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기(대) |
이 름 |
식민지 시기 경력 |
해방 이후 경력 |
4 |
신태영 |
일본 육사(26기), 일본군 장교 |
국방부 장관 |
7 |
김정렬 |
일본 육사(54기), 전투기비행중장 |
초대 공군참모총장, 국방부 장관 국무총리 |
8 |
이종찬 |
일본 육사(49기), 일본군 장교 |
육군참모총장, 국방부 장관 |
9, 11 |
![]() 현석호 1907년 5월 23일 출생 (*사망) |
일본 고등문관 행정과, 화순 군수 |
내무부 장관, 국방부 장관 |
12 |
장도영 |
일본군 장교 |
육군참모총장, 국방부 장관 |
13 |
송요찬 |
지원병, 일본군 장교 |
육군참모총장, 국방부 장관 |
18 |
최영희 |
일본군 장교 |
합참의장, 육군참모총장 국방부 장관 |
19 |
임충식 |
간도특설대 |
국방부 장관, 육군참모차장 합참의장 |
20 |
정래혁 |
일본 육사(58기), 일본군 장교 |
국방부 장관 |
21 |
유재흥 |
일본 육사, 일본군 장교 |
국방부 장관, 육군참모차장 대통령안보담당특별보좌관 |
23 |
노재현 |
일본군 장교 |
합참의장, 국방부 장관 |
24 |
주영복 |
일본 항공학교 |
공군참모총장, 국방부 장관 |
역대 합동참모회의 의장
임기(대) |
이 름 |
식민지 시기 경력 |
해방 이후 경력 |
1 |
이형근 |
일본 육사(56기), 일본군 장교 |
합참의장, 육군참모총장 |
2 |
정일권 1917∼1994 |
일본육사, 봉천군관학교(5기)
배우자 박혜수(朴惠穗) 장남 정세훈 장녀 정희진 |
육군참모총장, 합참의장, 국무총리 외무부 장관
1940 일본육군사관학교 최근경력 : 안중근의사 여순순국유적 성역화사업추진위원회 고문 |
3 |
유재흥 |
일본 육사, 일본군 장교 |
합참의장, 육군참모총장, 국방부 장관 |
4 |
백선엽 |
만주 봉천군관학교(9기), 간도특설대 |
합참의장, 육군참모총장, 교통부 장관 |
5 |
최영희 |
일본군 장교 |
합참의장, 육군참모총장 |
6, 7, 8 |
김종오 |
일본군 장교 |
합참의장, 육군참모총장 |
9 |
장창국 |
일본 육사(59기), 일본군 장교 |
합참의장 |
10 |
임충식 |
지원병, 일본군 장교, 간도특설대 |
국방부 장관, 육군참모차장, 합참의장 |
11 |
문형태 |
지원병, 일본군 장교 |
합참의장 |
12 |
심흥선 |
일본군 장교 |
합참의장 |
13 |
![]() 한 신 1922년 12월 27일 출생 (*사망) |
일본군 장교 |
합참의장, 내무부 장관 |
14 |
노재현 |
일본군 장교 |
합참의장, 국방부 장관 |
역대 육군참모총장
임기(대) |
이 름 |
식민지 시기 경력 |
해방 이후 경력 |
1 |
이응준 |
일본 육사(26기), 일본군 장교 |
육군참모총장, 체신부 장관 |
2, 4 |
채병덕 |
일본 육사(49)기, 일본군 장교 |
육군참모총장 |
3 |
신태영 |
일본 육사(26기), 일본군 장교 |
국방부 장관, 육군참모총장 |
5 8 |
정일권 1917∼1994 |
일본육사, 봉천군관학교(5기)
배우자 박혜수(朴惠穗) 장남 정세훈 장녀 정희진 |
육군참모총장, 합참의장, 국무총리 외무부 장관
1940 일본육군사관학교 최근경력 : 안중근의사 여순순국유적 성역화사업추진위원회 고문 |
6 |
이종찬 |
일본 육사(49기), 일본군 장교 |
육군참모총장, 국방부 장관 |
7, 10 |
백선엽 |
만주 봉천군관학교(9기), 간도특설대 |
합참의장, 육군참모총장, 교통부 장관 |
9 |
이형근 |
일본 육사(56기), 일본군 장교 |
합참의장, 육군참모총장 |
11 |
송요찬 |
지원병, 일본군 장교 |
육군참모총장, 국방부 장관 |
12 |
최영희 |
일본군 장교 |
합참의장, 육군참모총장, 국방부 장관 |
13 |
최경록 |
지원병, 일본 도요하시 예비사관학교 |
헌병사령관, 육군참모총장 |
14 |
장도영 |
일본군 장교 |
육군참모총장, 국방부 장관 |
15 |
김종오 |
일본군 장교 |
합참의장, 육군참모총장 |
16 |
민기식 |
일본군 장교 |
육군참모총장 |
17 |
김용배 |
일본군 장교 |
육군참모총장 |
18 |
김계원 |
일본군 장교 |
육군참모총장 |
19 |
서종철 |
일본군 장교 |
육군참모총장 |
20 |
노재현 |
일본군 장교 |
육군참모총장, 국방부 장관 |
21 |
이세호 |
일본군 장교 |
육군참모총장 |
역대 공군참모총장
임기(대) |
이 름 |
식민지 시기 경력 |
해방 이후 경력 |
1, 3 |
김정렬 |
일본 육사(54기), 일본군 장교 |
공군참모총장, 국방부 장관 |
5 |
김창규 |
일본 육사(55기), 일본군 장교 |
공군참모총장 |
7 |
장성환 |
일본 항공학교, 일본군 장교 |
공군참모총장 |
8 |
박원석 |
일본 육사(58기), 일본군 장교 |
공군참모총장 |
9 |
장지량 |
일본 육사(60기), 일본군 장교
배우자 송광희(宋光姬) 1929.04.07 별세(2001.5.3) |
1966.08-1968.07 제9대 공군 참모총장(중장) |
11 |
김두만 |
일본 항공학교 |
공군참모총장 |
12 |
옥만호 |
일본 항공학교 |
공군참모총장 |
13 |
주영복 |
일본 항공학교 |
공군참모총장, 국방부 장관 |
첫댓글 오늘이 임시정부수립일이지요 M B C TV 방송에서 만주의 친일파를 방송했는데 위의 졸업생가운데 백선엽 이라는 사람은 만주군관학교 시절의 인터뷰를할려고하니 말을 못하더라고요
한신장군의 경우는 좀 예외가 아닐까요, 학병으로 강제로 끌려가신것이고 민족반역행위는 없으니 말입니다, 그리고 사병이었다가 육사에가서 장교가된 경우지요, 민족반역행위가 없다고봐야하지않을까요,
일본군으로 끌려 같지만, 도망쳐서 광복군이나 독립군으로 가신분도 많습니다.
역시 해군은 없다. 창설자가 누군가 손원일 제독님이 아니신가! 난 꼭 해군에 가리라
왠 제독? 제독까진 아니다..
어제 kbs 다큐를 보니까 장지량 할아버지는 육사에서 교육받다가 해방된거 같던데.. 쩝..
권력없이 친일파를 처단못힙니다 권력을가져야합니다 우리를대표하실수 있는한분이국회로가야합니다 꼭~~
그방법보다는 국민이한뜻으로 일어서는게 좋다고봅니다 단합이되어야지가능합니다
권력도 있어야하고 단합도 있어야 하고... 누군가 있을겁니다. 막강한 권력을 휘둘릴 용감한 사람이 나올 겁니다.
여자일수도 있고 남자일 수도 있고 두명 일수도 있고....
민족 반역자 를 처단하자고 한지도 벌써 66년이 되었다.
지금까지 말로만 떠들뿐 행동으로 옮긴자는 없다. 행동으로 옮겨야 만 진정 처단한다는 목적이 이루어 질것이다.
지금 생존한 민족 반역자는 한명도 없다. 누굴 처단하겠다는 것인가?. 입으로만 떠드는자들만 있을뿐 행동으로 옮기는자는 없다.
일본인은 일본 공산당이 천황을 폐위하자고 말을하자 천황폐위를 주장 한자가 살해 당하였고 그 가족까지 살해 된것을 알고 있다.
한국도 반민족 후손들을 모두 살해 하여도 결코 지나치니 않다고 생각 한다.
왜냐하면, 민족을 배신한 혈통은 반민족행위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단종을 시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