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장암
 |
실상사의 대표적 부속암자로 임진, 정유재란때 실상사의 모든 승려들이 이곳으로 피난을 와 화를 면하기도 했던 곳으로 지리적으로 첩첩산중에 자리잡고 있다. 이곳에는 신라말기를 대표하는 아름다운 탑인 백장암 3층 석탑(국보 제10호)이 위치해 있다. 답의 기단부분는 방형대석으로 처리하였으며, 받침이 없는 방형별석의 탑신과 방형삼층 탑신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륜부는 노반, 복발, 보개, 수연이 찰주에 완전히 중적되어 있어 탑신구조가 다른 유사한 탑에 비하여 특이할 뿐 아니라, 전면에 화려한 조각을 한 대표적인 공예탑으로 1층 탑신 사면에 보살상과 신장상 2구씩, 3층 탑신 사면에 1구씩의 천인좌상의 조각이 화려하여 한국 탑파상 희귀한 공예탑이다. 찾아오는길 : 88고속도로 지리산 I․C → 인월 → 산내 • 전화 : *** • 주소 :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 974 • 홈페이지 : ***
|
뱀사골
 |
산내면에 자리한 뱀사골은 기암절벽과 태고의 원시림 사이로 수많은 소와 폭포가 절경을 이루고 봄에는 진달래와 철쭉, 여름에는 무성한 숲과 옥류의 맑고 시원한 계곡물, 가을은 단풍, 겨울은 백설이 뒤덮힌 한줄기 빙하고 계절마다 각기 다른 운치를 자랑한다. 또한 뱀사골은 여순사건이후 지리산으로 들어온 빨치산들의 활동무대가 되어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던 우리 민족의 아픔을 함께 간직하고 있다. 지리산 지구 전적기념관과 충혼탑이 건립되어 있고 현재는 탐방안내소로 운영하고 있으며, 10월 중순 이후면 오색단풍이 붉게 물들어 붉은 바다로 장관을 이룬다. 이에 지리산 달궁의 제3주차장에서 매년 10월말경이면 단풍제가 계획되어 단풍제례인 산신제와 등산대회, 참가자 노래자랑등 푸짐한 행사를 마련 다채로운 행사를 개최되고 있다. 찾아오는길 : 88고속도로 지리산 I․C → 인월 → 산내 • 전화 : *** • 주소 :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 974 • 홈페이지 : ***
|
실상사
 |
실상사(實相寺 )는 우리나라 불교의 양대산맥인 선종 가람으로 알려져 있다. 이곳에는 국보급 문화재만 해도 국보 제10호인 백장암 삼층석탑을 비롯 수철화상능가보월탑(보물 33호), 수철화상능가보월탑비(보물 34호), 석등 (보물 35호), 부도(보물 36호) 삼층쌍탑(보물 37호) 등 11점의 보물과 다량의 지방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 전화 : *** • 주소 :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50번지 • 홈페이지 : ***
|
동편제탯자리
 |
남원시 운봉읍 비전마을은 동편제 판소리의 창시자인 가왕 송흥록선생이 태어난 곳이며, 여류명창 박초월의 소리의 고향이다. 예로부터 운봉은 우리나라 3대 악성의 하나인 옥보고가 거문고를 크게 발전시킨 곳(운상원)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 순조때 화수리 비전마을에서 태어난 송흥록 선생은 민속음악 가운데 가장 느린 진양조를 판소리에 응용, 판소리의 표현영역을 확대시키는 등 다양한 음악 기교를 사용함으로써 극적이면서도 예술적인 판소리를 완성시킨 인물이다. 특히 '춘향가'의 옥중가중 귀곡성(귀신 울음소리)은 그가 창작한 독창적인 판소리 창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송흥록 선생으로부터 출발된 동편제는 형의 고수로 지내다가 뒤에 형에 버금가는 명창이라는 소리를 들은 아우 송광록과 손자 송만갑이 대를 이어온 이후 계층과 지역을 초월한 광범위한 애호를 받는 예술로 부상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선생이 돌아가신 후 무덤에서는 '내 소리를 받아가라'는 귀곡성이 그치지 않았다고 한다. 2000년부터 비전마을에 국악성지가 조성되며 송흥록 선생 생가와 박초월 명창 고택이 복원되었다. • 전화 : 남원시 문화관광과 063) 620-6484 • 주소 : 남원시 운봉읍 화수리 268 • 홈페이지 : ***
|
광한루
 |
광한루원은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대표적인 정원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대표적인 정원은 크게 나누어 왕실에서 조성한 정원, 관아에서 조성한 정원, 그리고 개인이 조성한 정원 세가지로 분류해볼 수 있으며, 광한루원은 고도 남원부 관아에서 조성한 곳이다. 왕실에서 조성한 곳으로는 경복궁과 비원 등 대궐 공간을 들 수 있으며 왕실문화와 더불어 조정의 문무백관이 나라를 다스렸던 흔적이 잘 남아있다. 개인이 조성한 곳으로는 조선조 기묘사화때 양산보가 스승 조광조가 사약을 받자 은거하여 조성한 전남 담양군에 있는 소쇄원을 들 수 있다. 세 곳 모두 당시 주변환경을 훼손하지 않고 최대한 살리면서 자연과 어우러지는 건축 기술과, 그곳에서 생활했던 이들의 사회상과 문화를 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곳이다. 옛적 우리 조상들은 자연에 순응하고, 자연을 거슬려서는 안된다는 생각으로 조성에 세심한 배려를 하여 신선이 사는 이상향을 이 땅에 건립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생각은 누정 자체 건물을 아름답게 짓는 것도 중요하지만, 누정을 세우게 된 동기와 주변의 풍경이 매우 조화를 이루어 누정에 올라 감상하는 사람들이 아름다운 세계로 흠뻑 빠져들도록 하는 매력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찾아오는 길 : 남원시청 → 남원대교 4가 우회전 → 광한루원 | |
첫댓글 고로쇠가 좋은 이유가 많네요?
많은 분들이 찾는것을 보면 좋기는 좋은가 봅니다. 나도 자주 먹지만 무엇에 좋은지는 모릅니다. 달착찌근 한것이 멋을만 하더라구요...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