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산 타이어, 대일 수출금액 3년 연속 증가 추세 이어가 -
- 차체는 작아져도 운전자 안전을 위해 타이어는 사이즈 키우는 일본 차량 -
- 급변하는 자동차업계에 맞춰 가볍고 강도 높은 신소재 타이어 개발 활발 -
□ 상품명 및 HS code
ㅇ HS code 4011은 고무로 만든 공기타이어이며 401110은 승용차용[스테이션왜건(station wagon)과 경주 자동차용을 포함]에 한함.
HS code | 범주 |
4011.10 | 고무로 만든 승용차용 공기타이어 |
□ 시장현황 및 전망
ㅇ 세계 타이어 시장 확대 추세
- 2007~2017년 고무∙타이어 업계 규모 추이를 살펴보면 2007년부터 2009년까지 큰 폭으로 축소됐다가 이후 2016년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확대 추세에 있음.
- 2007년 이후 시장 규모가 축소된 이유로 두 가지 요인을 들 수 있음. 2008년 전후로 원재료 가격이 급등하면서 기업의 수익률이 악화됐고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2008년 후반부터 2009년에 걸쳐 자동차 생산대수가 현저히 감소했기 때문임.
- 업계 주요기업 19개사의 매출 합계로 추정한 2018년 전 세계 타이어산업 규모는 6조6977억 엔으로 전년대비 1.2% 성장했으며, 수익성은 6.3% 오른 수치임.
고무∙타이어 업계 시장 규모 추이(2007~2017)

자료: 업계서치
ㅇ 일본 타이어는 대형화가 트렌드
ㅇ 미래자동차에 쓰일 신소재 타이어 개발 활발
- 자동차산업이 CASE(연결, 자동화, 공유, 전동화)에 대응하기 위해 빠르게 변화하는 가운데 타이어를 비롯한 자동차부품 구성에도 큰 변화가 찾아옴.
- 10년 넘게 전 세계 타이어 업계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브릿지스톤(일본)도 고무의 유연함과 수지의 단단함을 동시에 갖춘 신소재 HSR(High Strength Rubber)을 개발해 선보였음. HSR은 기존 타이어 소재에 비해 강도가 5배 이상 커졌으며 천연고무 대체재로써 얇고 가벼운 타이어 제작이 가능해져 자동차 연비를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됨.
브릿지스톤이 개발한 타이어 신소재 HSR
자료: 일간공업신문
□ 최근 3년 수입 규모 및 관세율
(단위: 천 달러, %)
순위 | 국가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2019/2018) |
2017 | 2018 | 2019 | 2017 | 2018 | 2019 |
1 | 태국 | 3,242 | 4,820 | 5,001 | 16.30 | 24.65 | 27.11 | 3.75 |
2 | 대만 | 2,993 | 2,760 | 2,399 | 15.04 | 14.11 | 13.00 | - 13.10 |
3 | 인도네시아 | 3,612 | 2,482 | 2,397 | 18.16 | 12.69 | 12.99 | - 3.45 |
4 | 중국 | 2,392 | 2,450 | 2,024 | 12.02 | 12.53 | 10.97 | - 17.41 |
5 | 스페인 | 1,396 | 1,094 | 1,760 | 7.02 | 5.59 | 9.54 | 60.91 |
6 | 독일 | 2,255 | 2,057 | 1,425 | 11.34 | 10.52 | 7.73 | - 30.74 |
7 | 미국 | 1,006 | 942 | 1,233 | 5.06 | 4.82 | 6.68 | 30.82 |
8 | 베트남 | 587 | 715 | 736 | 2.95 | 3.66 | 3.99 | 2.88 |
9 | 세르비아 | 942 | 673 | 408 | 4.74 | 3.44 | 2.21 | - 39.30 |
10 | 한국 | 324 | 335 | 376 | 1.63 | 1.71 | 2.04 | 12.40 |
자료: World Trade Atlas(2019.7.17.)
주: 2019년 통계는 1~5월 수입금액 기준
ㅇ 일본 관세 현황
품목명 | 고무로 만든 공기타이어(신품으로 한정함) |
HS Code | 4011.10 |
기본세율 | 0% |
WTO협정국가 세율 | 0% |
자료: 일본 관세청
ㅇ 한국 제품 수입금액 늘어 3년 연속 시장 점유율 증가세
- 최근 3년간 일본에 타이어를 수출하는 주요 10개국 중 절반은 수입액이 큰 폭으로 감소했는데 스페인과 미국, 한국은 수입액이 크게 늘며 선전했음.
- 일본 타이어 시장은 크게 교체용 타이어와 신차에 장착되거나 수출하는 OEM(주문 위탁생산) 타이어로 나뉨. 2018년 일본 타이어 시장의 판매량은 1억6300만 개로 그중 61%가 교체용 타이어(시판용 타이어)로 판매됐음.
- 최근 일본에서는 일본 제품보다 저렴하지만 질 좋은 한국산 타이어를 찾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시판용 타이어 시장에서 한국산 제품의 판매 확대가 기대됨.
ㅇ 일본 주요 완성차 제조사의 리쇼어링으로 타이어 수요 확대 예상
- 미래자동차의 경쟁요소는 값싼 노동력이 아니라 부품회사, 연구진과의 긴밀한 협력이 되기 때문에 일본 주요 완성차 메이커는 해외 생산기지를 일본 국내로 돌리는 리쇼어링을 추진하고 있음.
- 올해 닛산은 영국 공장에서 생산하려던 ‘엑스트레일’ 모델을 일본 공장에서 생산하기로 했으며 혼다 또한 영국 공장을 폐쇄하고 터키 공장의 ‘시빅’ 모델 생산을 중단하고 해당 생산물량을 일본으로 이전하는 것을 검토 중임.
- 따라서 일본 국내에서 생산하는 차량 대수가 늘어감에 따라 그에 따른 타이어 수요 또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
□ 인증, 안전 규격
ㅇ 인증
- ‘순정 타이어 인증 마크’의 경우 완성차 메이커가 타이어 제조 업체와 신차 개발 시 공동으로 타이어 개발을 진행해 엄격한 테스트를 통과한 경우 부여되는 마크임.
- 따라서, 전 세계 주요 브랜드 차량에 따라 인증마크가 다름. 예를 들어 벤츠의 경우 ‘MO’, ‘MOE’라는 글자가 타이어에 새겨져 있고 아우디의 경우 ‘RO’, “AO’가 새겨진 타이어가 장착돼 있음.
- 시판용 타이어 판매를 위해 해당 인증은 필수적이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타이어 제조업체에서 취득하는 인증으로는 ISO14001, ISO9001 등이 있음.
ㅇ 규격 및 안전기준
- 타이어는 자동차의 중요 부품으로써 일본에서는 국토교통성, 도로운송차량 보안기준을 명시한 고시가 있음.
- 제조 판매업자 및 소비자가 규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JATMA에서는 타이어를 사용하고 정비하는데 있어 준수해야 하는 사항을 ‘자동차용 타이어의 선정∙사용∙정비기준’을 규정하고 타이어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매년 규격집을 작성하고 있음.
- 특히, 마모된 타이어는 젖은 도로에서 브레이크 성능을 떨어뜨려 미끄러질 위험이 크기 때문에 국토교통성에서는 ‘도로 운송차량 보안기준’에 타이어의 미끄럼 방지 요건(마모한도)을 아래와 같이 규정하고 있음.
타이어의 종류 | 마모 한계 |
승용차용 | 1.6mm |
소형 트럭용 | 1.6mm |
트럭 및 버스용 | 1.6mm |
이륜자동차(오토바이 등)용 | 0.8mm |
□ 유통구조
ㅇ 채널별 유통구조
- 자동차 타이어 유통은 △신차용 △시판용 △수출용 3개 채널로 나뉘며 시판용 유통경로는 딜러를 중심으로 여러 타이어 판매점을 거쳐 유통되고 있음.
- 시판용 타이어의 경우 수요가 많은 화물운송, 버스, 택시 회사 등 운송업계와 관공서 등에 직접 딜러가 판매하는 형태와 타이어 소매점에서 일반 고객에서 판매하는 두 가지 경로로 유통되는 구조임.
- 2017년 유통 채널별 판매 구성비율은 신차용 28.3%, 시판용 45.4%, 수출용 26.3%이며, 지난 10년간 수출용 판매는 감소 추세이나 시판용 판매비율은 10% 이상 증가해 주요 판매 채널이 되고 있음.
타이어 유통구조

자료: 일본 자동차타이어협회(JATMA)
□ 주요 경쟁기업
업체명 | Bridgestone |
설립연도 | 1931년 | 본사 위치 | 일본 도쿄 |
홈페이지 | https://www.bridgestone.co.jp/ |
특징 | 일본의 대표 타이어 제조사로, 전 세계 시장 점유율 14.7% 차지하며 10년간 업계 1위에 자리매김 함. 최근 타이어관련 서비스 솔루션 사업을 전개하고 있음. |
주요제품 | REGNO, POTENZA, ecopia, DUELER, ALENZA  
|
업체명 | Michelin |
설립연도 | 1889년 | 본사 위치 | 프랑스 |
홈페이지 | https://www.michelin.co.jp/ |
특징 | 전 세계 시장점유율 14%를 차지하며, 차량용 타이어뿐만 아니라 항공기 및 지하철용 타이어도 제작 |
주요제품 | PILOT ROAD, BOPPER, ANAKEE, SCORCHER  
|
업체명 | Sumitomo Rubber Industries |
설립연도 | 1909년 | 본사 위치 | 일본 도쿄 |
홈페이지 | https://tyre.dunlop.co.jp/ |
특징 | 판매중인 브랜드는 DUNLOP이며, Goodyear, Continental A.G.에 이어 2017년 세계 시장점유율 6위를 차지함. |
주요제품 | VEURO VE303, LE MANS V, GRANDTREK, DIREZZA  
|
업체명 | Yokohama Rubber |
설립연도 | 1917년 | 본사 위치 | 일본 도쿄 |
홈페이지 | https://www.y-yokohama.com/ |
특징 | 일본 내 5개 생산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7년 전 세계 매출순위 8위를 기록했음. |
주요제품 | ADVAN dB, BluEarth-GT, GEOLANDAR  
|
□ 시사점
ㅇ 국산 타이어의 내수 시장 고전은 수출 시장에서 만회 노릴 수 있어
- 타이어 내수 시장은 국내 완성차 업계의 판매 부진과 동남아산 등 저렴한 타이어 수입 확대로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음.
- 내수와 수출을 합한 국산 타이어 판매량은 9422만 개로 2018년 이후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수출 확대가 견인하고 있기 때문임. 국내 내수시장은 2010년부터 2500만 개의 판매량을 유지하고 있어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었기 때문에 해외시장 개척을 통해 실적 부진에 대한 만회를 꾀해볼 수 있음.
ㅇ 미래자동차에 필요한 부가가치 높인 타이어 개발 필요
- 타이어 수출액은 수출량 추이와 관계없이 최근 수년 간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인데 고가이면서 고성능인 타이어의 판매가 확대됐기 때문임. 타이어의 경우 원재료로 이용되는 합성고무 등이 유가의 영향을 받기 쉬워 고정비용 변동이 큼. 부가가치를 높이는 것으로 이러한 원재료 값 상승
- 타이어는 200여 개의 다양한 부품들로 구성돼 하이테크 소재 활용이 중요해지고 있음. T사 국내영업부서 관계자(기업명 및 담당자명 비공개 요청)는 KOTRA 나고야 무역관 인터뷰를 통해 “전기자동차 수요가 늘고 있어 생산은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며, 신차에 장착되는 고성능 타이어 필요성은 높아질 것”이라고 밝힘.
자료: 일본자동차타이어협회, 자동차춘추사, STATISTA, 일간공업신문, 업계리서치, World Trade Atlas, 일본 관세청, KOTRA 나고야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