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구 펀치볼 마을 사과 농부 이야기
‘미스타팜’은 최고의 제철 농산물을 선정해 저렴한 가격에 소개하는 코너로 광고성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농민 판로 지원을 위해 농협과 함께 농산물을 선정했습니다. 콘텐츠 작성과 편집은 조선몰이 책임집니다.
(왼쪽부터) 혜인농원의 안덕근 농부, 강원농장의 심정석 농부. /더비비드
여름이 점점 길고 더워지면서 전국 과일재배 지도가 북상하는 추세다. 청송, 영주 등 경상북도에서 주로 재배됐던 사과 재배 지역도 강원도로 옮겨가고 있다. 사과는 아한대 기후에 적합한 과일로, 서늘한 환경에서 잘 자라기 때문이다.
강원도 양구의 펀치볼 마을은 새로운 사과 재배지로 각광받는 지역이다. 고지대에 발달한 분지 지형으로, 마치 거대한 화채 그릇(punch bowl)같이 생겨서 펀치볼이라는 특별한 이름이 붙었다. 높은 곳에서 관망하면 마을 전체가 거대한 사과 바구니처럼 보인다.
펀치볼 마을의 전경. /더비비드
후발주자지만 맛은 결코 뒤처지지 않는다. 양구 사과를 한 입 베어 물면 고랭지의 찬 기운을 인고하며 야무지게 덩치를 키운 과육이 기분 좋게 씹힌다. 펀치볼 마을의 사과 농부들은 “양구 사과가 낯설어서 망설여진다면, 일단 먹어보고 판단하라”고 입을 모아 말한다.
[양구 부사 단독 최저가 사러 가기 클릭]
펀치볼 마을에서 과수원을 운영하는 혜인농원의 안덕근 농부(65)와 강원농장의 심정석 농부(71)를 만나 양구 사과 재배기를 들었다.
◇딸을 국가대표로 키운 은인같은 사과
안농부는 양구 사람들의 인심에 반해 이곳에 정착했다. /더비비드
안덕근 농부의 귀농기는 ‘이곳이 고향이고, 가업을 물려받았다’는 레퍼토리와 거리가 멀었다. 30여년전 중장비 사업을 했던 그는 수해복구차 양구에 방문했다가 동네 인심에 반해 이곳에 말뚝을 박았다. 동네 어른들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자란 두 아들과 딸은 사과처럼 예쁘게 자랐다. 막내딸은 최근 -57kg급 태권도 국가대표로 선발됐다. 이 소식이 알려진 날 펀치볼 마을 사람들은 자기 일처럼 기뻐하며 기념 현수막을 걸어줬다. 안 농부는 “지역의 기운이 신묘한데다 사람들이 따뜻해 좋은 사과가 나올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안 농부는 12년 전 우연한 계기로 사과 재배에 입문해 현재 해발 700m 1만1000평(3만6363㎡) 규모의 땅에 5000여 그루의 사과 나무를 키우고 있다. 아오리, 홍로, 부사, 황금 사과 등 6종의 사과를 취급한다. 그를 만난 10월 중순은 1년 중 가장 바쁜 시기다.
혜인농원의 풍경. /더비비드
그는 이 지역의 사과가 타 지역 사과보다 당도가 높고 육질이 단단하다고 말했다. 지리와 기후적 이점 덕분이다. “일교차가 커야 사과의 당도가 올라가는데요. 펀치볼 마을은 아침과 밤의 기온차가 10~15도 이상 나는 지역입니다. 게다가 고랭지라 기온이 낮아서 병충해가 적은 편입니다. 다른 지역에서는 일주일 주기로 농약을 치지만 이곳에서는 많아야 한 달에 한 두 번 주면 됩니다.”
[양구 부사 단독 최저가 사러 가기 클릭]
서리 맞은 늦가을 사과 부사가 한창인 요즘 하루 300~500kg의 사과를 처리한다. “5월 중순에 사과나무에 꽃이 피면 그때 수정을 합니다. 부사 같은 경우 열매를 약 180일 가량 키워야 하죠. 덩치만 커졌다고 끝이 난 게 아닙니다. 수확기가 다가오면 햇빛을 막는 이파리를 자르고, 사과가 볕을 골고루 받을 수 있도록 과실을 돌리는데 오랜 시간을 쏟아야 하죠. 사과 하나 재배하는 데 손이 열 번 갑니다.
안 농부는 95세까지 과수원에 있고 싶다고 했다. /더비비드
펀치볼 마을에서 사과 잘 키우는 사람으로 소문이 났지만 여기까지 오는 과정은 결코 쉽지 않았다. “처음에는 고전했어요. 다른 지방과는 달리 일교차가 심해서 냉해를 입고 당황하기 일쑤였죠. 첫 5~6년은 시행착오의 시간이었습니다. 포기할까 생각한 적도 있어요. 과잉 생산으로 애써 키운 농작물들을 밭에 버릴 땐 마음이 괴로웠습니다. 농자금이 바닥나고 빈털터리가 된 적도 있어요. 그럴 때마다 이웃들이 나서서 도와줬습니다. 이들의 온정에 용기를 얻어 여기까지 온 것 같아요.”
고생한 보람은 있었다. 사과와 양구의 또 다른 자랑거리인 시래기, 산마늘 농사로 매년 2억원 안팎의 매출을 낸다. 농사를 시작했을 때보다 농지는 3배 이상 늘렸다. “노력한만큼 돌아오는 것 같습니다. 맛있는 사과를 만들어서 소비자에게 보내는 게 제 꿈입니다. 농사꾼에게 뭐 다른 게 있을까요. 앞으로 30년 더 과수원을 지키는 게 목표입니다. 95살까지 농사하고 싶어요.”
◇대기업 대신 과수원을 택한 1세대 사과 농부의 아들
심정석 농부는 사과 농사 경력 28년의 베테랑이다. /더비비드
심정석 농부는 사과 농사 경력 28년의 베테랑이다. 고향이 대구인 그는 한때 대기업 직장인이었다. 30대 초반에 유명 제약회사의 경북사무소장으로 승진했을 정도로 잘 나갔다. 하지만 일제 시대때부터 사과 재배 기술을 배운 ‘1세대 사과 농부’인 아버지를 따라 40대 중반에 귀농했다. 사과 하나로 10남매를 번듯하게 키운 아버지 모습이 귀감이 됐다.
19년간 경북 청송에서 사과를 재배했던 그는 9년 전 펀치볼 마을로 이주했다. 현재 해발 600m 이상 고지에 위치한 4만5000평(14만8760㎡) 규모의 과수원에서 여름사과인 아오리와 썸머킹, 홍로, 부사 등을 키운다. 농사가 잘 된 해엔 15억원, 잘 안될 때는 7~8억원의 연매출을 거둔다. 평균 10억원 안팎의 매출을 내며 사과로 성공한 아버지의 길을 따르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