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청도군 풍각면
수복산 해발(593m) . 마령산(馬嶺山) 해발(611m)
산행일 1차:2014년 11월 01일 나홀로 산행
산행일 2차:2024년 10월 23일 나홀로 산행
산행 코스:비티재-묘지-수복산-소나무숲-556봉-507봉-마령재-마령산(백)-수복산-비티재 (원점회귀) 하산
거리 7km 산행 시간 3시간 30분 소요 된다.
네비:경북 청도군 풍각면 "비티재"
*** 새마을 운동발상지 청도 ***
*** 청도군 ***
경북 청도군은
백두대간(白頭大幹)과 낙동정맥의
정기어린 경북은 예악(禮樂)과 문물(文物)의
본향답게 찬란한 문화를 꽃피우고 수많은 인걸을
배출하여 민족사를 선도해온 자랑스런 고장으로 경북의
최남단청도에는 비슬산.운문산.가지산.등 명산영악(名山靈岳)이
치솟으니 용각산 곰티를 경계로 산동에는 동창천이 운문댐을 만
들고 산서에는 한내가 넓은 들을 적셔 산자수명하고 인심 또한 맑
은 삼청(三淸)의 고장으로서 운문산 기슭에서 삼국을 통일한 화랑
(花郞)정신이 태동(胎動)하였고 근대화의 초석이 된 새마을운동
이 오산(鰲山)의 기슭 신도리에서 발상되었으며 훌륭한 조상들
의 삶이 서려 있는 이곳 비티에 청도 군민의 자긍심을 더 높이
고자 이 표석 높이 4.3m 너비 6.4m두께 1.3m 무게 93톤을
이곳에 세우다
*** 경북 청도군 풍각면 표지석 ***
*** 청도군의 반시 홍보 조형물 ***
*** 정자 쉼터 ***
*** 비티재 ***
비티재는
경북 청도군 풍각면과 경남 창녕군 성산면의
경계를 이루는 고개로 주변 마령치와 방골재에 비해 이용빈도가
낮지만 일제 강점기 때 도로 개설과 더블어 주요 도로가 되었
으며 국도 20호 선이 지나고 '비티재'는 '비치재'라고 부르
기도 하고 이는 비슬산맥에 연결되는 수복산(수봉산)
자락의 고개라는 뜻이며 정확한 명칭 유래는 알 수
없지만 한자로 비슬산의 비파 비(琵)를 써서
비티재 또는 비치재로 부르고 있는
고개로 차량 운전자들이 이곳
에서 휴식을 취하는 장소
이다.
*** 화물차 방향 창녕 . 그 반대 방향 청도 풍각면 ***
*** 묘지에서 내려다 본 간이식당 ***
*** 소나무 숲 ***
*** 수복산(수정산) ***
수복산은
경북 청도군 풍각면 금곡리와
경남 창녕군 성산면 연당리에 걸쳐 있는
수복산 해발(593m)로 경남과 경북의
도계를 이루고 있는 산이로 '비슬지
맥'이 지나가는 구간이다.
*** 수복산에서 내려다 본 농촌풍경 ***
*** 암벽 ***
*** 마령재(마령치) ***
경남 창녕군 성산면 연당리
웃당마을에서 경북 청도군 풍각면 금곡리를
오가던 고개로 신라 때 낙동강 서부의 진주 합천 등지에서
경주로 가는 대로로서 인마의 왕래가 많았으며 말의 형세를
한 이산의 모양에서 말안장을 얹는 말의 등부분에 해당한
데에서 유래하여 말재혹은 마령으로 부르고 있으며 마령
재 해발(405m)로 청도군에서 창녕군으로 가는 다섯개
의 주요 고개인 비티재.마령치.배고개.통점이고개.
매봉재 중 하나이며 명칭에 대한 유래는 전해지
지 않지만 마치(馬峙) 말치 마령(馬嶺) 마령치
마상재 등의 이름으로 불렸으며 주변 마령
재에서 금곡리로 이어지는 골짜기 이름이
말치골로 전해지는 것으로 보아 말과
관련이 있는 지명으로 추정된다.
*** 이정표(수복산/금곡숲공원/성산면방향) ***
*** 철탑 ***
*** 마령산 ***
마령산은
경북 청도군 풍각면 금곡리와
경남 창녕군 성산면 연당리의 경계지점에
있는 산으로 마령산 해발(611m)로 비슬지맥 상
한봉우리로 국립지리정보원의 지도에는 마령산 지명은
없고 (611m) 봉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정상에는 청도 산악회
에서 설치한 마령산 정상석과 정상석 뒤에는 삼각점이 있고
지명의 유래는 이 산 아래의 마령치에서 따온 것으로 산의 모
양이 말처럼 생겼고 아래에 있는 마령치가 말의 등처럼 생겼다
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 아닌가 생각되며 마령산도 590봉에서
헐티재를 거쳐 비티재까지의 산줄기를 '비슬지맥 제4.5구간
으로 반듯시 거쳐가야 할 산으로 비슬지맥을 종주하는
등산객들이 찾는 산으로 일반인들의 산행은 찾지
않는 산이기 때문에 등산로도 희미하고 또한 별
특징이 없는 선호도가 떨어지는 산행지이다.
*** 등산로 주변에 만난 버섯 ***
*** 아름다운 단풍 ***
*** 가을 무우밭 ***
*** 가을의 풍성함과 결실을 이룬 감나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