태이다. / 글. 미술평론가 최철주 (개념추상화가 & 문화디자인박사)
Louis Choi Chul-joo, morning glory p110-7-window shadow-pond-5,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an image of the desire projected by thought reflected in a pond
The image of desire projected by thoughts reflected in the pond is like a geometric cross-section of the pond beyond the boundary of desire that gathers like water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he missing pond is a structure of light that deviates from the concept of instantaneous desire as a reversible shade of light, and perspective objectivity distorts the range of the sky and the size of the perspective cross-sectional area with reversible light on objects overlai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his notion of distorted desire is abstracted to fit into a pond of realistic morphemes with reversible shades of light.
The abstraction is the same as Choi Cheol-joo's desire design process. It creates a visual expression that explores the concept of desire through abstract forms and abstract conceptual structures,
Here, the conceptual foundation begins with a deep exploration of the concept of abstract desire in the process of designing desire. This not only understands abstract desire as an emotion as a real image, but also interprets the concept of desire of others as a complex interaction of psychological, social, and philosophical elements.
Choi Chul-joo's concept of desire in the disappeared pond does not presuppose causality with the real image, but rather symbolizes the object of desire as a conceptual subject from an abstract concept in which an abstract real image appears as a real correlation by dividing desire alienated by unconsciousness into design.
Therefore, the abstract expression of the concept of desire is characterized by symbolizing the desires of others in various aspects by dividing the cross-sectional form into abstract forms and abstract fluidity into reversible shades of light.
Here, the use of reversible contrast creates the depth of the shadow of desire with light according to temporality and emphasizes the abstract form. This helps viewers access the reality of the concept of desire by visualizing the abstract aspect of desire with a pictorial technique.
From linguistic abstraction, the meaning of abstraction as a real image is inductively inferred to take the meaning of symbolic existence. The image is a morpheme that conveys a connection with the concept of cultural and universal desire.
And the gaze on the image of its existence abstracts the concept of desire to the outside of reality, and the real image becomes the object of abstraction as the correlation of reality with the concept of desire. This is an abstract real image according to Choi Chul-joo's concept of desire design process 1.
The actual image symbolized by the design using the object of abstract desire as the conceptual subject is omitted, and the image is flattened in the visible range of light. And the image is represented as a symbolic structure of the concept of desire, which is spoken in a linguistic sense.
The symbolic structure represented in this way adds a texture reflected by several cross-sectional layers and reversible shades of light to create the complexity and depth of the concept of desire, projecting the complex nature and real image of the other's desire.
The aesthetic value of the image of desire of the actual structure according to Choi Chul-joo's concept of desire design process 2 is to decorate the object with a universal color of reality so that the reality of the symbol structure projected in this way has an aesthetic value corresponding to the place as a single stage.
The aesthetic structure concealed by the image designed as the concept of desire is divided into clouds and obscured shades, and the concept of desire is visualized as an image in various direction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oncept of desire and the image, and the subject of the structure of desire created in the social environment is represented as an object in the past to recognize the image as an abstraction. And the subject who drew the existence executes the reality that symbolizes the concept of desire as an agent, and turns abstract desire into an image's mental phenomenon.
And Choi Chul-joo's abstract concept of desire is created by the imagination desired by the subject of desire in selecting an image of an abstract desire object in the unconscious.
This is an interactive element of unconscious abstraction, objectifying the desires of others through the design process of the concept of desire.
In addition, as an abstract image, an image that combines lines and colors as an unconscious structure, but is not conscious, is an interactive act with the unconscious, and it is the design of unconscious desire according to the desire concept design process 3 by repeatedly designing desire as an image of reality.
Louis Choi Chul-joo, morning glory p110-7-window shadow-pond-4,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The concept of unconsciously abstracting desire is an image of reality that does not see the object of reality as a shadow of light that can be overturned, and shows another aspect of reality by concealing reality with shadows.
The image of desire is an unconscious mind maintained by the image of reality and the imagination desired by the subject of desire, and it is an idea that cannot be recognized by that image.
This is a storytelling for thinking that enhances the depth of the concept of desire by giving a narrative and context verbally.
Therefore, the spatial composition of desire, a flat monochromatic painting carved into reality, is a desire conceptual design process 4 that combines the image of thought into a reversible structure of light through conscious movement and designs the space of desire by combining the image of thought into a reversible structure of light.
Desire concept The image of desire that has passed the design process is a form of desire reflected in the mirror.
It is an image of existence seen on the surface of a pond that has disappeared according to temporality, reflecting a conceptual image that abstracts the unconscious needs of social morphemes according to the linguistic correlation of desire.
The gaze at the image of its existence is the external surface of reality, and the concept of desire is a reversible light, and the real image is concealed by the object of abstraction as a correlation of reality with the concept of unconscious desire.
Unconscious desire is a correlation between desires concealed in temporality, and Choi Chul-joo's conceptual design of desire is a repetitive design of objects that can be abstracted.
This creates a picture structure in which the object of desire appears as an image, using the subject of design as the other.
In a universal abstract structure suitable for customs, the subject of desire decorates the object with the color of reality so that the reality of the abstract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structure of the picture has an aesthetic value corresponding to the place as a single image.
Therefore, the background of desire is the subject of reality in the realm of abstraction, and the existence correlation and the protagonist of the event and performance are determined as an abstract image that satisfies the cause of desire.
As an abstract image, an image that combines lines and colors as an unconscious structure is repeatedly designed as an unconscious act, and the desire is recognized as a thought image.
The thought image is designed so that the other becomes aware by combining the flat monochromatic paintings carved from reality into a reversible structure of light through conscious movement.
This is an existential reality in which desire is reflected in a mirror as an object that fits the temporality in which the subject existed in order to abstractly appear contemporary events and performance images.
The real image is presented as a concept of desire, and the linguistic meaning is represented as a structure of desire.
Desire and the reflection in the mirror are visually sympathized with each other as a structural form of desire as a real image, and are understood as a correlation with desire identified with the real image.
The image of desire reflected in the pond is an abstract concept suitable for the form of desire, and like a mirror of desire designed as a structure of reality, the pond is a form of verbal desire.
/ Writing. Art critic Choi Chul-joo (conceptual abstract painter & Ph.D. in cultural design)
Conceptual Abstract Contemporary Artist 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