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교(假橋, Temporary bridge)
확장공사나 일반공사중에서 임시적인 교통우회를 목적으로 설치되는 임시교량 또는 간이교량으로 주로 H-Pile로 제작되어 진다.
가능 용량(可能容量, Possible capacity)
실제 도로와 동일한 교통조건에서 일정한 시간동안 1개의 차선 또는 차도의 한 단면을 통과할 수 있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최대 교통류율
가능교통용량(可能交通容量, Possible Traffic Capacity)
도로의 한 개 차선에 있어서 실제의 도로조건(종단경사, 평면선형 등) 및 교통조건(차량의 종류나 차량의 구성비(소형, 중형, 대형화물차 등)) 에서의 교통용량
가동 받침(可動-, Movable bearing)
교각(橋脚-pier)이나 교대(橋臺-abut) 위에서 교량 슬래브의 신축에 대응할 수 있게 만들어 설치한 받침
가동 하중(可動荷重, Movable load)
운행중인 열차 또는 자동차와 같이 일정한 크기의 하중이 구조물 위로 이동하면서 작용하는 이동하중으로써 동하중(활하중), 구조자체의 무게(자중), 토압, 정수압과 같은 정하중(사하중), 진동을 주는 충격하중, 지진시의 지진하중 등 여러 하중 중 동하중에 해당하는 것.
가드레일(Guard rail)
①도로의 차도와 보도의 경계 또는 도로의 연변을 따라 설치해서 자동차가 보도로 진입하거나 전락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엷은 강판 또는 케이블로 설치하는 띠모양의 보호대.
②도로의 차로로부터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여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주로 도로의 성토구간에 설치하는 도로안전시설의 하나로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일반가드레일, 고성토부에는 2단가드레일 등의 여러 가지 형태가 적용중이다.
고속도로의 가드레일 설치는 성토부 구간의 차량주행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설치기준을 보면 다음과 같다.(본선구간)
- 성토고2m 이상, 비탈면 경사 1:4 보다 급경사
- 연장이 50m 이하는 제외
- 미설치구간 20m 이하는 연결설치
- 표지판 지주나 교각등 장애물 보호
가드휀스(Guard fence)
고속도로와 같은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보행주민 및 동물등의 출입을 통제하고 기타 오물유입을 방지하여 교통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설물이다. 고속도로의 설치기준은 다음과 같다. - 도로로의 주민 및 동물의 진출입이 예상되는 곳 - 인접도로의 종단이 고속도로보다 높은 구간 - 고속도로의 본선을 횡단하는 육교구간 - 버스정류장 시·종점 테이퍼 가드휀스의 종류는 토공용, 육교용, 버스정류장용 등으로 나뉜다.
가로 경계선(街路 境界線, Street Line)
도로의 계획에 있어서 도로용지(街路用地)와 다른 용지(用地)와의 경계선
가로(街路, Street)
도시내의 도로를 칭하는 것으로 보도와 차도(步車道)가 구분되며, 시가지 구성상 가장 기본이 되는 도시의 교통노선. 도시의 통풍, 채광은 물론 지역과 지역간의 방화대(防火帶)의 역할과 전기, 수도 등의 공급 및 빗물 등의 처리를 위한 공급, 처리시설의 부설장소와 기타 노상주차에도 이용됨.
가로계통(街路系統, Street System)
다른말로 표현하여 가로조직, 도로계통(road system)이라고도 한다. 도시의 도로계획 구성을 위한 것으로 도시의 유기적인 활동의 근간이 되는 가로의 배열은 통제되고 조직화되어야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가로의 계통의 종류에는 방사환상형(放射環狀型), 수선형, 사선형 등으로 주로 나뉜다
가로미끄럼저항계수(橫摩擦抵抗係數, Lateral force coefficient)
횡방향미끄럼 마찰계수로 표현될 수 있으며, 차량의 진행방향과 어떤 각도(미끄럼角)를 이루는 타이어에 가해지는 힘의 타이어 회전면에 수직인 성분과 윤하중(輪荷重)과의 비(比)
가로수축줄눈(-收縮-, Transverse contraction joint)
횡방향으로 설치된 수축줄눈
가로시설(街路施設, Street Furniture)
도로에 설치된 조명시설, 우편함, 소화전, 비상전화, 가드레일, 교통시설(신호등) 등의 일체시설.
가로조명(街路照明, Street lighting)
도로를 따라 도로시설의 기각적인 밝기를 높여줌으로써 야간의 안전운행과 편의 제고를 위해 설치하는 조명시설을 의미하며, 주로 수은등이나 나트륨 등이 많이 이용됨.
가로좌굴(橫挫屈, Lateral lighting)
단면 높이가 폭에 비하여 큰 보에 휨모멘트가 한계치에 도달할 때 휨모멘트가 작용하는 면외로 들보의 변위가 발생하는 현상
가로줄눈(橫一, Transverse joint, horizontal joint, bed joint)
일반적으로 수평방향의 줄눈, 도로에서는 도로 중심선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만든 콘크리트 포장 슬래브 줄눈의 총칭 기능에 따라 수축줄눈, 팽창줄눈, 홈줄눈 등으로 분류된다.
가물막이댐(假-, Cofferdam)
교량이나 댐 또는 갑문 등 하천 또는 해양에 구조물을 축조하는 동안 물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널 말뚝(sheet pile)이나 흙을 사용하여 임시로 막아 놓은 제방이나 댐.
가변비용(可變費用, Variable cost)
고정비용과 상반되는 개념으로서 교통에서는 차량의 사용 정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소용되는 연료비, 유지비(油脂費), 타이어 마모비, 유지보수비 등을 말함.
가변일방통행(可變一方通行, Reversible oneway)
교통흐름에 따라 수시로 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교통을 변환시키는 것
가변차선(可變車線, Reversible lane)
특정한 시간대와 교통상황에 따라 교통진행 방향을 수시로 변경이 가능한 차선
가변표지(可變標識)
교통규제를 위한 경계, 안내 등의 표시 내용을 타임스윗치 또는 원격제어 등의 방식으로 자동적으로 변경 표시하는 것. 시간대에 다른 주행차선의 변경, 일방통행 방향의 변경 등을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가새(Brace, bracing)
→브레이싱
가속구간(加速區間, Acceleration area)
차량이 고속의 주류교통(主流交通)으로 유입할 때 안전하고 원활하게 본선 교통과 합류할 수 있도록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변속차선 구간
가속정지거리(加速靜止距離, Acceleration stop distance)
항공기는 이륙활주중 이륙 임계속도 이하에서 엔진 장애를 일으켜 다시 정지해야 하는 경우 활주개시점으로부터 정지점 까지의 수평거리를 나타내는 말. 활주로의 길이를 결정할 경우 충족시켜야하는 조건중에 하나임.
가속차로(加速車路 Acceleration lane)
가속차로의 경우도 평행식과 직접식의 두 가지 형식이 고려될 수 있다. 가속차로는 본선으로 유입하는 자동차가 가속하는 차로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대기차로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평행식이 유용하다. 그러나 본선의 평면선형이 곡선형인 경우에는 평행식으로 하면 가속차로의 평면 형상이 뒤틀려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직접식을 이용할 수 있다.
가시삼각형(可視三角形, Sight triangle)
서로 교차하는 두 도로에서 교차점으로 접근하는 차량운전자 서로의 시선과 각자의 시거(視距)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삼각형.
가열살포(加熱撒布, Hot application)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시 사용되어지는 프라임코팅이나 택코팅 또는 실코팅등과 같이 가열한 역청재를 살포하는 것
가열아스팔트 혼합물(加熱-混合物, Hot mixed asphalt)
굵은 골재, 잔골재, 충진재(充塡材)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적당량 합하여 가열, 혼합한 아스팔트 혼합물로 입도에 따라 밀입도, 조립도, 세립도로 나눌 수 있다.
가열용포장타르(Hot applied road tar)
포장타르 중 주로 가열하여 쓰이는 것. KS에는 1, 2, 3호가 있다
가열침투식공법(加熱浸透式工法, Bitumen penetration macadam method)
침투식공법중 가열한 역청재료를 사용한 공법.
가열혼합물(加熱混合物, Hot mixture)
아스팔트 플랜트에서 골재와 아스팔트를 가열하여 혼합한 것. 아스팔트 포장의 표층이나 기층에 사용이 됨.
가열혼합식공법(加熱混合式工法, Hot mixturing method)
아스팔트 포장의 재료 혼합방법의 일종으로써 아스팔트 플랜트에서 스트레이트아스팔트와 골재를 가열 혼합한 아스팔트 혼합물을 고온상태 그대로 포설하는 공법
가열혼합식아스팔트 안정처리기층(加熱混合式-安定處理基層)
역청안정처리의 일종. 블랙베이스(black base)라고도 하며 규정된 입도(粒度)의 골재를 아스팔트와 플랜트에서 가열혼합하여 고온으로 노상에 포설(鋪設)후 다짐을 한 기층
가외철근(加外鐵筋, Additional bar)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온도변화, 기타의 원인에 의하여 콘크리트에 일어나는 인장응력에 대비해서 추가적으로 보강한 보조적 철근
가요성 포장(可撓性鋪裝, Flexible pavement)
강성포장에 반대되는 말로, 표층(주로 아스팔트 포장), 기층, 동상방지층 등의 두께를 통해 교통차량의 바퀴하중을 확대 분포하여 노상(路床)의 하중강도를 노상의 지지력보다 작게 함으로써 교통하중을 지지하는 것
가조립(假組立, Tentative assembly, temporary assembly)
강구조물의 각 부재가 완성된 때 실제 구조물의 현장에 설치하기 전에 강(鋼) 교량 등 구조물의 전체 혹은 일부를 가설 전에 볼트 또는 그리프트핀으로 조립하여 구멍의 수정 둥을 위해 조립하여 보는 것. 이를 통하여 조립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수정하여 완벽한 시공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가조임(假-, Temporary tightening)
강구조물의 가설시에 일시적으로 가볼트 등으로 접합부를 고정하는 것.
가치공학(價値工學, Value engineering)
①고속도로 실시설계 내실화를 위하여 설계대상 시설물의 주요 기능별로 설계내용에 대한 대안별 경제성 및 적용 타당성을 검토하는 설계VE(Value Engineering)제도의 도입 방안 검토. (표 있음) ②설계VE제도의 도입배경. 1980년대에 VE(Value Engineering)가 국내 건설산업에 도입되어 시공단계에서 일부건설업체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제로 큰 효과가 기대되는 설계단계에서는 법ㆍ제도적 근거 미약 및 인센티브 부재 등으로 인해 실시되지 못하여 왔음. 따라서, 건설사업 초기단계에서부터 품질, 기능 및 비용을 동시에 고려하여 최적의 조합점을 찾아나가는 합리적이고 적극적인 비용절감방법으로서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설계VE제도의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에 범정부차원에서 추진해 온「공공건설사업효율화종합대책」에서 설계VE제도 실시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표명함. 현재 도공에서는 설계VE제도의 일환으로 설계심사제도를 마련하여 설계단계에서 기술, 공사비, 시설기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건설기술관리법시행령」의 개정(2000.3.28)시 설계VE검토가 의무화가 됨에 따라 설계심사업무의 기법 및 절차등에 있어서 체질변화가 필요한 시점임. ③VE(Value Engineering)의 정의. 가치공학(가치경영, 가치분석과 동의어)이라고 일컬어지는 Value Engineering은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잘 갖추어진 조직(team)이 시설물의 설계ㆍ시공 운영체계 및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개선하여 총비용 문제를 해결하거나 비용을 낮추는 동시에 품질이나 완성도를 높이는 적극적인 프로세스
각 선(脚線, Leg wire, leading wire)
전기뇌관에 전류를 흐르게 하도록 전원과 뇌관을 결합하고 금속선의 내부가 전기뇌관에 부속되어 있는 부분. 일반적으로 0.5mm 정도의 심선에 비닐피복을 입히는데 길이는 보통 1.5∼8.0mm 이나, 제조사별로 차이가 있다. 심선의 구리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철을 사용하는 것도 있다. 철각선은 전기저항이 크므로 사용시 주의해야 한다.
간격재(間隔材, Spacer)
①철근 또는 긴장재나 쉬스에 소정의 덮개를 가지게 하거나 그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쓰이는 콘크리트제, 모르터제, 금속제, 플라스틱제 등의 부품. ②철근이나 PC강선의 간격을 우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재료, 또는 그 가공물.
간선도로(幹線道路, Arterial, Highway)
전국적·지역적 또는 도시내에서 골격적인 도로망을 형성하는 도로체계로써 설계속도가 높고, 유출입이 제한되며, 주로 통과 교통을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며 주로 장거리 교통량을 처리하는 도로로 볼 수 있다.
간접비(間接費, Overhead cost)
공사에 직접 소요되는 인건비, 재료비 등 소위 직접비 외에 간접적으로 소요되는 비용. 예를 들면 공사용 건물, 전력, 교통통신, 현장감독 및 노무관계에 소요되는 비용, 본지점 경비 및 기타의 제경비등으로 일반적으로 공사비의 약 50%정도로 볼 수가 있다.
갈고리철근(Hook bar)
철근의 정착 또는 겹이음을 위하여 철근 끝을 구부린 부분. 철근 끝부분을 반원형으로 180° 구부린 갈고리를 반원형 갈고리, 90°로 구부린 갈고리를 90°갈고리, 135°로 구부린 갈고리를 135°갈고리라고 함.
감속구간(減速區間, Deceleration area)
본선 교통, 즉 주류교통(主流交通)으로부터 분리되어 연결로나 기타 속도가 낮은 도로로 진입하기 위하여 차량의 감속을 유도토록 설치하는 도로의 구간.
감속차로(減速車路, Deceleration lane)
김속차로의 형식으로는 평행식과 직접식이 있다. 평행식은 시점을 일정길이를 갖는 변이구간으로 하고 노즈까지는 일정 폭으로 한 것으로서, 직접식보다는 감속차로의 시점이 강조되나 평행식 감속차로 전체를 이용하여 감속하려면 곡선주행을 해야 한다. 직접식은 감속차로 시점의 강조는 평행식보다 떨어진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들은 직접식의 유출을 선호하며, 곡선주행을 선호하지 않는다는 것이 많은 조사에서 나타나고 있으나 운전자의 행태상 변이구간에서의 진입보다 감속차로 중간위치에서의 진입으로 교통안전상 감속차로 전 구간이 동일한 폭으로 구성된 평행식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감속차로의 형식은 본선의 선형 교통조건 등을 감안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본선에서 빠져나온 차량이 소정의 속도가지 안전하게 감속할 수 있도록 만든 변속차선을 나타낸다.
감속턱(減速-, 過速防止턱, Bump)
과속방지턱으로 불리고 있으며, 주로 주거단지, 학교부근 등의 보행자의 통행이 많은 지역에서 차량의 속도를 낮추어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횡방향으로 설치하는 턱.
강(鋼, Steel)
탄소량 1.7% 이하의 Fe-C계의 합금을 말하나, 실제로 보통강의 탄소함유량은 1.3%임. 선철로부터 평로, 전로, 전기로에 의해 만들어짐. 고온에서 단조되며, 상온에서 구부릴 수 있음. 단순한 Fe-C계의 합금을 탄소강이라 하며, 탄소 이외의 여러 가지 원소를 첨가한 것을 특수강이라 함.
강구조(鋼構造, Steel structure)
구조물의 주요구조 부재를 강을 사용하여 만든 구조
강널말뚝(鋼-, Steel sheet pile)
토사의 붕괴와 지하수의 흐름을 막기 위하여 굴착면에 설치한 강재 널말뚝 주로 도로의 교량의 기초시공에 많이 적용된다.
강도(剛度, Stiffness)
구조물의 특정한 자유도를 제외한 모든 자유도를 구속시킨 상태에서 특정한 자유도에 단위 처짐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그 자유도에 가해야 하는 힘. / 일반적으로 탄성체에 대한 영률 또는 탄성계수와 동의어이나 아스팔트에서는 온도와 재하기간에 따라 영향을 미치며 온도가 낮고 재하시간이 짧을수록 크게 됨.
강도(强度, Strength)
구조물이나 그 내부의 부재등이 그 기능을 유지하면서 받을 수 있는 최대 하중 또는 응력의 크기.
강섬유(鋼纖維, Steel fiber)
섬유상으로 기공된 강. 굵기 0.1∼0.5mm, 길이 10∼15mm 정도의 것이 많음. 콘크리트 중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 또는 강섬유 보강 뿜어 붙임 콘크리트로 사용됨.
강성포장(强性鋪裝, Rigid pavement)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처럼 신축성이 적고 강성이 큰 포장. 온도변화에 따라 신축이 쉽고 시멘트의 경화시에 수축하여 균열이 생기기 쉽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줄눈의 설치가 필수적이다. 2주 정도의 양생기간이 필요하다. 교통하중에 대한 저항은 슬래브자체가 휨저항력으로 지지한다. 유지관리측면에서 작업성이 가요성 포장에 비하여 떨어지지만 비용적인 측면에서 우수하다.
강우강도(降雨强度, Rainfall intensity)
목표로하는 시간(5, 10, 60분 등)당의 강우량을 1시간당의 강우량(mm)으로 환산한 것.
강지보공(鋼支保工, Steel -rib)
강지보공은 터널 굴착 다음에 숏크리트 타설 후 경화시까지 임시보강재의 기능, 무지보 지반의 직접보강 및 숏크리트 라이닝 하중분산 작용과 Forepiling, pipe 시공시 지지대, 터널내공 확인, 발파 천공의 지표(guide) 등의 기능을 하는 보조 지보재. 지보재의 형상에 따라 H형, U형, 삼각형 지보공으로 나뉜다
개거(開渠, Open channel)
자유수면을 가지고 있는 수로단면으로 뚜껑이 없는 수로, 여러 단면모양이 있으며, 개거의 상부에 뚜껑이 덮어지는 단면을 개거(蓋渠: coverd conduit), 전단면이 사방으로 둘러 싸인 박스형 단면의 수로를 암거(暗渠 : culvert)라고 하며 도로, 철도, 제방 등에 매설한다.
개립도 아스팔트 콘크리트(開立度-, Open graded asphalt concrete)
가열아스팔트 혼합물의 일종으로 2.5mm체 통과분의 세골재비율(細骨材比率)이 15∼30%이며, 아스팔트량은 3.5∼5.5%정도로 이것을 사용한 포장표면은 거칠고 표면에 물이 고이지 않기 때문에 미끄럼저항용으로 사용된다.
개착공법(開鑿工法, Open cut method)
지반을 굴착하여 굴착면이 노출이 된 채로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 오픈컷공법이라고 부른다.
개착터널(開鑿-, Open and cover tunnel)
터널 입출구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입출구부의 암질이 불량할 경우 양질의 암반까지 지반을 굴착하여 터널 구조물을 설치하고 흙으로 다시 되메우기를 실시하여 완료한 터널을 말한다.
거북등 균열(-龜裂, Alligator crack)
주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에서 발생하는 포장의 파손형태의 하나로써 표층이 기층이나 노상에서의 지지력 부족으로 인하여 균열의 모양이 거북이의 등과 같이 망사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건식숏크리트(乾式-, Dry mix shotcrete)
물이 포함되지 않은 마른 상태의 골재와 시멘트 등의 혼합골재를 압축기의 압력을 통하여 운반되고, 노즐 부분의 별개의 호스를 통하여 고압수를 분사시켜 시공하는 방법의 숏크리트.
검사선(檢査線, Screen Line)
실제로 조사한 교통량과 표본조사로 정수화시킨 자료를 자료검증하기 위한 조사시 O-D조사로부터 추정된 교통량을 검증하기 위해 내부 Zone 경계선과 일치하는 검사선에서 어떤 Zone group에서 다른 Zone group으로 향하는 통행수를 파악하는 것이다. 조사방법으로는 조사지점에 교통량 조사기기(Traffic counter)를 설치하고 교통량을 측정하며 지속적으로 교통량의 시간변동을 조사한다. 검사선을 설정할때 검사선을 횡단하는 도로의 수를 줄이고 하천, 철도, 고속도로 등과 같은 지형적인 조건과 일치시키도록 한다.
결 선(結線, Wiring, connection of wire)
전기발파에서 각선끼리, 각선과 보조모선, 보조모선과 모선을 결합하는 것.
경계선(境界線, Cordon Line)
대상지역의 교통량 조사 목적을 위하여 설정된 세력권의 조사대상 범위를 나타내는 경계선으로서 어떤 특정지역의 교통패턴을 파악하기 위한 교통량조사의 수단이며, 대학교와 같은 큰 기관 및 외부경계선의 경우와 같은 곳이 교통조사를 할 때 사용되며 조사방법으로는 목적에 따라 24시간 또는 밤시간을 제외하고 조사하거나 정보가 누락되지 않게 경계선을 횡단하는 도로의 수를 적게 한다. 경계선 설정시에는 경계선을 횡단하는 도로의 수를 적게 하기 위하여 가능한 하천, 철도, 능선을 이용하며 행정구역의 경계와 일치시켜 자료의 이용을 쉽게 하고 매우 큰 주거지역은 가능한 포함시켜서 설정한다. 경계선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로는 그 지역을 출입하는 통행차량 및 사람의 수, 통행수단, 시간별 변동, 경계선내에서 사람과 차량의 누적량을 알 수 있다.
경사방향치기방법(傾斜方向打設方法, Advancing slope method)
터널의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굳지 않은 콘크리트가 연직방향이 아니고 전면으로 이동하도록 치는 방법.
경사보링(傾斜-, Inclined drilling)
연직 보링과 수평보링의 중간정도의 경사를 가지는 보링으로 단층 조사나 경사지반의 조사, 어스앵커 시공시 조사, 구조물 하부에 그라우팅 등 연직방향 보링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함.
경제적 생애(經濟的 生涯, Economic life)
시설물이 다른 대안에 비해서 경제적으로 가장 효율적인(가장 비용이 적게 드는)방법으로 기능할 수 있을 때까지를 생애로 보는 개념.
경험적 바닥판설계법
교량 설계법의 하나로 1983년 처음으로 캐나다 온타리오주 교량설계기준(OHBDC : Ontrario Highway Bridge Design Codes)에 수록되었으며 이후 1994년 미국 AASHTO LRFD Bridge Design Codes에 수록되었다. 이 설계법이 아직 유럽이나 일본에서는 적용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자체 시방을 가지고 교량을 설계하는 나라만을 고려하면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시방서에 수록되었다고 볼 수 있다. 슬라브가 자신을 지지하고 있는 보나 거더와 합성으로 거동하는 경우에 적용하며, 합성형 교량의 경우 교량바닥판이 전단연결재 또는 전단연결철근을 사용하여 주형과 합성으로 거동하기 때문에 교량바닥판에 아칭액션이 형성되어 바닥판의 극한 강성이 증가된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한 교량바닥판 설계법이 경험적 설계법인데 기존의 설계법과 차이를 간단히 말하면 일정량 이상의 철근을 바닥판의 상하부에 배근하고 바닥판의 두께를 약간 키워 전단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라 말할 수 있다. 적용할 수 있는 교량은 교량바닥판이 3개 이상의 주형 위에 거치되며 합성으로 거동하는 경우에 가능하다. 강판형고, PSC 빔교 등이 적용대상이 되며 가장 대표적인 교량이라 할 수 있으며 강박스형교와 콘크리트 상자형 교량의 경우는 박스의 수가 두 개 이상인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단일박스 교량의 경우에는 바닥판의 횡방향 구속력이 작다고 보고 경험적 설계법을 적용하지 않는다.
계획 홍수 수문곡선(計劃洪水水文曲線, Design flood hydrograph)
수리 구조물이나 기타 하천의 관리에 필요한 공사의 기준이 되는 홍수량을 결정하기 위한 경제적 및 수문학적 요건을 고려한 수문곡선.
계획교통량(計劃交通量, Designed daily volume)
① 도로의 계획, 설계를 시행하는 계획목표년도에 통행한 자동차의 1년간 평균 일일교통량(AADT : Annual Average Daily Traffic)을 말하며, 계획목표년도를 설정하는 문제는 계획도로의 기능과 위치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지방지역 도로는 도로계획목표 연도와 같이 20년으로 하며, 도시지역에 대해서는 도시교통의 변화가능성이 높고, 노선의 성격과 중요성을 고려하여 10년으로 한다. ② 계획목표년도의 연평균 일교통량(AADT : Annual Average Daily Traffic)으로 정의되며 이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AADT를 기준으로 한다. AADT 산출방법 - 조사교통량(ADT) × 변동계수(월별, 요일별, 시간대별) = AADT(대/일) - 월변동계수 = AADT / 월평균 평일교통량 - 요일별 변동계수 = 월평균 평일 교통량 / 월평균 요일별 교통량 계획교통량은 계획노선의 구체적인 규격, 폭, 차로수를 결정하고 계획노선의 위치결정, 투자 우선순위의 결정의 기초자료, 도로투자에 대한 경제적 효과분석, 도로구조물 및 도로포장설계와 차량분류 조사에 이용되며 계획교통량은 첨두 특성이 없어 도로의 기하구조 설계에는 이용되지 않는다.
고가도로(高架道路, Elevated road, viaduct)
다른 도로나 철도 등과 입체교차를 시킬 경우 교량형식의 구조로 된 도로.
고무아스팔트(Rubberized asphalt)
합성고무, 천연고무를 라텍스상(狀) 또는 마스터 패칭형으로 하여 석유아스팔트와 혼합 제조하므로써 고무와 같은 탄성이 큰 것으로 이용하여 아스팔트의 성질을 개량한 것. 고무의 첨가량은 일반적으로 아스팔트량의 3~5%임.
고속도로(高速道路, Freeway, Expressway, Motorway)
지역과 지역을 연결하는 간선도로로 장거리 통행을 주교통으로 한다. 지정된 진출입외에는 완전히 출입을 제한한 자동차 전용도로.
고속도로기본(단위)구간(高速道路基本單位區間, Basic freeway segment/section)
노선중 합류, 분류나 엇갈림의 영향을 받지 않는 (단위)구간
고정받침(固定-, Fixed bearing)
보, 받침이 활동 또는 전동하지 않게 된 것. 즉 수평력에 저항하여 수평이동을 구속하고 각 변화에 대하여는 일방향 또는 전방향에 자유스러운 받침.
고정지체(固定遲滯, Fixed delay)
교통량과다나 운영지체와 상관없이 교통제어설비에 의해 야기되는 지체의 한 부분.
고정축간거리(固定軸間距離, Rigid wheel base)
둘이상의 차축을 갖는 불요성 대차에 장치된 일군(一群)의 고정축 중 최전위의 것과 최후위의 것과의 차축 중심간의 수평거리. "고정축간거리"는 일반적으로 궤간보다 작지 않도록 하고 있으며 우리 나라 국철에서는 4.75m 이하로 규정하고 있음.
곡선교(曲線橋, Curved bridge)
교축이 곡선으로 되어 있는 교량. 즉 교량을 직선교와 곡선교로, 직교와 사교로 분류하는데 교량의 빔과 노면이 곡선인 것을 주로 지칭한다.
곡선부(曲線部, Curve, curved section)
도로의 평면선형에서 도로 중심선이 곡선으로 되어 있는 부분. 좁은 의미로는 원곡선부를 말하나 일반적으로는 완화곡선까지 포함하는 평면곡선을 말함.
곡선시점(曲線始點, Beginning of curve)
도로의 평면선형 설계에 있어서 곡선의 시작점을 나타냄. 노선측량에 있어 노선의 곡선설정을 할 때 직선부에서 곡선부로 옮기는 점. BC로 표시함.
곡선장(曲線長, Curve length)
곡선의 시점부터 종점까지의 길이. CL 표시함.
곡선종점(曲線終點, End of curve)
도로의 평면선형 설계에 있어서 곡선의 종점을 나타냄. 노선측량에 있어 노선에서 곡선이 끝나고 직선으로 변화하는 점. EC로 표기함.
공 발(空發, Blown out)
발파작업시 장전한 폭약의 폭력이 부족하여 암석을 파괴하지 못하고 폭력이 공구쪽으로 빠져나가 전색물만을 날려보내거나 공구 쪽의 암석의 일부만을 파쇄하는 현상으로 소음과 비석의 위험이 있는 현상이다. 그 원인으로는 과도한 약장일 경우, 전색이 부적당할 경우, 지발시차의 부적절로 인하여 후열에서 먼저 기폭 되는 경우, cut off 등의 이유로 인하여 저항선이 증가되는 경우 등이다.
공간평균속도(空間平均速度, Space average speed)
도로상의 한 구간 내에 존재하는 자동차 속도의 평균값. 교통량을 밀도로 나눈 값과 일치한다.
공기량 시험(空氣量試驗, Air content test)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 함유량을 구하는 시험. 시험방법으로는 공기실 압력법 또는 중량방법 등이 있음.
공기량(空氣量, Air content)
콘크리트를 타설 직후의 콘크리트 속에 포함하는 공기의 양. 콘크리트에 대한 용적 백분율로 나타냄.
공내재하시험(孔內載荷試驗, Boreholes load test)
보링 공벽과 바닥에서 수행되어지는 재하시험. 공벽의 재하시험은 횡방향 재하시험이라고도 부르고, 공벽에 압력을 가하여 횡방향 지반반력계수, 변형계수 등을 구한다. 보링공 바닥 재하시험은 심층 재하시험이라고도 부르며 깊은 기초의 지지력을 구할 때 사용됨.
공내재하시험기(孔內載荷試驗器, pressuremeter)
프랑스의 Menard에 의해 개발된 시험기로 시추공내에 고무튜브로 된 탐봉(探棒)을 삽입하고, 압축된 공기압에 의하여 탐봉튜브 속으로 수압이 작용하도록 함. 이때 탐봉튜브 속으로 유입된 물의 양으로 공벽의 변화량을 산출하도록 하는 시험기구임. →공내재하시험
공동구(共同溝, Common duct)
복잡한 도로에서 노면 굴착으로 인해 도로구조의 보존 및 교통소통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높은 경우 도로노면의 굴착을 수반하는 지하매설물(전기, 가스, 수도, 전선, 상?하수도 시설등)을 공동수용하면서 도시미관, 도로구조보전, 원활한 교통소통을 확보하기 위해 지하에 설치하는 시설물을 말한다. 설치 효과 (1)각종 매설물 점용공사에 의한 반복된 도로의 노면굴착 배제로 교통소통 원활 및 교통사고 감소. (2)반복굴착 및 복구에 따른 경제적 손실방지 및 노면지지력 손상 배제. (3)지하매설물 정비 및 합리적 이용 기대. (4)점용단면에 대한 수용용량이 기대되며 도시미관에 유리.
공동도급(共同都給, Joint venture)
①공동도급은 보통 협동도급이라 함. 두 명 이상의 도급업자가 특정 단일공사에 협정을 체결하여 도급하는 방법으로 공사에 책임이 있음 ②하나의 공사를 대상으로 둘 이상의 시공자가 공동으로 그 공사의 도급을 목적으로 임시의 기업체를 결정하고, 공사 완성 후에는 해산을 하는 공동경영의 한 방식. ③큰 공사를 단 하나의 회사로는 도저히 감당하지 못할 때 이용됨.
공동현상(空洞現象, Cavitation)
고속회전시 유체 흐름에서 국지적인 부압으로 공동이 발생하는 것. 수력기계의 터빈이나 펌프의 날개에 심한 손상을 입히기도 함.
공시체(供試體, Test piece)
재료의 역학적인 시험(압축시험, 인장시험, 휨시험, 전단시험, 크리프 시험)을 하기 위하여 일정한 규격(KS 규격)에 따라 만들어진 시험재료. 시험용 성형한 시료.
공용교통량(公用交通量)
도로포장 완공 후 1년 동안의 통행이 예상되는 일평균 왕복교통량
공용성 등급(共溶性等級, Performance Grade)
기존 도로의 문제점 개선 및 공용성 향상을 목적으로 도로전반에 관하여 연구한 SHRP(Strategic higway research program, 미국에서 수행)라는 프로젝트에서 제시된 새로운 규격으로 기존의 규격과는 전혀 다른 개념의 아스팔트 규격이다. 기존의 침입도 및 점도규격과는 전혀 다른 아스팔트가 갖추어야 하는 기본 5가지 성능, 즉 노화, 소성변형, 피로균열, 저온균열에 대한 저항성과 작업용이성에 대해 포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평가하며, 포장지역의 기후 및 교통조건에 따라 아스팔트 등급을 결정하는 규격이다.
공용성(共溶性, Performance)
포장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느끼는 승차의 쾌적성
공용성지수(共溶性指數, PSI-Present serviceability index) (표 있음)
포장의 서비스 능력은 자동차와 트럭교통에 높은 속도와 높은 용량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되며, AASHO 도로시험에서 그 절차는 포장의 서비스능력을 주기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현재 서비스능력 평가로 간주된 이절차는 도로의 사용자로서 도로공학 분야에 많은 경험을 가진 심사단에 의한 개인적인 평가를 평균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비스능력 평가를 위하여 사용불가능한 도로(PSI=0)에서 완전한 이상적인 도로(PSI=5)까지의 scale이 정립되었으며 그 절차는 포장의 물리적 측정자료를 조합하여 현재 서비스 능력의 등급을 추정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이 값들의 조합은 현재 서비스지수(P)로서 나타내며 AASHO에서의 포장설계원칙은 서비스능력-공용성개념(serviceability-performa nce concept)인데 공용성과 포장구조설계 사이의 관계를 정립함으로써 특정한 총 교통량에 대하여 포장을 설계하고 공용기간이 끝나는 시점에서 최소서비스 능력수준에 이르게 한다는 개념이다. 또한 AASHTO에서는 서비스 지수에 대한 개념을 도로 이용자가 주행시 느끼는 승차감에 기인하는 쾌적도를 시험을 통하여 객관적 평가개념으로 설정하려 하였는데 AASHO 도로시험연구에서 얻은 최소 수준의 Pt에 대한 일반적 지침은 다음과 같으며, 최저 허용 PSI 즉 최종서비스 지수(Pt)는 복구, 표층 재포설 또는 재포장을 하기전에 견뎌낼 수 있는 최저지수에 근거한 것으로 도로 이용자의 주관적인 요소에 근거한 객관적인 지표라는 다소 애매한 개념이라 하겠다.
공항포장(空港鋪裝,Airport pavement)
공항의 활주로, 유도로 또는 계류장에 설치되는 포장을 가르킴. 공항포장은 포장의 기능에 따라 강성포장과 연성포장을 적절히 구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설계법으로는 CBR 법, FAA 법, PCA 법, COE 법 및 shell 등이 있음.
관 로(管路, Pipe line)
폐합(閉合) 단면수로에 물이 가득차서 수압이 높은 단면에서 수압이 낮은 단면으로 물이 흐르는 압력관 수로
관거접합(管渠接合, Pipe connection)
관거를 시공시 관의 지름, 설치되는 기울기, 방향이 변경되는 장소에서 관거간에 연결이 필요한 위치에서 맨홀등을 이용하여 관과 관을 연결하는 것을 말함.
교 점(交點, Point of Intersection)
단곡선에서 두 직선이 교차되는 점을 교점이라 함. 즉, 교각을 이루고 있는 점을 말함(IP).
교 각(橋脚, Pier)
교량의 하부구조의 하나. 두 경간 이상의 경우 중앙부에서 교대 또는 다른 교각과 함께 상부구조를 지탱하는 구조물.
교 대(橋臺, Abutment)
교량의 시종점부에 설치되며 도로와 교량을 접속시키며, 상부구조물의 하중 및 배면의 토압을 지지하는 구조물.
교량상판(橋梁床板, Bridge floor/deck)
교량 상부구조로서 교량 위를 통과하는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부분.
교면종방향경사(嬌面縱傾斜)
교량면위에 차량의 원활한 교통을 위해 배수, 미관 등을 고려하여 설치하는 종방향경사, 보통 장대(長大)교량은 0.2~1.0%, 중?소형 교량은 1~2%로 종방향 경사를 설치한다.
교차도로(交叉道路, Cross Street)
두 개의 도로가 서로 진행방향이 서로 다르면서 교차는하는 도로
교차로(交叉路, Intersection)
도로가 서로간에 합쳐지거나 횡단하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도로가 만나는 공간 및 그 내부의 교통시설로써 일반적으로 평면교차로를 말함. - 평면교차로(at-grade Intersection) - 입체교차로(grade Intersection)
교차저항(交叉抵抗, Intersection friction)
진행방향이 서로 교차하는 2개의 교통류가 잠재적 또는 실제의 충돌로 인하여 교통류의 움직임에 변화가 발생하여 지?정체가 발생하는 것을 뜻함.
교차점 교통조사(交叉點交通調査, Intersection census)
비교적 작은 지역을 대상으로 한 OD조사. 조사점을 결정한후 그 조사점을 통과하는 교통량을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교차점 유출부(交叉流出部, Intersection exit)
교차점의 노선중 교차점으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유출하는 교통이 사용하는 부분
교차점(交叉點, Intersection point)
도로나 물의 흐름이 서로 엇갈리는 지점. 또는 서로 교차하는 도로의 차도 외측선을 연장한 선에 의하여 둘러싸인 구역.
교차점유입부(交叉點流入部, Intersection entrance)
교차점의 노선 중 교차점으로 유입하는 교통이 사용하는 부분.
교통감응신호(交通感應信號, Traffic-actuated signal, vehicle actuated signal)
교통제어구간으로 진입하는 자동차가 감지신호에 의하여 신호현시(信號顯示)의 변화를 일으겨 원활한 교통흐름을 유도하도록 고안되 교통신호.
교통공학(交通工學, Transportation Engineering, Traffic Engineering)
넓은 의미로 사람과 화물을 안전하고, 신속하고, 쾌적하고, 편리하고, 경제적이며 환경과 조화되게 수송할 수 있도록 모든 교통수단을 위한 시설들의 계획, 기능적 설계, 운용 및 관리에 기술과 과학적 원리를 적용하는 공학의 한 분야. 좁은 의미로 도로, 가로 및 이들의 망과 터미널, 인접 토지등의 계획, 기하구조 설계 및 교통운용과 다른 교통수단들과의 관계를 취급하는 공학의 한 분야.
교통공해(交通公害,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road traffic)
도로의 교통으로 발생되는 대기오염, 소음 소음 및 진동 등으로 사람의 건강 또는 생활환경에 피해가 생기는 것.
교통관리시설(交通管理施設, Traffic control device)
도로 교통의 원활화와 교통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치한 교통표지판, 반사체, 라인, 비상전화, 도로정보 표출장치, 도로감시시설, 교통신호기 등의 시설을 총칭함.
교통관제시스템(交通管制-, Traffic control system)
교통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하여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교통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기기와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처리전달기기에 의거하여 교통을 제어하는 교통신호기, 가변표지, 도로교통 정보판 등의 시스템.
교통구성(交通構成, Traffic Composition)
도로를 주행하는 교통류내 차종별에 대한 구성비를 나타내는 것으로써, 시설물의 용량이나 서비수준 산정시 중요한 입력값이다.
교통권(交通圈, Traffic zone)
특정한 기능을 갖는 지점, 지구 또는 도시, 지방 등을 중심으로 한 도시내의 범위. 교통권은 모(母)도시로부터 직접 방사하는 교통노선이 미치는 범위를 가지는 형태적 교통권과, 도시의 기능 또는 사람이나 건물의 노선상의 유동정도에 따라 모(母)도시의 세력이 미치는 범위로 결정하는 기능적 교통권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교통규제(交通規制, Traffic control)
도로 이용자의 위험을 방지하고 교통의 안전과 원활을 기하며 교통공해, 기타 도로교통으로 인한 장애를 방지하기 위하여 신호기, 도로표지 등을 이용하여 교통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반의 조치를 말한다.
교통량 - 용량비(交通量 - 容量比, Volume - Capacity ratio)
교통시설의 용량에 대한 교통량의 비( V/C )
교통량(交通量, Traffic Volume, Traffic)
단위 시간당 일정지점을 통과하는 교통량 또는 보행자등의 수, 예를 들면 한시간, 주간(晝間), 12시간, 1일 등 그 사이에 통과하는 자동차, 자전거, 보행자 등의 수.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대한 수를 말함.
교통량계절변화도(交通量季節變化圖, Seasonal traffic pattern)
일정기간 동안에 걸쳐 지속적으로 교통량을 조사하여 변화량을 각 월평균교통량에 따라 표시한 도표
교통량도(交通量圖, Traffic flow diagram)
도로망 또는 일부 지역을 일정시간(보통 한시간)내에 통과하는 교통량을 도표로 표시한 것. 교통량도에 나타나는 선의 굵기가 교량의 크기를 나타낸다.
교통량배분(交通量配分, Traffic assignment)
OD조사에서 얻은 통행(trip)을 특정한 노선군(현존 및 계획중의 것)에 배분하여 이들의 교통량을 구하는 작업
교통량예측(交通量豫測, Traffic prognosis)
도시계획이나 도로건설 계획 등을 수립하기 위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써 현재의 기본 교통량을 기준으로하여 과거의 교통량 증가율과 장래의 토지이용계획 및 기타 여러 가지를 감안하여 장래의 교통량을 추정하는 것.
교통류(交通流, Traffic stream)
도로상에서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교통, 일반적으로 차량교통을 말함.
교통류율(交通流率, Flow rate)
보통 5분 또는 15분 동안 일정지점을 통과한 차량수를 시간당 교통량으로 환산한 값.
교통망 평형(交通網 平衡, Traffic Network Equilibrium)
교통망 분석에서 이용자 효용 극대화 혹은 체계편익 극대화 원칙하에서 더 이상 극대화 할 수 없는 상태에 도달하여 주어진 조건하에서 더 이상 변화 할 수 없는 안정된 균형상태인 교통망의 교통상태. 즉 도로가 가질 수 있는 서비스지수가 최상일 때의 최대의 교통량.
교통망(交通網, Traffic Network)
교통체계를 나타내는 선(Link)과 결절점(Node)으로 구성된 하나의 체계를 의미함. 즉, 두 지점(Node)을 연결하며 방향성을 갖는 선의 조합상태인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는 하나의 체계임. 대중교통의 경우에는 전체의 체계를 구성하는 노선과 정류장의 배치로 나타내기도 함.
교통밀도(交通密度, Traffic density)
어느 순간 단위길이에서의 주행차로상에 존재하는 차량의 수. 보통 대/km의 단위로 표시함.
교통배분(交通配分, Traffic Assignment)
기종점간 교통량을 교통망상에 배분하는 것으로써 통행수요 예측의 최종단계이다. 교차로에서의 방향별 회전 통행량과 구간별 통행량 등을 구체적으로 추정함.
교통사고율(交通事故率, Traffic accident rate)
도로의 어느 일정 단위구간당 교통사고가 발생한 비율.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연간 주행 1억대 km당, 지역인구 10만인당, 자동차 보유대수 1만대당, 각각 1년간 발생한 교통사고의 비율을 말할 경우가 있음.
교통상충(交通相衝, Traffic Conflict)
교통흐름이 상호간에 교차(Crossing), 합류(Merging) 또는 분류(Diverging) 하는 것. 또는 이러한 도로구간에서 발생하는 차량간의 충돌 가능성.
교통섬(交通섬, Traffic Island)
① 차량의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을 확보하거나 보행자의 안전한 도로횡단을 위하여 교차로 또는 차도의 분기점등에 연석 또는 노면표시등으로 설치한 섬 모양의 시설. ② 교통섬은 보행자를 위한 안전섬과 교통유도를 위한 도류섬의 양자를 총칭. ③ 교통섬의 설치목적 - 도류로를 설치하여 교통흐름을 안전하게 유도. - 보행자 횡단시 안전섬 역할을 함. - 신호등 도로표지, 안전표지, 조명등 노상시설의 설치장소를 제공함. - 교차로에서는 정지선 간격을 좁히는 역할을 함. ④ 교통섬의 구성요소 - 교통섬 선단의 반경 Ri : 0.5 ~ 1.0m Ro : 0.5m Rn : 0.5 ~ 1.0m ⑤ 교통섬의 형태 - 교통류를 분리하는 경우 - 안전도를 겸용하는 경우 - 시설물을 설치하는 경우 - Taper를 붙이지 않는 경우
교통영향평가(交通影響評價)
도로의 신설 또는 확장에 따른 교통영향으로 자연환경, 생활환경, 사회 및 경제적 환경등 주변에 영향을 미치는 상태를 측정?분석하는 것으로 계획도로 주변의 토지이용 및 도로교통현황, 관련계획검토, 장래교통수요예측, 사업시행에 따른 교통영향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등으로 구성된다. (표있음)
교통용량(交通容量, Traffic Capacity)
주어진 도로조건, 교통조건, 교통통제 조건하에서 일정한 시간동안 도로의 정해진 구간을 차량이 통과하리라 기대되는 시간당 최대교통량.
교통지구(交通地區, Traffic Zone)
교통수요 추정하고 분석하기 위한 공간적 단위로써 심점(Centroid)으로 대표되며, 사회?경제적 자료의 수집이 용이하도록 설정함.
교통진단(交通診斷, Traffic diagnosis)
교통용량, 안전성, 경제성을 고려하여 도로망 또는 수송망의 가치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
구 배(勾配, Grade, Gradient, Slope, Pitch)
경 사
구 제(Crimping)
공업뇌관과 도화선 또는 점화장치와 결합하는 것.
구간속도(區間速度, Over all traffic speed)
일정한 시행구간에서 전구간의 거리를 모든 교통지대를 포함한 전주행시간으로 나눈값. km/hr
구스아스팔트 포장(Guss asphalt pavement)
아스팔트 함량 7~8%에 잡석, 모래, 돌가루를 가열혼합하여 쿠커(cooker)라 불리는 가열 보온장치와 교반기가 장비된 차로 포장현장에 피니셔와 인두로 포설하는 공법. 방수효과가 크고 저온에도 균열이 생기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것을 표층에 사용할 때는 보통 잡석칩을 살포하여 스파이크 롤러로 정착시킨다. 매스틱 아스팔트와 같다.
구스아스팔트(Guss asphalt)
석탄, 돌가루 또는 천연아스팔트 분말을 주재료로 하여 고온시의 혼합물이 유동성을 이용하여 유입시키고 피니셔나 큰 흙손으로 편평하게 평탄작성을 하는 아스팔트.
국지도로(局地道路, Local road)
도로를 기능적으로 분류할 때 이동성은 제한되고, 접근성이 높은 도로로서 일반적으로 속도가 낮고 교통량이 적으며 거리가 짧아 단거리 교통량을 위한 도로이다.
굴진장(掘進長, Excavation length)
터널작업에서 매 발파당 실제 전진한 단위 길이를 의미한다. 발파의 경우 일반적으로 굴진장은 천공장보다 짧다. 통상 천공장에서 10~20cm의 잔류공이 남는다. 적정한 굴진장의 선정은 갱도의 크기, 작업싸이클, 지보의 설치, 발파방법 등에 의하지만 암반 자체의 지보능력에 좌우되며 특히, 도심지에서는 발파진동의 허용치 정도에 영향을 받는다.
규준틀(規準 틀, Leading frame)
시공시 기준이 되는 틀로써 각종 구조물 공사에서 줄, 말뚝 및 판대기로 구조물의 위치, 높이, 형상 등을 현장에 표시하는 가설물.
균열률(龜裂率, Crack ratio)
아스팔트 포장도로에서 대상면적에 대하 균열발생 면적(망상(網狀) 균열면적 ㎡+선상 균열연장 m×0.3m)의 비율
그린 네트워크(Green network)
도로개발로 인해 끊어진 생태계를 다시 잇는 "생태 연결지대" 계획의 일환으로 태백산맥 등 5대산맥과 국립공원을 그린네크워크의 중심으로 해서 전국의 자연생태계와 도시시설을 재구성하여 고립된 녹지공간을 교량으로 이용, 연결하고 동식물의 이동을 보장하기 위한 계획으로 '95. 3. 15부터 환경부에서 추진중인 사업.
기 폭(起爆, Occurring of explosion)
폭약에 충격, 마찰, 전기, 열 등의 외적작용에 의하여 폭약을 폭발시키는 것을 기폭이라고 한다. 천공장과 장약장이 클수록 강력한 기폭약을 사용하여야 완전한 폭력의 발휘를 할 수 있다. 이렇게 기폭할 수 있는 예민도를 기폭감도라고 하며 초유폭약(ANFO)은 뇌관만으로는 기폭이 되지 않고 기폭약포(Primer)를 사용하여야 비로소 폭굉에 이른다.(경우에 따라서는 뇌관만으로 불완전한 폭발을 일으키기도 한다)
기본 클로소이드(Symmetric Clothoid)
도로의 평면선형 계획시에 사용되며, 도로의 기본적인 완화곡선의 하나로써, 직선-클로소이드, 원곡선-클로소이드-직선의 순으로 조합된 형식.
기본용량(基本容量, Basic Capacity)
이상적인 교통 및 도로 조건하에서 단위 시간내에 통과할 수 있는 최대 교통량.
기술적 생애(技術的 生涯, Technological life)
이 개념은 시설물이 기술적인 문제로서 쓸모가 없어질 때까지를 시설물의 생애로 보는 개념
기층(基層, Base course)
표층을 지지하고 교통하중 및 충격을 적당히 분산, 경감하여 이것을 노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표층, 중간층, 보조기층 또는 노반사이에 포설하는 포장층
기회손실비용(期會損失費用-Denial-of-use cost)
의사결정의 결과로써 발생한 입주, 또는 생산의 지연에 의하여 발생한 불필요한 비용 또는 수입의 손실분이다. 예를 들어 건설비가 동일한 2개의 개조안을 고려할 경우, 제 1안은 6개월 동안 거주인을 다른 장소로 임시 이동시켜야 하나, 또 다른 대안은 근무 시간 이외의 시간을 이용하면 개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긴급제동시설(Emergency Escape Ramp)
급경사의 내리막 종단경사가 연속되는 도로에서는 고장 자동차 등이 긴급히 피난하여 정지할 수 있어야 하며 필요한 경우 긴급제동시설을 설치해야한다. 자동차가 주행 중에 제동장치가 고장날 경우 자동차의 도로이탈 및 충돌사고를 방지하고 승객 및 차체에 대한 손상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산지부의 내리막 급경사가 연속된 곳에는 필요시 긴급제동시설을 설치한다. 고속도로에서는 하향종단구배 3%이상 구간이 5km이상 연속되는 경우 2~3km 간격으로 설치. 설치제원 - Ramp 폭 : 최소 7.8m이상 (9~12m가 바람직) - 골재부설층 골재 최대 추천 규격 : ø40m/m - 구난차 및 견인차 이용 보조도로 : 포장된 도로로 폭 3m - 견인앵커 : 100간격으로 설치 - 본선 우측에 설치 : 공식 (R : 등가제동저항, G : 구배, V : 골재부설층 진입속도) - 차량진입속도 추정 : 130~140 km/hr (고속도로에서는 경제성 감안 100km/hr 적용)
길어깨(Shoulder)
① 도로의 주요 구조부를 보호하거나 차도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차도에 접하여 설치하는 도로의 일부로서 도로의 주요 구조부 즉, 도로의 본체를 보호하며 고장차의 대피장소 제공으로 교통혼잡방지와 측방 여유폭으로서 교통의 안전성과 쾌적성 유지, 노상시설의 설치장소 제공, 유지보수 작업장이나 지하매설물 설치장소 제공, 보도 등이 없는 도로에서는 보행자의 통행장소 등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② 길어깨 구성 폭 : 고속국도 ; 3.0m(우측), 1.0m(좌측) 국 도 ; 2.0m(우측), 0.7m(좌측), (우측 길어깨 최소폭 : 1.0m) ③ 적설지역은 제설여유폭 확보하고, 도시지역 시가지도로에 정차대 또는 보도가 설치될 경우 길어깨를 생략할 수 있다
나
나들목(나들목, IC-Interchange)
주로 교통량이 많은 등급이 높은 도로에서 저급의 도로로 연결로(Ramp)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지점을 가르키는 도로시설물에 대한 용어이며, 고속도로의 경우는 국도, 지방도, 시군도 등과 고속도로가 연결되는 지점을 말하며 대부분의 경우 요금소가 함께 설치되어져 있다. 고속도로의 경우는 수원IC, 판교IC, 성남IC 등이 이에 해당한다.
나선철근(螺旋鐵筋, Spiral reinforcement)
교량의 교각 등에서 축방향 주철근을 나선모양으로 둘러싼 철근.
나선철근기둥(螺旋鐵筋-, Spiral column)
기둥을 형성하는 내부의 주철근의 외부를 나선철근으로 둘러감은 철근콘크리트기둥.
나선형곡선(螺旋形 曲線, Spiral curve)
도로의 선형계획에서 평면선형 구간의 곡선반경이 곡선장을 따라 점차적으로 비례하여 변화하는 완화곡선의 일종으로, 차량의 원활한 주행을 위해 원곡선 또는 곡선반경이 다른 두 원곡선 사이에 설치함.
낙 반(落磐, Rock fall, cave-in)
터널 천장부의 암괴, 토사 등이 무너져 떨어지는 것으로 터널공사의 건설시 발생하는 사고중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며 위험도가 높음.
낙 석(落石, Rock fall)
절벽, 절토 경사면, 지하갱도 등에서 여러 가지의 모양가 크기로 암이 낙하하는 형상.
낙석방지망(落石防止網)
절토법면의 낙석이 낙석방책 시설만으로 방지하기 어려운 위치에 설치하며 주로 발파암의 높이가 10m 이상인 구간에 설치하게 된다.
낙석방책(落石防柵, Fence for rock fall)
절토 경사면에서의 낙석우려가 있는 위험한 장소에 설치하여 도로이용자의 안전을 도모코자 설치하는 도로안전 부대시설로써 콘크리트 기초에 H형강 등을 고정하고 철망등의 방호책을 추가한 시설물이다. 고속도로의 설치기준은 - Type 1~4 까지로 나뉘며 절토법면의 암종류와 절토고에 따라 설치방법이 다르게 적용된다.
난형클로소이드(卵形-, Egged - shaped clothoid)
두 개의 동방향으로 굽은 원호를 하나의 클로소이드로 연결한 것.
날개벽(Wing wall)
교량의 교대나 수문 등에 접하여 양측방향의 토사를 지지하는 옹벽.
내공변위계(內空變位計, Convergence meter)
터널 시공시 굴착 후 막장의 진행에 따른 터널내공의 변위를 측정하는 계기로서 정밀도는 0.01mm 이상을 사용함.
내구(성)시험(耐久(性)試驗, Durability/endurance test)
장시간 사용되는 재료나 구조(교량)가 사용에 얼마나 견디는가를 조사하는 시험. 수많은 반복응력에 대한 재료의 내구한도?파괴되지 않는 상한의 응력을 구하는 시험 →피로시험
내구년한(耐久年限, Endurance period)
목재나 부재 또는 구조물을 보수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연한, 수명
내구성(耐久性, Durability)
콘크리트가 사용에 견디는 연한에 따라 정해지는 콘크리트의 성질. 이에 영향을 끼치는 외적 작용으로는 유류, 산, 알칼리,염류, 및 해수의 작용 등이 있음. 내구성을 평가하는데는 실제의 내구기록이 가장 중요하나 여러 가지 촉진시험(동결융해 등)이 고안되어 있음.
내마모 포장(耐磨耗鋪裝, Durability pavement)
적설이나 노면에 동결이 있는 한냉지역에서 타이어 체인에 의한 노면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이에 견디는 성질이 우수한 혼합물을 표층에 시공하는 것.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모르터, 내마모용 토페커 또는 구스 아스팔트 등을 시공하고 있음.
내마모성(耐磨耗性, Durability ablation)
마모에 견디는 성질
내마모성표층혼합물(耐磨耗性表層用混合物, Anti-wearing mixture)
강설량이 많은 적설 한랭지대에 쓰이는 타이어 체인 등에 의한 마모에 강한 아스팔트 혼합물. 아스팔트 함유량(11.0~9.5%)과 필러분이 많은 아스팔트 모르터, 내마모 토페카 등이 있음.
내마모토페카(耐磨耗-Durability topeca)
아스팔트량(8.0~9.5%) 및 필러분을 많이 넣어 마모층의 효과를 증대시킨 토페카
내부수익율(內部收益率, Internal rate of return : IRR)
비용편익 분석에 있어서 많이 사용되는 평가기준중의 하나로 분석기간에 있어 현재의 비용가치와 미래의 비용 가치와 동일하게 할 수 있는 할인율을 말하며, 투자사업을 정확히 선정하기는 하나 투자사업의 수명이 다를 경우와 편익의 발생시기가 다른 경우들을 비교하는데 있어서는 잘못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할인율을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공식 공식 여기에서 가 내부수익율이다. 내부수익율은 사업의 채산성을 나타내므로 비교할만한 대안이 없을 경우 유용한 기준이 될 수 있으나, 어느 정도의 수익률이 적절한 것인가에 대한 판단을 필요로 한다.
내압시험(耐壓試驗, Pressure proof test)
압력에 견디는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으로써, 소정의 압력을 가해서 기밀성, 수밀성, 내력, 변화 등을 조사하는 시험. 수압을 가할 때는 수압시험이라 함.
내유성 포장(耐油性 鋪裝, Oil resistant pavement)
주차장, 버스정류장 등 차량의 정, 주차가 이루어지는 장소로 휘발유, 경유 또는 엔진오일 등에 의하여 포장이 파손될 우려가 있는 곳에 내유성을 갖도록 하는 포장.
내정전뇌관(Anti-static electric detonator)
정전기를 견디어 내는 성능이 우수한 뇌관을 말하며, KS에는 2,000pF의 정전용량을 갖는 콘덴사에서 발생하는 8,000Volt에서 견딜수 있는 뇌관으로 규정됨.
내진설계(耐震設計, Aseismatic/earthquake resistant design)
지진에 대해 안전하도록 구조물 등을 설계하는 것. 진도법에 의한 설계는 정적설계법이라 하며, 지진파를 이용한 해석법에 의한 설계는 동적설계법이라 함
노 즈(Nose)
교통섬의 앞부분 혹은 분리대등의 앞부분, 여기에는 분류단 노즈와 합류단 노즈가 있으나 설계상 주로 문제가 되는 것은 분류단 노즈로서 보통 노즈라고 하면 분류단 노즈를 가리킴.
노 반(路盤, Road bed subgrade)
도로의 포장과 노상의 사이에 있는 층을 노반이라고 하고, 노반을 상층노반과 하층노반으로 구분함. 노반면(Subgrade), ,노면(Surface) 또는 기공기면(formation)
노 상(路床, Subgrade)
포장층을 지지하고 있는 지반으로서 포장층 바로 아래에 접하는 두께 1m 정도의 범위 토사층을 말한다.
노 정(路頂, Crown)
도로 횡단면의 정점으로 볼록곡선의 형태임.
노 체(路體, Road bed filled up ground)
도로의 구조상 흙쌓기 단면을 구분할 때 노상의 아랫부분으로 원지반까지의 흙쌓기부.
노 치(Notch)
구조부재의 단면형상이 급격하게 변하는 부위로써 응력집중이 생기기 쉬운 부분을 말함. 구멍, 홈, 균열 또는 용접결함 등에 의하여 노치효과가 발생할 수 있으며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노면교통(路面交通, Road traffic)
도시에서 자동차, 전차, 버스, 자전거 등 주로 노면을 따라 운행이 이루어지는 교통, 노면교통의 특징은 각종 교통수단이 제한된 노면에서 경쟁을 하므로 교통속도, 차선, 신호, 좌우회전, 통행시간 등에 관해 규제하고 있음.
노면마무리기(路面-機, Road finisher)
도로 포장공사에 있어 노면 최종마무리에 사용되는 기계. 아스팔트 피니셔 및 콘크리트 페이버는 이에 속한다.
노면배수(路面排水, Surface drainage)
강우시 도로의 노면에 흐르는 물을 인접한 배수시설로 유도하여 처리하는 것으로 인접 배수시설로의 유입이 얼마나 원활하게 이루어지는지의 여부에 따라 이용객의 안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노면수는 중분대 집수정과 일반적으로 노측(路側)에 설치한 측구(側溝)로 유도하여 처리한다.
노면요철(路面凹凸, Rumble strips)
차량의 저속주행을 위한 시각적 효과와 보행자 및 자전거이용자의 안전향상 등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치한 도로수직 구성의 변화
노면절삭(路面切削, Road cutting)
아스팔트포장의 여름철 기온상승과 중차량 통행으로 인하여 발생한 소성변형등을 전용기계(노면절삭기)로 깍아내어 포장면의 평탄성과 미끄럼에 저항하도록 하는 공법
노면처리재(路面處理材, Surface treatment material)
포장면에 보호막 또는 엷은 보호층을 만들기 위하여 골재의 결합재로 사용되는 노(濃)액체 또는 반(半)고체의 역청
노면처짐(路面-, Road deflection)
포장이 견딜수 있는 하중보다 큰 하중을 가진 차량이 통과할 때 노면이 침하하고 남기는 현상.
노면표시(路面表示, Pavement marking)
도로의 이용자의 안전과 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유도하고 운전자나 그 밖의 이용자에게 필요한 주의, 규제, 지시, 안내 등의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도로상에 페인트 등을 이용하여 표시한 각종 정보. 도로에 표지판만으로 정보의 사전전달이 어려움이 예상될 경우 추가적인 방안으로 설치한다.
노면표층 재생기(路面表層再生機, Surface recycling equipment)
도로포장과 보수를 위해 기존 포장재료를 재활용하는 기계로서 기존 아스팔트 포장을 히터로 가열하고, 노면절삭기로 절삭을 한다음 이를 고르고 펴 깔아 다짐하여 재포장하는 기계
노상배수(路床排水, Subgrade drainage)
포장구조에 있어서 노상면에 편경사를 두어 노상으로 유입되는 물을 배수시키는 것을 말한다.
노상지지력계수(路床支持力係數, Modulus of subgrade reaction)
포장설계시 포장층이 설치될 노상의 지지강도 또는 지지용량을 나타내는 값으로 CBR, R값, 군지수, 동탄성계수와 같은 강도정수와 상관시켜서 결정함.
노상지지력치(路床支持力値, Value of subgrade reaction)
아스팔트 포장의 AASHTO 설계방법에서 포장하고자 하는 도로의 노상에 대한 지지력을 나타낸 계수.
노상토(路床土, Subgrade soil)
도로포장 시공시 포장체의 하부와 노체(路體)의 상부에 설치는 성토재료. 재료의 규격은 도로공사 표준시방서의 기준에 따름.
노상혼합(路床混合, admix construction)
입도(粒度) 조정공법, 석회안정처리, 시멘트 안정처리, 아스팔트 안정처리 등을 실시할 때 재료의 혼합을 현장의 노상에서 시행하는 방식. 혼합작업에는 일반적으로 road stabilizer 등을 사용함.
노선가치(路線價値, Street value)
노선의 계통, 폭 및 구조 등을 표준으로 하여 정하는 도로의 비교가치
노선선정(路線選定, Route location)
도로나 철도의 계획에 있어서 가장먼저 시행되는 작업으로 신설에서 노선의 위치와 기하구조를 선정하는 것으로 비용, 효과, 향후 유지관리의 용이성 등 다양한 방면에서 비교 검토하여 선정한다.
노선실측(路線實測, Final location)
예비측량 결과 선정된 노선을 현지에 정하는 작업 예비측량보다 상세한 지형도를 만들고 이 도상에 중심선을 선정한 후 현지에 중심선을 설치하며 시점에서부터 종점까지 1체인(20m)마다 중심말뚝을 박는다. 설치된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종횡단 측량 등을 실시한다.
노선예비측량(路線豫備測量, Preliminary surveying)
도로 예정노선에 따라 지형, 지물의 실황을 알기 위하여 시행하는 측량
노선의 변경(路線-變更, Modification route)
노선의 일부를 변경하는 것. 노선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폐지하고 새로운 노선을 선정하여 도로법의 규정에 의거 노선을 변경하는 것.
노선의 중복(路線-重複, Overlap of route)
도로들 중 서로 다른 노선이 동일 위치나 유사한 위치에 계획되거나 존재하는 것. 도로법에서는 법정도로로 고속국도, 일반국도 특별시도, 지방도 및 시, 군도의 노선이 중복되어 있을 경우 중복부분에 한하여는 상위노선에 관한 규정이 적용됨
노선의 폐지(路線-廢止, Abolition of route)
해당 노선의 대상으로 되어 있는 도로를 도로법상의 도로가 아닌 것으로 하는 행정행위를 말한다.
노선인정(路線認定, Recognition of route)
특별시도, 지방도 및 시, 군도에 대하여 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 또는 시장, 군수가 도로의 기본적 개괄적인 위치를 정하는 행정행위
노측오디조사(Roadside interview origin destination survey)
출발지와 목적지를 조사하는 방법으로서, 도로의 외측으로 자동차를 일시 정지시켜 조사원이 노측에서 운전사 또는 승객에게 기점과 종점을 질문하여 기록하는 방식
노측저항(路側抵抗, Marginal friction)
도로의 바깥쪽에 존재하는 장애물로 인하여 자유로운 교통 소통을 지연시키거나위험으로 인한 영향
노화(아스팔트의)(老化, aging, weathering)
①아스팔트 혼합물의 결합이 약화되어 풀어진 것과 같은 상태. ②포장이 내구년한이 오래되어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풍화되고 노화된 상태.
뇌 관(Detonator, cap)
폭약 또는 화약을 폭발하기 위해 점폭약 또는 점화약을 관체에 장전한 것으로 사용에 따라서 점화용 뇌관, 점폭용 뇌관으로 분류한다. 점화용 뇌관은 소총이나 피스톨 약협(case) 저부에 부착하여 발사약에 점화하는 것으로, 격발뇌관과 전기뇌관으로 나뉘어진다. 점폭용뇌관은 폭약을 폭굉시키는 것으로 공업뇌관과 군용으로 나뉘어지고, 공업용에는 공업뇌관, 전기뇌관, 비전기뇌관, 전자뇌관 등이 있다.
누설전류(Leakage current)
전기발파에서 전기뇌관의 각선에서 대지로 누설하는 전류. 각선이 물, 특히 산성 또는 알카리성의 물에 접촉시, 또는 암석 광상의 종류에 의해 누설이 크다. 이것과는 달리 갱내의 전원에서 전선을 타고 흐르는 전류가 누설 즉 미주전류를 누설전류라고 말하나, 양자의 구별은 현재로서 명확하지 않다.
눈높이(Eye height)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눈높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로의 선형을 고려할 때 정지시거의 산정에 사용된다. 운전자의 눈높이를 노면으로부터 측정한 값으로서 우리 나라에서는 1.0m를 사용하고 정지시거 계산시 장애물의 높이를 10cm로 정하고 있다.
눈부심(眩惑, Glare)
안구내의 각막과 망막 사이의 매질(媒質)속에서 빛이 산란하여 일어나는 현상. 직역하면 섬광, 눈이 부신 빛 등을 나타내는 말이다. 눈이 일정한 밝기에 순응하고 있는 상태에서 그에 비해 높은 휘도의 빛이 시야내에 나타난 경우에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고 일시적으로 빛을 감지하는 시력이 저하된다. 야간 주행시 눈부심이 주행의 안전성에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도로의 계획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다
다공판(多孔板, Porous plate)
토립자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물은 자유롭게 유통시킬 수 있도록 만든 다공질의 판. 투수, 압밀, 삼축압축, 전단시험 등에 이용되며 재료는 모래,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등임.
다이나마이트(Dynamite)
1867년 알프레드 노벨이 니트로글리세린을 규조토에 흡수시켜, 취급이 안전한 제품에 붙여진 이름이나, 현재는 니트로글리세린을 기제로 하는 폭약의 일반명사로 되었다. 우리나라의 KS에서는 니트로겔을 기제로하고, 그 함유량이 6%이상의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외국에서는 니트로셀룰로오즈를 함유하지 않는 스트레이트 다이나마이트도 있다. 일본에서는 앵, 동, 가 및 매다이나마이트 등의 교질다이나마이트와 계 및 초안다이나마이트 등의 분상다이나마이트가 있다. 니트로겔 약 20%를 한도로하여 그 이하는 겔상으로 되지 않는다. 니트로겔 이외의 성분으로는 초안, 질산칼륨등의 산화제, 목분, 전분등의 가연제, 식염, 염화칼륨등의 감열소염제가 있으며, 그외 내수제, 압신성형 개량제 등을 쓰기도 한다. 감열소염제는 매다이나마이트, 초안다이나마이트등 탄광용다이나마이트에 배합되고, 여기에 반해 감열소염제를 넣지 않은 것은 비탄광용 또는 광공업용 다이나마이트라 한다. 포장재료는 교질다이나마이트는 피포지로 말고, 분상다이나마이트는 지통에 넣어 모두 파라핀으로 방습한다. 제조공정은 니트로겔과 그외의 성분을 날화한 것을 자동기에서 성형하여 포장(교질)또는 전약, 포장(분상)한다.
다이아몬드형 입체교차(-立體交叉, Diamond-type interchange)
주요 도로에서의 램프가 본선에 연하여 거의 직선으로 설치되어 있는 교차도로와는 평면처리가 되는 평면 형상이 다이아몬드형을 닮은 형식으로 대표적인 입체교차
다이크(Dyke)
도로 포장면의 노면수 등이 길어깨로 배수되어 성토 비탈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흙, Ep, 아스팔트 콘크리트나 시멘크 콘크리트 등으로 설치한 노측 배수시설.
다지교차(多 交叉, Compound intersection, multiple intersection)
5개이상의 진출방향을 가진 교차.
다차선도로(多車線道路, Multiline Highway)
도로용량 분석에서 편도 2차선 이상의 도로로써 방향별로 분리되어 있지 않거나 완전한 유출입 통제가 되어 있지 않고, 신호등의 간격이 3km 이상이어서 회전 교통량으로 인한 지체가 거의 없는 지방부 도로를 말함.
다층교차(多層交叉, Multiple braided intersection, braided intersection)
도로 상호간에 직접연결이 가능한 교차로로 2개 이상의 입체교차 구조 또는 3층 이상의 교차.
단 수(Number of delay)
지발뇌관의 단차수를 말하며(총 사용뇌관의 수가 아님) 만약, 어느 현장의 MS 전기뇌관의 단수가 6단 이라면 6종류의 지연시차를 가지는 뇌관을 사용하였다는 것을 의미함.
단 차(段差, Faulting)
교량 등의 구조물과 포장과의 접속부에서 지지력의 차이로 인하여 구조물 연부에 도로의 횡방향에 발생하는 처짐 또는 노체내에 매설되어 있는 횡단배수구조물이나 암거 등의 전후에 접해서 생기는 처짐을 말함.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물 뒷채움에 대한 정밀시공과 교량 어프로치 슬래브등을 설치한다.
단 층(斷層, Fault)
지각변동에 의해 생성된 지층의 어긋남. 규모는 수 cm의 적은 것부터 수천 m에 달하는 것까지 있으며 이동방향은 수직방향, 수평방향 및 경사방향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대체로 파쇄대를 수반하기 때문에 터널공사시 과대용수의 가능성이 있음.
단발발파
공과 공 사이, 열과 열 사이에 적당한 시차를 취하여 발파하는 방법을 지칭. 반대의 의미는 순발발파(일제발파)이며 통상, 사용하는 뇌관의 형식에 따라 분류된다. ->순발뇌관 : 뇌관의 기폭과 동시에 폭약을 폭굉시킴 ->지발뇌관 : 뇌관이 기폭되면 뇌관내의 지연작용에 의하여 일정시간 지연시킨 후 폭약을 폭굉시킴 지발뇌관에는 MS지발과 DS지발이 있다 기본지연초시로는 MS지발은 단차사이간 지연시간이 25/1,000sec이고 DS지발은 단차 사이간 지연시간이 25/100sec 이다.
대등균일연비용법(Equivalent uniform annual cost method)
생애 주기에 발생하는 모든 비용이 매년 균일하게 발생한다고 가정할 경우, 이와 대등한 비용은 얼마인가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균일한 연간 비용으로 환산하는 방법이다. 즉 어떤 시점의 비용을 매년 균일하게 분할하여 지불한다고 가정할 경우에 기 균일한 비용과 금액으로 환산하는 방법이다.
대체도로(代替道路, Alternate road)
기존도로를 확장공사등으로 인하여 도로의 교통을 차단시킬 경우 그 도로 대신 교통을 처리하기 위한 도로
덕 트(Duct)
포스트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있어서 긴장재를 수용하기 위하여 미리 콘크리트 속에 뚫어두는 구멍.
덧씌우기(Overlay, resurfacing)
①기존포장의 강도부족을 보충하는 것 외에 노면의 평탄성을 개량하고 균열이 빗물의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씌우기 포장을 하는 것. ②포장의 구성층이 파손시 또는 내구년한 경과로 구포장 위에 다시 포장하는 것
데발 마모감량시험기(-磨耗減量試驗機, Debal abrasion test machine)
콘크리트, 석대 등 굵은 골재의 마모감량을 측정하는 기계의 일종. 직경20cm 높이 34cm의 철제 원통에 일정중량의 골재와 철구(鐵球)를 넣어서 측면의 대각선을 축으로 하여 30~33rpm으로 10,000회 회전을 시킨 다음 No.12체를 통과하는 파쇄된 골재의 중량을 전중량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어 마모감량으로 한다. 현재는 소요시간이나 측정치 변동의 점에서 보다 우수한 로스앤젤레스 시험기가 주로 사용된다.
데크장전(Deck loading, deck charging)
벤치카트에서 장전법의 일종. 용수, 단층 또는 점토층이 존재하는 경우 폭약과 폭약사이에 전색물을 넣어, 폭파의 효과를 충분히 하는 장약법 고비중 폭약을 써서 장약하는 경우에도 쓰인다.
도 화(圖化, Plotting)
입체 도화기 등에 의하여 등고선과 평면도 등을 그리는 작업. 사진측량을 이용하지 않을 때도 도화라고 할 때가 있으나 이 때는 실측 또는 기존자료를 이용하여 지도상에 기호화 하는 것을 말함.
도로관리(道路管理, Administration of road)
공용중인 도로의 시설물의 기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행위를 말함.
도로구역(道路區域, Road area)
도로를 구성하는 부지의 폭과 연장에 의하여 나타나는 구역. 도로법에 따르면 도로노선의 지정, 인정 또는 변경공고가 있을 때에는 도로 관리청은 지체없이 그 도로의 구역을 결정하여 건설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의하여 이를 고시하고 그 도면을 일반에게 열람하게 해야함.
도로용량(道路容量, Road capacity)
도로의 한 지점을 주어진 상황 하에서 일정시간 동안 실제적으로 통과 할 것으로 기대되는 차량이나 사람의 최대 통과량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그 시간단위는 일반적으로 1시간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용령은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된다. ①교통계획수립단계에서 기존 교통망의 적정성이나 결함여부를 판정하는 데 사용되며, 장래의 어느 시점에 이르면 교통수요가 도로용량을 초과하게 될 지에 대한 검토
|
첫댓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잘 봤습니다
감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