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남파병 일지 - (5) 백마부대(9사단) 파병
백마부대(9사단)) 파병
1966. 08. 09 : 백마부대 제1제대 제1진인 백마부대 파병계획단 요원 60명과 제28연대 전투단 선발대 5명
등 65명 김포공항에서 출국 냐트랑(Nha Tarang) 공항 도착
백마부대 제1제대 제2진인 제28연대 전투단 선발대 244명 부산항에 도착
1966. 08. 15 : 백마부대 제1제대 제2진인 제28연대 전투단 선발대 냐트랑(Nha Tarang)항 도착
1966. 08. 27 : 백마부대 환송식 거행(중앙청 광장)
1966. 08. 30 : 제2제대인 제28연대(도깨비부대)본대 및 제29연대 선발대 부산항에서 출발
1966. 09. 05 : 제2제대인 제28연대 본대와 제29연대 선발대 나트랑(Nha Tarang)항에 도착
1966. 09. 20 : 제3제대인 백마부대 사단본부 및 사령부, 직할대, 포병연대, 제29연대, 제4제대 선발대
부산항에서 출발
1966. 09. 25~27 : 제3제대인 백마부대 사단본부 및 사령부, 직할대, 포병연대, 제29연대, 제4제대
선발대 냐트랑(Nha Tarang)항 도착
1966. 10. 03 : 제4제대인 제30연대 부산항에서 출발
1966. 10. 08 : 제4제대인 제30연대 캄란(Cam Ranh)항에 상륙
백마부대 환송 국민대회 중앙청광장1966.8.27
백마부대 환송 국민대회후 시가 행진하는 모습1966.8.27
미국은 베트남 사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보다 획기적인 병력증원이 필요했다. 그러나 미국 내 반전여론으로 인해
추가 파병은 한계에 달하고 있었다. 그 같은 상황에서 존슨 정부는 파병된 한국군의 활약을 주시하면서 베트남의
작전환경에 한국군이 가장 적합하다는 판단을 내렸다. 이어서 베트남 전쟁의 국제전적 성격을 부각시키면서 미국
내 반전여론을 무마시키기 위한 방안 등을 고려해 한국군 전투부대의 증파를 요청했다.
그러나 한국 정부의 입장은 제4차 파병을 계기로 국가안보에 대한 미국의 공약을 보다 명확히 재확인하면서 경제
적 실익을 얻어내야 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한국 정부는 미국의 보다 다급한 요청을 기다리는 입장이었다.
미 러스크 장관은 1965년 12월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을 방문한 이동원 외무부장관에게 한국군 전투부대 추가
파병을 공식 요청했다.
그러나 이동원 장관은 제3차 파병 시 합의했던 한국군 장비현대화 등의 약속이 이행되지 않고 있는 사실을 지적
하며, ‘선 약속이행, 후 증파’를 주장했다. 반면 러스크 장관은 ‘선 증파, 후 약속이행’을 주장해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미 존슨 정부는 1966년 1월 1일과 2월 22일 험프리 부통령을 특사로 파견해 한국의 안보와 지원을 약속하면서
추가파병을 요청했다. 아울러 브라운 미 대사와 이동원 외무부장관의 협상이 계속됐다. 이에 따라 브라운 대사
는 협상과정에서 한국측에 약속했던 내용을 서면으로 명시한 ‘브라운각서’를 보내왔다.
미국 정부가 한국에 대한 지원을 서면으로 보장함에 따라 한국군 전투부대 추가파병은 급물살을 타게 됐다. 한편
정부는 1966년 2월 22일 남베트남 정부로부터 1개 전투사단의 추가파병을 요청하는 서한을 접수받았다. 그리고
3월 20일 국회의 의결을 거쳐 수도사단 제26연대와 제9사단의 파병을 결정했다.
그 후 파병준비를 마친 수도사단 제26연대(맹호 혜산진부대)는 4월 16일 퀴논에 상륙했다.
백마 도깨비부대(28연대)환송식 부산항 66.8.30 위 미수송함은 General-W-H-Gordon(T-AP-117) 함이다.
백마부대 본대 환송식 부산항 66.9.20
제9사단(백마부대)은 10월 8일까지 닌호아 일대에 전개했다. 그 결과 주월 한국군은 남베트남 중부 해안의
핵심지역을 담당해 미군과 함께 베트남전쟁을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가게 되었다.
백마부대 제9사단의 파병에 따라 주월 한국군사령부는 예하부대의 전투근무지원을 위해 수도사단 예하의 군수
지원사령부를 모체로 제100군수사령부(십자성부대)를 창설했다. 해상수송지원을 위해 비둘기부대 예하의 해군
수송분대를 해군수송전대(백구부대)로 개편했으며, 근접항공지원 및 공중수송지원을 위한 공군지원단(은마부대)
를 창설해 각각 주월 한국군사령부 예하부대로 편입시켰다.
이에 따라 주월 한국군은 군단급 규모 제대로 확장되어 명실 공히 독자적인 작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백마
부대는 닌호아·투이호아·캄란지역에서 부여된 작전임무를 수행하였다. 1966년 파월로부터 1973년 개선 때까지
대부대작전 478회, 소부대작전 21만 1,236회를 벌여 사살 1만 3,500여명, 포로 700여명, 귀순 800여명, 각종
화기노획 700여점의 전과를 거두었다.
백마부대 결단 및 환송식 거행(중앙청 광장)~부산항 출발 1966.8.27~1966.8.30
백마부대가 ~ 달려라 백마 1966
부대기와 부대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