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시작하신 분들이 카페에서 정보를 보려해도 가끔 줄임말이나 은어 사용으로 인해 약간은 진입장벽이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주요 용어들을 한번 정리해서, 필요한 정보들이 잘 전달 될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일단 게임 내 인터페이스와 게임 진행에 주요 용어들을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1. 페스, 페스캐
DOKKAN 페스티벌 뽑기의 줄임말이 페스입니다.
그리고 이 뽑기 한정으로만 등장하는 캐릭터 카드들의 총칭이 페스캐(릭)입니다.

보기의 예시처럼 스카웃트 목록에서 왼쪽 위의 돗칸 축제 한정이란 표시가 있으면 페스캐입니다.
2. 전강
전설의 강림 뽑기의 줄임말로, 흔히 말하는 엘알(LR)등급의 캐릭터들이 스카웃트 목록에 포함되는 뽑기입니다. 그래서 엘알등급을 노리는 경우 해당 뽑기를 자주 추천하는 이유가 스카웃트 목록에 엘알이 포함되는 것 자체로 확률적으로 많이 오르기 때문이죠.
3. 글판/일판
글판은 한글판의 줄임말이 아니라 글로벌판의 줄임말입니다. 서버가 일본을 제외한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판이라 다른 외국어도 볼 수 있습니다.
일판은 일본판의 줄임말입니다. 대부분의 카드는 일판에서 선행출시하여 이벤트의 구성이나 일정이 비슷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글판의 독자적인 운영으로 인해 일부 이벤트가 일판보다 선행 공개되거나 일판에서 공개된 이벤트가 일부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4. 물어
스토리이벤트를 가르키는 말이지만, 일본어 표시가 저렇게 나와서 가끔 저렇게 글에 업로드가 되는 모습을 보입니다. 글판에서 정보 업로드 되는 경우는 대부분 스토리이벤트로 업로드되니 안심하시길.
5.슈배로
슈퍼배틀로드의 줄임말입니다. 전형적인 고인물, 고랭크 유저들을 위한 이벤트로, 상당히 고난도의 스테이지로 구성된 이벤트입니다. 해당 이벤트만의 보상으로 손오공, 손오반의 서유기 복장의 엘알 카드가 있습니다. 또한 투쟁의 빛이란 보상으로 속성별 대계 카드랑 교환이 가능합니다.
6. 무도회
천하제일 무도회를 가르키는 말로, 다른 유저들의 덱과 싸우는 폭렬의 유일한 유저간 대결 콘텐츠입니다. 다만 실시간으로 싸우는 것이 아니라 미리 짜여진 덱으로 컴퓨터가 대신 싸우는 구조이며, 모든 유저들의 덱 1번이 그 대상입니다. 다만 본인은 예선전을 치룰때 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7. 승룡제(똥룡제)
엘알이 포함되어 있고, SR등급 이상의 확정과 SSR등급의 확률 2배라 엘알도 잘 나오겠거니 하지만, 현실을 '엘알은 엘알이다'를 보여주는 뽑기입니다. 스카웃트 목록도 별로인 경우가 다반사라 대부분 뽑지 않을 것을 권장하는 뽑기중 하나.
8.대난전
정식명칭은 DOKKAN 대난전으로, 이 역시 전형적인 고인물 콘텐츠입니다. 1단계 2단계는 그래도 일반유저들이 도전해볼만 하나, 3단계만큼은 확실히 클레스를 보여주는 콘텐츠죠. 덱이 부실하거나, 카드수나 종류가 적은 경우 확실히 어렵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콘텐츠입니다.
9. n개방, 무지개
UR 등급 이상으로 Z각성, 돗칸 각성이 되는 카드들에서만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최대가 4개방이며, 이중 모든 잠재칸을 개방하여 100%가 된 상태의 카드들을 흔히 무지개로 부릅니다. 그렇게 부르는 이유는 카드 옆의 별표시가 무지개 색으로 변하기 때문이죠. 참고로 개방이 안된 상태는 노개방, 잠재구슬만 주고 개방은 안한 상태는 기잠(기본잠재)로 보통 쓰입니다.
10. 초격전
돗칸 각성을 위한 콘텐츠로, 모든 돗칸 페스티벌 매인 카드들의 돗칸각성 콘텐츠 입니다. 딱히 줄임말은 아니나, 자주 등장하는 용어이니 참고.
11. 극한
정식 명칭은 극한 Z 각성이며, 기존의 페스캐들 중 성능 인플레이션에 희생당해 잘 쓰지 않던 카드들이 대거 등장하고 있습니다. 나온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은 콘텐츠 중 하나로, 이 역시 고인물 콘텐츠중 하나입니다. 가끔 극한 Z 돗칸 페스티벌 뽑기의 줄임말로 극한 뽑기라는 이름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스테이지를 부를때도 극한이라고도 합니다.
12. 바바, (포인트)
바바 상점의 줄임말로, 포인트는 대부분 바바포인트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서는 평상시에 각성매달, 수련 아이템, 수련 장소, 서포트 아이템이 출현하며, 극히 일부의 바바 상점 한정 카드들도 등장합니다.
그러나 바바한정 카드들의 성능은 그닥...
13. 우뽑, 우포
우정 뽑기와 우정포인트의 줄임말입니다. 우포를 포인트로 부르는 경우는 정말 거의 찾기 힘들며, 사실 해당 포인트로 자랑하는 분들도 거의 없는게 많이 하면 많이 주는 게 우정포인트이기 때문. 게다가 너무 많이 뿌려서 고인물들은 적립만 될 뿐, 사용도 다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초보들도 특정 엘알 캐릭들을 다 만들면 쌓이는 경우가 많죠.
14. 격전의 기억
대난전을 클리어하면 주는 보상으로, 한정카드, 대난전 매달, 각 속성 구슬 및 매달 등으로 교환할 수 있는 일종의 포인트입니다. 다만 150 랭크 이상 돌파해야만 대난전을 진행할 수 있는 만큼, 초반에 랭크 작업이 중요한 이유이기도 하죠.
15. 투쟁의 빛
슈퍼배틀로드의 각 스테이지 첫 클리어 미션보상으로 지급되는 아이템입니다. 해당아이템을 통해 필작가능한 대계왕 카드와 매달 등으로 교환이 가능하며, 교환 기간은 제한 없으니 부담 갖지 않고 모으는 것도 가능합니다.
16. 할용
용석 할인의 줄임말로, 구매하는 경우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입니다. 가끔 용석50개가 아닌 연속뽑기를 가리킬때도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17. 구슬
폭렬에서는 구슬은 잠재구슬을 가리킵니다. 드래곤볼은 그냥 드래곤볼 아니면 용신으로 부르니까요. 위에서 언급했듯 특정 카드들만 대상이며, 모든 카드들을 잠재개방 할 수는 없습니다.
18. 용신 / 포룽가
용신은 모험 콘텐츠로 나오는 드래곤볼을 모아서, 포룽가는 특별 이벤트때 미션을 클리어 하는 방식으로 획득이 가능하며, 7개를 모으면 소원을 이룰 수 있습니다. 원작 반영인지 용신은 1개, 포룽가는 3개의 소원을 들어줍니다.
19. 초습격
초창기 콘텐츠중 하나이며, 대부분 정상결전 엘알을 만들기 위한 카드들을 모으기 위해 만드는 경우가 예전에는 많았지만, 기뉴특전대 특별 이벤트 이후로는 일부 신왕석을 모으기 위한 카드 몇장 외에는 거의 잊혀진 콘텐츠. 엘알 각성매달을 모으기 위해 도는 경우가 아니면 최근에는 글조차 보기 힘든 콘텐츠입니다.
20. 부스터 (모드)
1회 이상 클리어한 스테이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드입니다. 횟수가 정해진 스테이지, 대난전, 슈베로, 극한 스테이지를 제외한 모든 스테이지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최대 3개까지 충전되며, 1회 충전당 8시간이 소요됩니다. 부스터를 사용하면 소요 스텟이 2배가 되나, 보상역시 2배로 지급은 됩니다. 다만 보상전부가 2배가 되진 않고, 수량이나 종류가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
21. 추억의 문
특정 열쇠 아이템을 활용하면, 이벤트 개최기간이 아니더라도 해당 이벤트를 도전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다만 모든 이벤트가 포함되는 것은 아니며, 일부 이벤트 미션들의 경우 클리어로 인정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극한Z각성의 경우는 해당 열쇠의 교환이나 획득이 어려운 만큼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합니다.
*그 외에 혹시나 게임관련한 용어들을 아시는 분들은 댓글로 추가해 주시면 감사합니다.
*지속적으로 인터페이스가 추가 또는 변경되면 수정될 예정입니다.
첫댓글 18.리버스
돗칸된 캐릭을 돗칸전으로 되돌리는것으로,쓸모 없다고 생각할수도 있지만 중복카드나오면 자주 사용함(다시 돗칸할때는 리버스돗칸으로)
랭작 필봉 필작 꽁필작 반꽁필작 비보 킹지터 엘듀오 잠재 원기옥 재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