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년 중국 선글라스 시장 매출액 전년대비 7.3% 증가 -
- 선글라스 시장 4대 트렌드는 복고풍, 스포츠캐주얼, 빅사이즈, 독특한 디자인 -
□ 중국 선글라스 시장현황
○ 중국 선글라스 시장규모
- 글로벌 시장 조사 업체 Euromonitor에 따르면 2018년 중국 선글라스 시장 매출액은 전년대비 약 7.3% 증가한 107억 6900만 위안을 기록함.
- 2014년 중국 선글라스 시장 판매량은 2300만개를 기록하였으며 최근 5년간 판매량은 약 21% 증가하여 2018년 판매량은 약 2800만개를 기록함.
중국 선글라스 시장규모
(단위: 백만 위안)
자료원: 유로모니터(Euromonitor)
매출액 기준 중국 선글라스 판매량
(단위: 백만 개)
구분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선글라스 | 23.3 | 24.4 | 25.6 | 26.8 | 28.2 |
자료원: 유로모니터(Euromonitor)
○ 2019 중국 선글라스 시장 4대 트렌드
- 글로벌 아이웨어시장 선두기업인 이탈리아의 룩소티카(Essilor Luxottica)는 2019년 5월 9일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개최한 2019년 신제품 수주회에서 2019년 아이웨어 트렌드에 대해 발표함.
트렌드 | 관련 제품 사진 및 제품명 | 비고 |
① 복고풍 |
|
| 현재 패션업계에 대대적으로 부는 복고풍은 선글라스 업계에도 유효할 전망임. 메탈 프레임의 타원형 선글라스와 빈티지 컬러의 렌즈를 매치한 뉴트로(Newtro) 디자인, 1960~70년대에 유행하던 고전적인 디자인의 선글라스를 선호하는 젊은 소비자들이 증가하는 추세임. |
Ray-Ban Oval RB3547 | Oliver Peoples Saurine OV5394SU |
② 스포츠 캐주얼 |
| 아웃도어 스포츠의 늘어나는 인기에 수반해 다양한 디자인의 스포츠 캐주얼 선글라스가 출시되고 있음. 2019년 유행 컬러인 형광색의 편광렌즈, 일체형 고글 프레임 등을 장착한 선글라스가 출시되는 추세임. |
Prada Linea Rossa Active PS10U |
③ 빅 사이즈 |
|
| 빅 사이즈 렌즈의 오버페이스 선글라스 또한 올해 트렌드 중 하나임. 컬러렌즈를 장착한 틴트 선글라스와 사각형, 다각형의 빅 사이즈 선글라스 등이 지속 출시되고 있음. |
Ray-Ban Square RB1971 | Emporio Armani EA 2086 |
④ 독특한 디자인 |
|
| 2019년에는 또한 파격적인 디자인의 선글라스가 다수 출시될 전망임. 다각형, 마름모, 하트모양, 구름모양 등의 과감하고 개성적인 디자인뿐 아니라 눈에 띄는 색을 사용한 제품이 출시되어 각자의 개성을 살리는 패션 아이템으로 각광받고 있음. |
Miu Miu Clouds MU 56U | Burberry BE3111 |
자료원: 하퍼스바자 차이나(Haper's BAZAAR China)
□ 경쟁동향
○ 중국 선글라스 시장 주요 브랜드별 경쟁동향
- 2018년 매출액 기준 중국 선글라스 시장 점유율 1위 브랜드는 Bolon이 차지함. 2015년 이래 압도적인 점유율 차이로 중국 시장을 점유하고 있음. 세계 최고 렌즈 업체인 Essilor가 대대적인 투자를 진행한 후 시장점유율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
- Bolon사는 트렌디하면서도 클래식한 디자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합리적인 가격과 좋은 품질을 앞세워 20대부터 40대까지 다양한 연령층에게 높은 지지를 받고 있음.
- 2018년 매출액 기준 중국 시장 점유율 2위 브랜드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Ray-ban이 차지함. 2015년 이래 7%대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Molsion, Prsr, Prosun 기업이 뒤를 이음.
매출액 기준 주요 브랜드별 시장점유율
(단위: %)
브랜드명 | 기업명 | 2015 | 2016 | 2017 | 2018 |
Bolon (Essilor International SA) | Xiamen Yarui Optical Co Ltd | 14.3 | 16.7 | 19.1 | 22.1 |
Ray-Ban (Luxottica Group SpA) | Luxottica (China) Investment Co Ltd | 7.3 | 7.1 | 7.4 | 7.9 |
Molsion (Essilor International SA) | Xiamen Yarui Optical Co Ltd | 4.4 | 4.7 | 5 | 5.5 |
Prsr | Zhejiang Yingchang Glass Industry Co Ltd | 2.1 | 2.4 | 2.6 | 2.8 |
Prosun (Essilor International SA) | Xiamen Quansheng Enterprise Co Ltd | 1.6 | 1.7 | 1.7 | 1.9 |
Gucci (Kering SA) | Gucci (China) Trading Ltd | - | - | 1.5 | 1.8 |
Helen Keller (Ginko International Co Ltd) | Xiamen Jinzhi Industry Development Co Ltd | 1.7 | 1.8 | 1.8 | 1.7 |
Dior (Safilo Group SpA) | Safilo Trading (Shenzhen) Co Ltd | 2.1 | 1.8 | 1.6 | 1.7 |
Parim (Cheng Yi Optical Co Ltd) | Parim Optical (Xiamen) Co Ltd | 1.7 | 1.6 | 1.6 | 1.5 |
Levi's (Levi Strauss & Co) | Levi Strauss Asia Pacific Co Ltd | 1.5 | 1.5 | 1.5 | 1.5 |
Prada (Luxottica Group SpA) | Luxottica (China) Investment Co Ltd | 1.7 | 1.5 | 1.4 | 1.4 |
Calvin Klein (Vision Service Plan Global) | Marchon Eyewear Hong Kong Ltd | 1.3 | 1.3 | 1.2 | 1.2 |
Giorgio Armani(Luxottica Group SpA) | Luxottica (China) Investment Co Ltd | 1.3 | 1.2 | 1.2 | 1.2 |
|
자료원: 유로모니터(Euromonitor)
Bolon사 선글라스 맞춤형 제작 화면 모습
자료원: Bolon 홈페이지
자료원: Bolon 홈페이지
□ 유통구조
○ 오프라인 유통이 여전한 강세, 온라인 유통은 소폭 증가세
- 착용감과 실제 피팅이 중요한 아이웨어 특성상, 오프라인 매장을 통한 유통이 아직까지는 대세임. 2018년 기준 약 88%의 선글라스가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유통됨.
- 2014년 약 7%의 선글라스가 온라인을 통해 유통되었으며 최근 5년간 소폭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이는 다수 오프라인 선글라스 업체가 온라인매장을 동시 운영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임.
중국 선글라스 시장 주요 유통채널별 점유율
(단위: %)
구분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오프라인 판매 | 92.8 | 91.8 | 91.1 | 90.0 | 88.4 | 86.9 |
- 의류 및 운동화 전문 판매점 | 6.2 | 6.3 | 6.4 | 6.5 | 6.5 | 6.6 |
- 안경점 | 62.1 | 61.9 | 61.4 | 61.0 | 60.2 | 59.5 |
- 백화점 | 20.8 | 20.1 | 19.9 | 19.1 | 18.2 | 17.3 |
- 기타 | 3.7 | 3.5 | 3.4 | 3.4 | 3.5 | 3.5 |
온라인 판매 | 7.2 | 8.2 | 8.9 | 10.0 | 11.6 | 13.1 |
- 홈쇼핑 | 0.5 | 0.6 | 0.6 | 0.6 | 0.5 | 0.5 |
- 인터넷 판매 | 6.6 | 7.6 | 8.3 | 9.4 | 11.0 | 12.6 |
자료원: 유로모니터(Euromonitor)
□ 인터뷰
○ 아이웨어 종합매장 博士眼镜(President Optical) 점원 Z씨 인터뷰
Q1) 현재 중국 선글라스 업계 트렌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지? A1) 최근에는 복고풍 디자인의 선글라스가 신제품으로 출시되는 브랜드가 많음. 레이밴(Ray-Ban)이나 구찌(Gucci), 불가리(BVLGARI) 등에서 모두 1950~60년대 디자인에 영향을 받은 복고풍 신제품이 출시되었음. Q2) 요즘 제일 잘 팔리는 제품은 무엇인지? A2) 최근에는 비행기 조종사를 연상시키는 에비에이터(Aviator) 디자인의 선글라스를 찾는 고객들이 많으며, 렌즈는 색이 들어간 편광렌즈가 사용된 제품이 다수임. 해당 제품은 주로 남성고객들이 선호하며, 여성고객의 경우에는 프레임 형태가 불규칙한 다원형의 선글라스를 선호하는 편임. Q3) 연령별 구매 동향은 어떠한지? A3) 젊은 소비자들은 디자인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임. 여성 고객들은 다양한 색이 들어간 틴트 선글라스를 가장 선호하며, 남성 고객들은 심플한 디자인의 메탈 프레임 선글라스에 좋은 반응을 보임. 중장년층의 경우 일반적으로 디자인보다는 기능을 우선시하며, 가벼운 소재로 만든 프레임과 자외선 차단 기능 등에 주의하여 제품을 고름.
|
○ 소비자 W씨 인터뷰
Q1) 선글라스를 고를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이 있다면 무엇인지? A1) 주로 최근 유행하는 선글라스 트렌드를 참고하거나, 특정 연예인이 촬영한 화보나 광고 등을 보고 선글라스를 구매하는 편임. Q2) 특별히 선호하는 선글라스 브랜드가 있으신지? A2) 젠틀몬스터(Gentle Monster)라는 브랜드를 굉장히 좋아함. 독특하고 예쁜 디자인의 선글라스가 많고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잘 어울리는 형태이기 때문에 굳이 매장에 방문해 착용해보지 않아도 온라인을 통해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어 선호함. Q3) 선호하는 선글라스 디자인이 있으신지? A3) 메탈 프레임의 빅 사이즈 선글라스를 선호함. 최근에는 사각형의 빅 사이즈 렌즈 또는 컬러 렌즈가 장착된 제품에 관심을 갖고 있음. Q4) 선글라스를 구매할 때 적정하다고 생각되는 가격대는 얼마인지? A4) 1천 위안에서 2천 위안 사이의 중‧고가 제품들을 주로 구매하는 편임.
|
□ 전망 및 시사점
○ 가성비, 선글라스 구매에 큰 영향
- 중국 선글라스 시장점유율 상위 10개 브랜드 가운데 보통 2천 위안을 초과하는 제품을 판매하는 브랜드는 2개 정도인 반면 나머지 브랜드 제품의 가격대는 대부분 중‧고가에 분포해있음. 또한 밀레니얼 세대가 중국의 주 소비층으로 부상함에 따라 합리적인 가격에 좋은 품질을 갖춘 가성비 높은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브랜드명 | 주요 제품 | 가격 |
Bolon (Essilior International SA) |
| RMB 788 |
Ray-Ban (Luxottica Group SpA) |
| RMB 1,280 |
Molsion (Essilor International SA) |
| RMB 798 |
Prsr (Zhejiang Yingchang Glass Industry Co Ltd) |
| RMB 880 |
Prosun (Essilor International SA) |
| RMB 598 |
Gucci (Kering SA) |
| RMB 3,400 |
Helen Keller (Ginko International Co Ltd) |
| RMB 519 |
Dior (Safilo Group SpA) |
| RMB 3,300 |
Parim (Cheng Yi Optical Co Ltd) |
| RMB 698 |
Levi's (Levi Strauss & Co) |
| RMB 209 |
자료원: 브랜드별 공식 홈페이지, JD(京东)
○ 소비자에게 각인시킬 수 있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성립 필요
- 중국 선글라스 시장의 경우, 프리미엄 브랜드가 절대적으로 선도하는 시장이 아닌 다수 브랜드 간 경쟁이 치열함. 이에 소비자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길만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성립이 중요함. 국내 선글라스 업체 젠틀몬스터(Gentle Monster)의 경우, 주기별로 매장 전체를 특정 테마의 쇼룸으로 꾸미는 '공간 마케팅'을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정립하고 가치를 제고함. 이에 SNS를 즐기는 중국의 밀레니얼 세대를 필두로 젊은 소비자층이 크게 호응했으며, 독특한 매장 인테리어를 구경하기 위해 많은 인파가 몰림.
젠틀몬스터 매장전경
자료원: 젠틀몬스터 공식 온라인 스토어
○ 연예인, KOL을 활용한 마케팅 확산
- 유명 연예인과 왕홍(网红) 등을 통해 SNS에 제품을 홍보하는 기업이 많아지는 추세임. 다수 선글라스 제조업체에서 KOL(Key Opinion Leaders)을 고용해 특정 브랜드 제품을 착용한 사진을 SNS에 포스팅하도록 독려함으로써, SNS를 활발히 이용하는 중국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홍보효과를 거두고 있음. 이에 중국 진출을 고려하는 한국기업이라면 유명인 또는 왕홍(网红)을 모델로 세워 홍보하는 마케팅 방법을 고려하는 것도 좋은 방법임.
자료원: 유로모니터(Euromonitor), 하퍼스바자 차이나(Haper's BAZAAR China), 브랜드별 공식 홈페이지, JD(京东), 젠틀몬스터 공식 온라인 스토어,더우반(豆瓣), KOTRA 선전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