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공교육 과정 內 수능 변별력과 특목고 존치는 옳은 방향
문화일보 2023-06-20 11:41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두고, 교육부와 대통령실이 자초한 혼선은 일단 정리되는 양상이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9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과 당정협의회를 갖고, “공교육 과정 내(內)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은 출제를 배제하고 적정 난도가 확보되도록 출제 기법을 고도화하겠다”고 밝혔다. 교과 과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는 어려운 문제도 내게 해 수능 성적이 변별력을 갖게 하겠다는 것으로, 이어서 발표한 특수목적고·자율형사립고 등의 존치 결정과 함께 방향은 옳다.
모든 시험에서 변별력은 기본이다. 수능도 예외일 수 없다. 그렇다고 해서 고교 과정을 넘어 대학교수도 풀기 어려운 초고난도의 ‘킬러 문항’까지 출제하는 것은 교육 왜곡을 부른다. 국어 과목에서 자기자본비율(BIS), 위험 가중 자산, 바젤 협약 등의 개념을 통해 은행의 재무상태를 평가하는 지문을 제시하는 식의 출제를 더 계속해선 안 된다. 어느 대학의 경제학부 석좌교수조차 “경제학적 지식이 필요한 어려운 문제를 국어 시험에서 풀어보라고 한다”고 개탄한 이유다. 물론 ‘교과 과정 내’라고 해서 교과서에 나오는 표현·문장 등에만 국한할 일은 아니다.
문재인 전 정부가 폐지나 축소를 예고했던 외국어고·국제고 등의 특목고와 자사고는 학생·학부모의 학교 선택권 확대를 위해서도 되레 더 육성해야 할 대상이다. 교육 경쟁력을 더 키울 수월성 교육기관을 죄악시해선 학생 개인뿐 아니라 국가 경쟁력도 기대하기 어렵다는 건 상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