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명 프랜차이즈 레스토랑들이 배달앱에 표시되는 가격에 추가요금을 포함하여 표시하고있습니다.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요기요 등 국내 주요 온라인 음식 배달 플랫폼의 배달수수료 인상에 따른 것입니다.
버거킹의 와펴세트를 배달앱으로 주문하면 1,400원을 더 지불해야합니다.
베달앱에서 광고하는 무료배송은 소비자에게는 의미가 없어 보입니다.
한편으로 소비자에게 배달비용을 전가하기위해 가격을 올릴 수 없는 작은 식당들의 부담이 걱정됩니다.
Restaurants add hidden delivery fees, sparking transparency concerns
식당, 숨겨진 배달수수료 추가로 투명성에 대한 우려유발
By Ko Dong-hwan 고동환 기자
Posted : 2024-09-19 17:11 Updated : 2024-09-20 15:18
Korea Times
Smaller franchises turn to dual pricing amid cost issues
소규모 프랜차이즈, 비용문제로 이중가격책정으로 전환
Independent and franchise restaurants are adding extra charges to delivery orders without notifying customers, raising concerns about transparency among consumer advocates and industry experts.
개별 레스토랑과 프랜차이즈 레스토랑은 고객에게 알리지 않고 배달 주문에 추가 요금을 부과하고 있어 소비자 옹호자와 업계 전문가들 사이에서 투명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The backlash against the practice followed delivery fee rate hikes by major online food delivery platforms in the country, such as Baedal Minjok, Coupang Eats, and Yogiyo. In response, independent and franchise restaurants have chosen to pass on these costs to consumers by raising the prices of their menu items.
이러한 관행에 대한 반발은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요기요 등 국내 주요 온라인 음식 배달 플랫폼의 배달수수료 인상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독립 및 프랜차이즈 레스토랑은 메뉴가격을 인상하여 이러한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기로 결정했다.
Major quick service restaurant (QSR) franchise firms have been using dual pricing for years. For example, McDonald’s Korea raised the price of its Big Mac set by 300 won ($0.23) to 7,200 won in May, but this increase only applied to in-store customers. Delivery orders for the same menu items were priced higher at 8,500 won.
주요 퀵서비스 레스토랑(QSR) 프랜차이즈 기업들은 수년 동안 이중가격을 사용해 왔다. 예를 들어, 한국맥도날드는 5월에 빅맥 세트 가격을 7,200원으로300원(0.23달러) 인상했지만, 이번 인상은 매장 내 고객에게만 적용되었다. 같은 메뉴의 배달 주문은 8,500원으로 더 높았다.
Burger King charges even more for delivery. Those ordering a Whopper set menu for delivery must pay 1,400 won more. Popeye’s introduced dual pricing in April and KFC revived the policy in March after two years.
버거킹은 배송비를 더 많이 청구한다. 와퍼 세트메뉴를 주문하면 1,400원을 더 지불해야 한다. 팝 아이즈는 4월에 이중가격을 도입했고, KFC는 2년만에 3부터 이 정책을 부활시켰다.
The practice is also used by major coffee and beverage franchise companies in the country, as well as smaller franchise operations.
이 관행은 미국의 주요 커피 및 음료 프랜차이즈 회사와 소규모 프랜차이즈 운영에서도 사용된다.
Mega MGC Coffee, the country's biggest low-cost coffee franchise firm, is charging 500 won more for delivery orders. Frank Burger charges 700 won more and fried chicken firm Hosigi last month raised prices for delivery by 500 won to 2,000 won. Even non-franchise restaurants have started adopting this practice by charging delivery customers several hundred won more.
우리나라 최대 저가 커피 프랜차이즈 회사인 메가 MGC 커피는 배달 주문 시 500원을 더 부과한다. 프랭크 버거는 700원을 더 부과하고, 프라이드 치킨 회사인 호시기는 지난달 배달가격을 500원에서 2,000원 인상했다. 프랜차이즈가 아닌 레스토랑에서도 배달고객에게 수백원을 더 부과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관행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The restaurant operators said that dual pricing is inevitable to cover the costs generated due to the hiked online platform fees. Furthermore, to prevent their store-visiting customers from having to pay more for the hiked operational costs, restaurants are passing on the costs to delivery customers.
레스토랑 운영자들은 온라인 플랫폼 수수료 인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이중 가격 책정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또한 매장 방문 고객이 인상된 운영 비용을 더 많이 지불해야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레스토랑은 배달고객에게 비용을 전가하고 있다.
“We’re setting up prices for delivery menus differently,” a McDonald’s Korea official said. “We didn’t want our store visitors to burden our additional costs which come from the hiked delivery operation costs.”
맥도날드 코리아 관계자는 "배달 메뉴 가격을 다르게 책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는 매장 방문객들이 배달 운영비용 인상으로 인한 추가 비용을 부담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For non-major franchise companies that have a smaller network of stores than major firms, dual pricing is more of a desperate measure to deal with the same problem.
주요 기업보다 매장 네트워크가 작은 주요 프랜차이즈 기업의 경우, 동일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중 가격책정이 더 절박한 조치이다.
A Hosigi official said that the increased platform fees “are posing a serious threat to our revenue structures.” A Frank Burger representative noted that an increasing number of franchisees are urging the company to raise product prices to offset the increased fees from online platforms.
호시기 관계자는 플랫폼 수수료 인상이 "우리 수익구조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프랭크 버거 관계자는 점점 더 많은 프랜차이즈 가맹점이 온라인 플랫폼의 수수료 인상을 상쇄하기 위해 제품 가격을 인상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Last month Baedal Minjok raised its platform usage fees for member restaurants to 9.8 percent from 6.8 percent for each delivery order. Coupang Eats and Yogiyo have already raised their fees to the same figure. The increase in fee rates angered franchisees and other restaurateurs, leading them to protest against the platform operators' challenging policies.
지난달 배달의민족은 회원 레스토랑의 플랫폼 사용료를 배달 주문 건당 6.8%에서 9.8%로 인상했다. 쿠팡이츠와 요기요는 이미 수수료를 같은 수치로 인상했다. 수수료율 인상은 가맹점주와 다른 식당들을 분노하게 만들었고, 이들은 플랫폼 운영자의 어려운 정책에 항의하게 만들었다.
The Korea Consumer Agency said that, in addition to the businesses choosing to run dual pricing, many of them have failed to inform consumers about such price gaps. The authority has found that only a few businesses, including Burger King, have notified customers that “delivery menu prices may be different from those at stores.”
한국소비자원은 이중 가격책정을 선택한 업체 외에도 많은 업체가 이러한 가격격차에 대해 소비자에게 알리지 않았다고 밝혔다. 당국은 버거킹을 포함한 일부 업체만이 "배달메뉴 가격이 매장의 가격과 다를 수 있다."고 고객에게 통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agency said that in 2021, it advised food businesses to make dual pricing more transparent to customers, but these recommendations have not been fully implemented. It also recommended that online platforms clearly display delivery fees separately to keep consumers better informed.
이 기관은 2021년에 식품기업에 이중 가격을 고객에게 더 투명하게 적용할 것을 권고했지만 이러한 권고가 완전히 시행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또한 온라인 플랫폼에 배송비를 별도로 명확하게 표시하여 소비자에게 더 나은 정보를 제공할 것을 권장했다.
“Even when customers see ‘free delivery’ on their online food ordering apps, the service fees are often hidden inside the menu prices shown online, a trick used by businesses to transfer the burden to customers,” an agency official said.
소비자보호원 관계자는 "고객이 온라인 음식 주문 앱에서 '무료 배송'을 볼 때에도 온라인에 표시된 메뉴 가격 안에 서비스 수수료가 숨겨져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업체가 고객에게 부담을 전가하는 데 사용하는 수법이다,"라고 말했다.
“Menu item prices and delivery fees need to be separately stated so that customers don’t misunderstand their receipts.”
"메뉴 품목 가격과 배송비는 고객이 영수증을 오해하지 않도록 별도로 기재해야 한다."
#Transparency투명성 #Deliveryfees배달수수료 #Dualpricing이중가격 #Franchiserestaurants프랜차이즈레스토랑 #Consumerconcerns소비자우려 #Platformusagefees플랫폼사용료 #Pricehike가격인상 #Revenuestructures수익구조 #KoreaConsumerAgency한국소비자원 #Hiddencharges숨겨진요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