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수 듣고 보는 힘-4 너를위해 간략하게 설법하나니 관음보살 이름듣고 모습보는이 마음새겨 허송세월 보내잖으면 모든존재 온갖고를 멸할수있다
아위여약설我爲汝略說 문명급견신聞名及見身 심념불공과心念不空過 능멸제유고能滅諸有苦
-----♡-----
고집멸도苦集滅道 네 가지를 묶어 네 거룩한 진리四聖諦라 한다 모든 생명은 고苦를 겪는다 네 가지 고뇌四苦가 있고 여덟 가지 고뇌八苦가 있다 네 가지 고는 생로병사生老病死로 태어나고 늙고 병들고 죽음이며 이 네 가지 기둥 괴로움苦에 네 가지 고苦를 더해 팔고라 한다 더한 네 가지 고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첫째는 애별리고愛別離苦요 둘째는 원증회고怨憎會苦며 셋째는 구부득고求不得苦요 넷째는 오음성고五陰盛苦다 사랑하는 자와 헤어지는 아픔이 있고 싫은 자와 만나는 번뇌가 있다 원하는 게 들어오지 않는 아쉬움과 오음五陰이 왕성盛한 번민苦이 있다
오음성고라면 어떤 것들을 가리킬까 여기에는 다섯 가지 욕구가 있다 몸과 마음이 추구하는 욕구다 생명을 가진 자의 본능으로 이를 오음성고라 한다 첫째 돈 앞에서 작아짐이고 둘째 성욕性慾이며 셋째 명예욕이고 넷째 섭취의 욕구며 다섯째 가지려는 욕망이다 이들 팔고는 사람뿐만이 아니라 생명을 가진 자는 다 해당된다 그래서 제유諸有라 한다
제유란 모든諸 생명붙이有를 뜻한다 사람이란 사람은 말할 것도 없다 누구나 생명 분류란 게 있다 불교에서는 사생四生이 있으니 금강경 제3 대승정종분의 태생, 난생. 습생, 화생 따위다 이는 곧 생명 존속의 법칙이다 이를 다섯 가지로 다시 분류하니 첫째 색色이 있다 둘째 색이 없다 셋째 생각想이 있다 넷째 생각이 없다 다섯째 생각이 있다 없다 한다 그러한 존재에 이르기까지 분석한다
보통은 '계문강목과속종'으로 분석하며 자세히는 스물세 가지로 분류한다 처음에는 진핵생물 '역'에서 사람 '종'으로 이어진다
역 : 진핵생물 계 : 동물계 아계 : 진정후생동물아계 상문 : 후구동물상문 문 : 척삭동물문 아문 : 척추동물아문 하문 : 유악하문 상강 : 사지상강 강 : 포유강 아강 : 수아강 하강 : 진수하강 상목 : 영장상목 목 : 영장목 아목 : 직비원아목 하목 : 원숭이하목 소목 : 협비원소목 상과 : 사람상과 과 : 사람과 아과 : 사람아과 족 : 사람족 아족 : 사람아족 속 : 사람속 종 : 사람
이는 동물계에서 사람에 국한하며 식물계와 함께 균계菌系까지도 생명의 세계에는 법칙이란 게 있다 이를 묶어 제유諸有라 한다 모든諸 존재有니까 또는 제법諸法이라 하는데 삶의 법칙이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어울려 살기에 중생衆生이고 마음忄줄기가 생생한靑 까닭에 이를 달리 유정有情이라 이름한다
아무튼 제유諸有가 지닌 고뇌苦惱를 아주 말끔히 풀어주는 법칙이 있다 이를 묶어 염불念佛이라 표한다 부처를 생각함이 곧 염불이다 염念은 방법이고 불佛은 대상이다 염불의 '불'은 '보살'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보살을 염송할 때도 '염보살'이 아니라 그냥 '염불'이라 한다
모든 종교는 필히 의지처가 필요하다 그래서 종교宗敎는 곧 종교從敎다 고를 없애는 능멸자能滅者는 관세음보살 마하살이다 관세음보살의 덕성은 한마디로 섭취불사攝取不捨다 큰 자비와 밝은 지혜 광명은 고통 받는 모든 중생을 어느 하나 버리지 않으며 받아들여 끝내 제도하는 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