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관리사시험학원 공동주택시설개론 건축설비(建築設備)
건축설비(建築設備)
건축설비는 건축물의 기능 및 효용을 원활히 하기 위해 건축물에 설치하는 제반 부대설
비로 전기설비, 옥내 급배수 설비 및 소화전설비, 위생설비 및 냉난방설비, 공기조화설비
및 환기설비, 승강기설비, 배연 및 오물처리의 설비와 피뢰침, 공동시청안테나, 유선방송
수신시설, 기타 국토해양부령이 정하는 설비를 말한다.
1. 목적
건축설비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건축물의 특성에 맞는 건축환경의 유지와 공급처리,
정보통신, 안전확보 등의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건축물의 종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 쾌적성
열환경 및 공기환경을 위한 냉난방 및 공조설비를 말한다.
(2) 편리성
정보, 통신설비와 운송 및 승강설비, 건물의 자동화설비를 말한다.
(3) 위생성
급배수설비, 청소설비 등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
(4) 안전성
방재 및 소화설비로 인간의 재해방지 등을 목적으로 해야 한다.

경화한 콘크리트의 성질 - 건조수축(Drying shrinkage)
습윤 상태에 있는 콘크리트가 건조하여 체적이 수축하는 현상을 말한다. 즉, 수화하고 남
은 수분이 대기 중에서 증발하면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이 일어나 인장응력이 발생되고 이
것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이상이 되면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1) 단위시멘트량주) 및 단위수량이 많을수록 증대된다.
(2) 분말도가 높은 시멘트를 사용하면 증대된다.
(3) 온도가 높고, 습도가 낮을 경우 커진다.

구성양식(뼈대구조)에 의한 분류
(1) 가구식 구조(架構式構造, Post & Lintel structure)
목구조, 철골구조와 같이 비교적 가늘고 긴 재료(목재, 철재)를 가로 또는 세로로 맞추어 구성한 구조로 각 부재의 이음과 맞춤, 배치와 조립 등이 강성에 영향을 준다( 목구조, 철골구조 등).
(2) 조적식 구조(組積式構造, Masonry structure)
벽돌·돌·시멘트블록 등의 개개의 재료를 사용하여 교착재(석회나 시멘트 등)를 사용하여 구성한 구조로 단일재료의 강도와 교착재의 강도, 쌓기법이 건물 전체의 강도를좌우함으로 철근이나 철망으로 보강할 경우 더욱 강한 강성체로 구성할 수 있다( 벽돌구조, 블록구조, 돌구조 등).
(3) 일체식 구조(一體式構造, Monolithic structure)
철근이나 철골을 배근 및 조립하고 거푸집 속에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일정한 시간이경과한 뒤에 거푸집을 제거하여 전 구조체를 일체로 만든 구조로 가장 강력한 강도를 낼 수 있는 합리적인 구조로 내진·내화·내구적이나 자체의 무게가 무거워지는 단점이 있다( 철근콘크리트 구조,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
(4) 입체식 구조(立體式構造, Space structure)
3차원 입체공간의 형태로 외력 및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로 모든 부재가 동일면 내에 있지 않은 구성의 골조이다( 입체트러스, 현수구조, 공기막구조, 쉘구조 등).

급배수 위생설비 -오수,가스,소방,배관
⑤ 오수정화설비
오수정화설비는 화장실, 주방에서 사용된 물을 정화해서 보내는 설비로 건물에서
배출되는 모든 배수는 [하수도법]에 의거 처리토록 되어 있으며 오수배관은 폐쇄·
역류 및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 ‘오수(汚水)’라 함은 액체성 또는 고체성의 더러운 물질이 섞여 그 상태로는 사
람의 생활이나 사업활동에 사용할 수 없는 물로서 사람의 일상생활과 관련하
여 수세식화장실·목욕탕·주방(주방)등에서 배출되는 것을 말한다.
㉡ ‘분뇨(糞尿)’라 함은 수거식 화장실에서 수거되는 액체성 또는 고체성의 오염물
질(개인하수처리시설의 청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찌꺼기를 포함한다)을 말한다.
㉢ ‘오수처리시설’이라 함은 오수를 침전, 분해 등으로 정화하는 시설을 말하되
단독정화조를 제외한다.
㉣ ‘단독 정화조(淨化槽)’라 함은 수세식화장실에서 나오는 오수를 침전·분해 등
환경부령이 정하는 방법에 의하여 정화하는 시설을 말한다.
⑥ 가스설비
가스설비는 인간의 생활을 위해 난방 및 취사, 급탕 등을 위하여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매체인 가스를 사용하는 각종 시설을 말하며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
는 가스는 수소, 일산화탄소, 메탄 등의 혼합물이다.
㉠ LPG(Liquefied Petroleum Gas)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상 ‘액화석유가스’란 프로판(C3H8)이나
부탄(C4H10)을 주성분으로 한 가스를 액화한 것(기화된 것을 포함한다)을 말하는
데 LP가스는 천연가스의 분리나 석유정제과정에서 채취된 가스를 압축·냉각
하여 액화시킨 가스이다.
㉡ LNG(Liquefied Natural Gas)
액화천연가스를 말하며 메탄(CH4)이 주성분인 천연가스를 냉각·액화한 것으
로 탈탄소, 탈수, 중질분 제거 등의 전처리를 하고 액화되므로 불순물이 거의
포함되지 않아 무공해이다.
⑦ 소방설비
소방이란 연소작용을 정지시키는 소화·연소를 억제하거나 냉각하여 연소의 확대
를 방지하는 방화·연소작용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예방 등을 총칭하는 말이다
⑧ 배관설비
유체(액체나 공기)를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시설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