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탄에 이어 2탄은 페스티벌 캐릭터 카드들을 가리키는 주요 용어들을 정리했습니다.
카드 설명에 앞서서 5가지 주요 카드 용어들을 정리하고 시작하겠습니다.
1. 속성
근 - 근력, 빨간색 카드
체 - 체력, 노란색 카드
지 - 지능, 보라색 카드
기 - 기술, 초록색 카드
민 - 민첩, 파란색 카드
2. 초 / 극
초- 히어로 카드
극- 악당 카드
초계열로 표시되는 경우 초라는 표시가 없어도 스킬이 적용되나, 초속성으로 표시될 경우 초라는 표시가 없으면 스킬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극도 마찬가지로 극속성은 극표시가 있어야 하며, 극계열은 표시가 없어도 적용됩니다.
3. 엘, 엘알
LR 등급으로 각성 또는 엘알 카드.
4. 변, 변신
특정 조건 아래서 변신하는 카드.
5. 카테, 카테고리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카드. 또는 카테고리 관련 리더스킬을 가리킬때도 사용. 드물게 패시브에서도 특정 카테고리 언급시 사용.
위 용어들은 어떤 카드들이라도 자주 쓰기 때문에 참고로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겁니다.
이제부터 카드들을 하나씩 정리하도록 하죠.
1. 민초3 (오공)

민초3는 이 카드를 보고 민초3라 부릅니다. 나머지 속성들은 곂치는 카드들이 많아 따로 분류해서 부르는 경우들이 많아, 따로 부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만 민초3라 부르는 이유는 대표적인 카드인데다, 민첩 초3 계열중 유일하게 매인 1군으로 쓰는 카드이기 때문이죠.

참고로 얘는 기초3오공으로 부릅니다. 엘초3오공에 기초3 오천크스도 있어서 다 따로 불러야 하기 때문이죠.
2. 킹지터

초3 베지터 시리즈 중 유일하게 이녀석만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탱커들중 왕이라는 의미도 내포되어 있고요. 실제로도 탱커로써는 독보적인 위치에 있는 녀석이기도 합니다.
3.초베, 블베 시리즈.






위에서 순서대로 민초베, 체초베, 엘초베, 체블베, 기블베, 엘블베로 부릅니다. 가끔 엘초베 대신 엘지트로도 부르기도 합니다.
여기서 베는 베지터가 아닌 베지트의 베입니다. 참고로 엘블베는 페스캐릭이 아닌 모험을 통해 만드는 공짜 캐릭입니다. 언급한 이유는 다 연결된 용어이기 때문이죠.
엘초베라 언급한 캐릭은 변신하면 초베지트가 되기 때문입니다.
4. 초오, 블오 시리즈.




위에서 차례로 근초오, 지초오, 엘초오, 블오로 부릅니다.
원래 용어상으로는 변블오나 변초오 같이 써야 맞지만, 실제로는 엘초오, 블오로만 부릅니다.
여기서 오는 오공의 오가 아닌 오지터의 오입니다.

참고로 이녀석은 그냥 초4오지터로 부릅니다. 포지터로 하면 대부분 민초4베지터가 있어서, 이녀석을 가리키는 경우에는 특별히 초4오지터로 부릅니다.
5. 오크 시리즈.


위에는기초3오크, 아래는 체초3오크로 부릅니다. 오천크스는 일반, 초사이어인, 초사이어인 3까지 다양하기 때문에 속성, 변신단계를 다 분류해서 부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퓨전이나 마인부우 덱에서 메인으로 쓰는 카드들이 많아 다 분류해서 불러야 하기 때문이죠. 가장 많이 언급되는 비페스 카드는 체오크. 이녀석은 체력 초사이어인 오천크스로, 필봉 오크라고 하면 이카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미지는 페스캐가 아님으로 넘길게요.
6. 변신 시리즈




위에서 순서대로 변공, 변프, 변부우, 변블랙 입니다.
속성별로 부르지는 않고, 이카드들은 특전조건에서 변신하는 것에 의미를 두고 있어 이렇게 부릅니다.

참고로 얘는 그냥 극의나 극의 오공으로 부르고, 꽁캐인 체력 극의오공은 등의라고 부릅니다. 등의인 이유는 등을 보여주는 게 카드 이미지라서.
7. 자넨바


위는 지넨바, 아래는 근넨바로 부릅니다. 그냥 속성별로 나눈 대표적인 경우죠.
8. 프리저 시리즈
변프 빼고 정리하도록 하죠.



순서대로 체프, 기골프, 지천골프로 부릅니다. 기골프는 자주쓰이는 민골프라는 친구 때문에 따로 부르고요, 지천골프는 이들과도 따로 나눠 부르다 보니 이렇게 되었습니다. 가끔 지천프, 지골프로 부르기도 합니다. 다만 지골프로 하면 진짜 구분하기 힘들어서(실제로도 천사고리 없는 녀석이 있는지라) 이렇게는 잘 안부르죠.
9. 얼티밋 손오반


지얼반과 근얼반으로 나눠서 부릅니다. 속성별로 다 있지만 얘네 둘만 쓰고, 심지어 둘만 페스캐릭인지라 나머진 짭반으로 부르는 경우들이 많죠.(엘알 파트에서도 언급하겠지만 엘반이 아닌 초사오반들도 짭반으로 부릅니다.)
10. 브로리



위에서 순서대로 근로리, 체로리, 신로리로 부릅니다.
근로리와 체로리는 통칭 구로리로 부르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엘로리는 제외. 사실 근로리는 엘로리 때문에 극한은 있지만 엘로리 있으면 안쓰는 캐릭, 체로리는 아에 안쓰고 있는 그런 상황이죠. 신로리는 이름도 다르고, 리더스킬 빨에 성능때문에 아에 취급이 다르고요.

참고로 이녀석은 기초3브로리로 초창기에는 그렇게 불렸죠. 그러나 점차 유리몸인 것이 부각되어, 지금은 유리방패, 유리대포로 통하는게 현실입니다. 실제로 그냥 유리방패가 이녀석을 가리키는 일반명사화 되었을 지경. 이유는 필살기 날리면 방어력이 사실상 0인지라... 분명 속성 버프를 받은 vs 민첩인데도 데미지는 그냥 다 들어가는 현실인지라... 그래서 변프가 나오기 전까지는 울며 겨자먹기로 초민첩 슈베로 스테이지를 할 때는 이녀석을 리더로 쓸 수 밖에 없는 것도 이렇게 불린 요인.
11. 별칭으로 불리는 페스캐릭

필살기 때문에 원기검트랭으로 불리는 녀석이 바로 얘.

초롱초롱한 눈과 색깔 때문에 초롱지터로 불리는 녀석. 원래는 민블루베지터. 명칭에 대해서는 제가 정리한 글이 있으니 찾아보시길.
12. 이름 그대로 불리는 녀석들.
아래의 캐릭들은 약칭이나 이름이 그대로 쓰이는 녀석들입니다. 특별히 속성없이 불리는 경우들이 많은 애들인 만큼 해깔릴 여지도 있어 참고로 알아두시면 좋은 캐릭터들이죠.

블계오공. 블루 계왕권 오공의 줄임말. 그러나 분명 페스인데 가장 잊혀진 체로리와 더불어 쌍벽을 이루는 캐릭.

지렌이라고 하면 그냥 이녀석을 가리킵니다.
다른 지렌도 있긴 하나, 그녀석은 꽁지렌 아니면 필작용 지렌정도로 말하죠.

합체자마스나 합마스로 통하는 녀석. 딱히 신캐릭이 안나오는 이상 당분간은 그대로 유지될 겁니다.

너무 길어 풀4공으로 불리는 녀석. 등장 초기에는 초풀파워4오공으로 쓰였는데, 여기서 더 축약해서 지금의 명칭이 되었습니다.

히트는 이녀석만 가리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 시점에서 얘 말고는 등용하는 경우도 찾기 힘든 것도 요인이기도 하고요. 그렇다고 나머지 히트들이 1,2군에서 활용되는 일도 없어서 더 그렇습니다.

현재 타레스라고 하면 이녀석만 가리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나머진 속성을 넣어서 지타레스, 기타레스, 대원화 타레스(속성은 민첩) 등으로 불리며, 안 해깔리게 강조할때나 민타레스로 불립니다.

얘도 초3버독으로 불리며, 민초3 버독은 별개로 취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게다가 이녀석만 페스캐란 이유이기도 하고요. 강조할 때만 지초3버독이라 하긴 합니다만, 타레스보다도 더 이렇게 쓰는 경우를 찾기 힘들죠.
그외 기타
포공(초사이어인 4 손오공)
포지터(초사이어인 4 베지터)
(지)얼부(손오반 흡수 부우)
슈퍼 17호
12. 그외 속성별로 분류하는 경우
(이미지는 생략)
오공 블랙 (로제) - 민로제, 근로제
오공 블랙- 체블랙
쿠우라- 체쿠
퍼펙트 셀- 기셀, 근셀
비루스- 기루스
초일성장군-근일성, 체일성 (메기나 침으로도 부름)
마인부우(순수)-체(순)부우, 지순부우
17호- (체)17호
블루베지터- 지블루베지터.
이미지까지 올리려고 하니 힘드네요.
다음 엘알편까지는 최대한 노력하겠으나,
나머진 이미지 없이 업로드 될 겁니다.
너무 힘들어서...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9.02.16 16:16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9.02.16 16:21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9.02.16 16:26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9.02.16 16:31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9.02.16 16:41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9.02.16 16:42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9.02.16 16:42
첫댓글 이렇게 카드별 팁이 정말 얼마만인지 모르겠네요ㅜ폭린시절 정독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