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최대 도시 천안.
충남의 실질적인 중심지 역할을 하며, 최근들어 인구가 급증하는 도시이기도 하다.
이런 천안에서 가장 번화한 번화가는 어디일까?
대부분 사람들은 대규모의 아파트단지가 올라가고 있는 서부권을 떠올리기 쉽지만, 천만의 말씀이다.
흔히들 상대적으로 낙후되었다고 입을 모으는 동부권, 야우리이다.
이 곳에서 불과 1km 떨어진 곳에 경부고속도로 천안IC가 지나가는데,
고속도로의 관문임에도 한동안 발전을 하지 못했던 시골동네였다.
그러나 80년대말~90년대초반에 이루어진 개발사업으로 인해,
터미널이 천안역 광장에서 이 곳으로 옮겨왔고 덩달아 천안의 새로운 중심지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천안에서 놀만한 놀거리가 죄다 천안터미널 야우리에 몰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모든 백화점, 모든 주상복합 초고층상가, 모든 편의시설이 몰려있다.
대학교만 해도 십여개나 몰려있어 엄청난 유동인구와 상권이 형성되어있다.
그 규모도 상상 이상으로 어마어마해 마치 왠만한 광역시를 떠오르게 하는 수준이다.
천안의 명동 한복판에서, 천안터미널은 고속/시외 가릴 것 없이 사람들에게 수많은 문화시설을 제공해주고 있다.

방죽안오거리에서 천안IC 사이에는 천안의 최대 번화가가 형성되어 있다.
먹자골목을 비롯해 갤러리아-야우리백화점, 더샾(포스코), 랜드마크타워, 아웃백, 교보문고 등 거의 모든 상업시설이 몰려있다.
현재 개발은 하고 있지만 상권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한 두정동,
이미 상권이 몽땅 빠져나가 몰락해버린 천안역 인근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다.

고속터미널은 방죽안오거리에서 채 3분도 걸리지 않는 거리에 있다.
터미널의 간판이 달려있긴 하지만, 버스터미널이라기 보다는 상업시설이 모여있는 상가에 더 가까운 모양새다.

터미널 앞으로는 엄청난 인파가 거리를 노닐고 있다.
그리고 엄청난 수의 차량들이 이 곳을 빠져나오고 있다.
천안 서북부권에선 경부고속도로를 타기 위해서 꼭 거쳐야 하는 곳인데다,
천안의 거의 모든 편의시설이 집중적으로 밀집된 곳이다 보니까 마치 명동, 강남의 거리를 보는듯한 느낌마저 든다.

터미널 건물로 들어가는 조그만 입구.
건물 자체는 상당히 큰 편이지만 그에 반해 입구는 작은 편이다.
마치 서울대학교의 커피숍 입구를 보는듯한 느낌마저 들 정도로...

수많은 인파들로 북적이는 바깥에 비하면, 대합실은 훨씬 조용하게 정돈되어 있다.
충남 최대의 도시에 있는 고속버스터미널이지만 규모는 그렇게 큼직한 편은 아니다.

천안고속터미널에서 갈 수 있는 행선지는 단 네 곳 뿐이다.
서울(강남), 광주, 대전, 울산.
그나마 타도시에 비하면 연결노선은 많은 편이지만,
역시나 시외터미널에 비하면 노선망은 저조하다.

대전, 광주, 울산의 노선을 모두 합쳐도 서울 하나에 따라오지 못한다.
그만큼 서울노선이 고속터미널의 유무를 결정짓는 밥줄인 셈인데,
수요의 차이 덕분인지 평일과 주말의 배차 차이가 조금씩 벌어진다.
6:30~7:30 AM 10분, 그 외엔 15분 배차를 유지한다.

주말엔 간격이 더욱 조밀해져 10~15분 배차를 왔다갔다하는데,
천안-서울간 전철보다 훨씬 짧은 간격이다.
흔히들 전철 개통으로 버스업체들이 심각한 타격을 입을거라 예상했지만,
예상처럼 크나큰 타격을 받지는 않았다.
오히려 야우리 상권과 천안시내가 점점 확장되면서 이용객은 조금씩 늘어나는 추세다.

충청권 3대 도시의 핵심, 대전으로 가는 고속버스도 무려 20분 간격이다.
버스와 철도 모두 조밀한 간격으로 다니는걸 보면 유동인구가 그만큼 많다는 뜻으로도 생각된다.

비교적 장거리 노선인 광주, 울산으로는 거의 우등버스가 운행하는데,
광주도 무려 50분 간격으로 꽤 조밀하게 운행하고 있다.
울산행은 위의 세 노선보다는 다소 적어 하루 7회 수준에 그치지만,
그만큼 천안에서 버스의 입지가 많이 성장했다는 뜻으로 생각된다.

대전을 제외한 모든 노선에서 일반과 우등을 나누어 안내하고 있다.
서울까지는 일반 4,800원 우등 7,000원으로서 기차보다 가격에서 우위에 있고,
광주·울산의 경우도 조밀한 간격 · 저렴한 요금으로 상당한 경쟁력을 확보한 상황이다.

매표소 옆, 입구 정면에 써붙인 버스타는 곳.
시외터미널과는 달리 고속터미널은 '터미널'의 생김새를 그대로 갖추고 있다.
대합실(맞이방), 매표소(표 사는 곳), 승차장(버스타는 곳) 등등...
백화점에 딸린 시외터미널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어마어마한 규모의 시외버스와 비교하면 이 곳의 승차장은 무척 조그맣다.
앙증맞고 귀엽게까지 느껴지는 건 왜인지 모르겠다.
하지만 보기엔 별로 안 커 보여도 실제 이용객은 굉장히 많으니,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천안의 발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고개를 돌려 주차장 쪽을 바라보면 이런 모습이 펼쳐진다.
얼마 전에는 허허벌판이었던 땅에 고층 아파트가 불쑥 들어서고 있고,
바로 옆으로는 야우리백화점이 웅장한 자태를 뽐내고 있다.
터미널에서 급속히 발전하는 천안을 조심스레 느낄 수 있는 것 같다.

시내 중심부에 위치한 천안고속터미널.
천안·아산 대부분의 시내버스가 경유하는 곳이자, 거대한 상권이 사방에 끼어있는 번화가.
그 속의 고속터미널은 다소 조그맣게 보이지만, 아주 커다란 역할을 해내고 있다.

저 너머에 붉은 햇살이 노을을 화려하게 물들이고 있다.
한 번 넘어가도 다시 일어나서 세상을 환하게 비춰주는 햇살처럼,
고속터미널도 언제까지고 이 자리에서 제 역할을 묵묵히 해줄 것이라 믿는다.
첫댓글 고속터미널 옆 시외버스 터미널로 넘어가는 사잇길에 주차되어 있는 마티즈는 뭔가요?? 예전에 봤을때도 유독 마티즈만 쭈~욱 서 있어서 그날따라 마티즈 동호회 모임을 하는줄 알았는데 오늘도 어김없이 마티즈만 줄줄이 서 있네요. 정체가 궁금합니다. ^^;
저 앞에는 홀로 쏘울이...-_-;; 이상하게 마티즈차량이 언제 천안을 가도 늘 있었습니다.
다른 차량도 많은데 유독 마티즈만 있군요... 무슨 이유인지 굉장히 궁금해지는데요. ㅎㅎ
도시의 규모에 비해 너무나 단조로운 고속버스 노선이죠! 개인적으로 대구행도 고속으로의 개통을 희망했습니다. 진주행의 고속터미널 개통/운행을 기대해 봅니다.
대구, 진주행 노선이 충분히 뚫려도 괜찮다고 봅니다만 쉽게 뚫릴 수 있을까가 관건이네요..
저도 5월달에 천안터미널을 처음 가봤는데,,,터미널 근처가 이렇게 발달한곳은 처음봤다죠....^^ 무튼 잘 보고 갑니다.
버스이용과 쇼핑이 자유자재로 가능하다는 메리트... 의외로 무시 못하죠. ㅎㅎ
물론 글이 필자 의견이겠지만 너무 사실을 왜곡하시는 경향이 있다 뭐 그런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천안시내에서 고속도로타기 위해서 방죽안5~터미널을 꼭 안거쳐도 얼마든지 갈 수 있으며(실제로 상습정체구간인 이 지역으로 통과해서 가진 않습니다),두번째 확실하게 수요가 보장되는 지역에 운행되는 것이 아니라,서울,대전외 광주,울산은 최초 97년경 광주,울산(한진,코오롱,속리산),속초(동양,동부)가 개통했다가 속초는 폐선,울산은 2개 공배사철수 상태로 다니고 있는 것입니다.울산도 수익성보다 시외버스 개통방지를 위해 그냥 들고 있다봐야합니다.천안에서 버스 입지가 성장한 것과는 무관하다 봐야 하고요,
세번째,너무나 단거리가 어떤 기준인지 모르겠지만 대전이나 서울이나 10km도 차이안납니다.대전은 출도착터미널이 시외노선과 동일하기에 우등을 넣어 비싸다는 인식을 안 주기 위함이며,서울,대전은 출도착지가 전혀 열차와 틀린 지역인데,비교 자체가 좀 무의미 한게 아닌가 합니다. 광주나 울산은 자료 뽑아놓고 비교한다면 열차 이용객이 훨씬 많습니다. 네번째 시외터미널이 백화점 때문에 원형을 잃은 게 아니라 야우리측에서 터미널 설계당시부터 백화점이 에워싸는 방식을 일부러 택했습니다.
짧은 지식으로 내용을 채워야겠기에 왜곡되어지는 부분이 많은 것 같습니다. 버스의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적으로 파고드는 '버스매니아'라기 보다는 단순히 여행을 다니면서 사진을 찍어 올리는 '여행자'에 더 가까워서 버스업체의 상호이해관계나 버스터미널의 정확한 역사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는 부분이 많습니다. 그런 세세한 정보들은 단순히 터미널만 방문하다고 습득이 되는 것이 아니기에, 상대적으로 부족한 정보를 가지고 있음에도 세세하게 내용을 채워야 한다는 압박감 때문에 헛된 추측이 난무한 글을 쓰게 되는군요. 저도 이 점에 대해서는 깊게 고민하고 있는 바입니다.
저 같은 경우에 웬만하면 댓글을 길게 다는 것을 자제하고자 하는데, Maximum님 글에는 자꾸 댓글이 길어지게 되더군요. 사실의 맞고 틀리고 여부를 떠나서 지나치게 철도와의 비교 우위를 강조한다던지, 요금부분 에서도 복잡한 체계를 지나치게 단순화해서 비교를 한다던지 하는 부분은.. 제가 보기에는 가끔 억지로 연관시키는 듯한 느낌을 받습니다. 버스운행횟수의 경우도 단순히 수요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지나치게 좁은 잣대나 한가지 잣대로만 판단을 하시는 것도 한 번은 말씀드리고 싶었습니다.
철도동호회에서 활약을 하셨기에 철도 중심으로 서술하는 것은 이해하고자 합니다만, 철도와 버스가 상호경쟁이나 연관관계성이 없는 경우도 있는데 그걸 지나치게 연결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버스동호회에서 활동하시는 만큼 버스시스템 중심으로 서술이 되었으면 합니다. 철도쪽에서도 그 쪽만의 특성이 있듯이, 버스쪽에서도 단순한 시장논리가 아닌 업계의 사정과 내부의 얽히고 섥힌 이해관계에 의해 노선이나 요금이 결정됩니다. 앞으로 글을 작성하실 때는 여러가지 기준과 잣대를 가지고 글을 작성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위에서도 언급했듯 버스업계의 사정이나 이해관계, 터미널 연혁과 같은 세세한 정보까지는 왠만한 방법으로 습득이 되기 힘들어서, 사실 저로서는 버스터미널 포스팅을 올릴 때 다양한 분야에 초점을 맞춰서 글을 올리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지식이 얕다 보니 안목도 좁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글 자체도 매번 일정한 틀에 갇혀 다소 억지성이 있는 내용으로 채워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전부터 이런 문제에 대해 회의를 느끼고 있었는데 정확하게 지적해 주셔서 저로서는 오히려 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되는군요. 너무 깊숙히 들어가려 하지 않고, 안목을 넓혀서 좀 더 다양한 주제로 쓸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그렇게 힘든 일을 고민하고 회의를 느끼고 노력하기에 앞서, 이 게시판을 통해 계속 다수에게 피해가 주어지는 점을 생각해보기 바랍니다. 회원수가 5,000에 육박하는데, 아는 분들이이야 "아,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다" 하겠지만,모르는 분들은 "아,이 터미널은 그렇구나"가 되어버립니다. 한달에 몇개식의 무슨 계약을 맺고 하는 것도 아닌 단순 본인이 좋아서 하는 일에 굳이 억지로 내용을 채워야 할 필요가 있을까요? 저는 이 게시판 필자가 그토록 강조하는 "혼돈"을 다수에게 야기시키는 점을 묵과할 수 없다는 뭐 그런 확신을 갖고 있습니다.
아울러 천안에는 명동이라는 지명이 따로 있다고 밑의 글에서 누가 지적하신 것 같은데,굳이 또 제목을 명동이라고 붙이는건;;; 서울의 상권과 비교하자면 차라리 강남이 가깝습니다. 글을 쓸 때 자료를 충분히 둘러보시기 바랍니다. 타 회원들에게 사실이 왜곡되는 점을 다시한번 우려하는 바입니다.
1종대형경력3년님께서 아침부터 댓글을 남겨주셨네요. 저도 주제넘게 한 말씀 드리면 우리 카페는 버스동호회 중에서 다섯손가락 안에 드는 대형동호회입니다. 의도했던 안했던 간에 한 사람의 글이나 의견이 곧 여기저기 일파만파로 번져서 마치 정설인양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이는 현상만을 가지고 "천안에서 버스의 입지가 강화되었다"고 작성하시면, 이런 내용이 입문한지 얼마안된 동호인부터 심지어 활동n년차 동호인들까지도 버젓이 "천안은 버스가 강세.. 그러므로 천안발 노선 많이 만들어도 된다" 이런식으로까지 번지게 됩니다. 대중교통 관련 동호회에서 비일비재한 일이죠.
그 외에도 몇 가지가 더 있습니다만.. 일일이 다 지적할 수도 없는 일입니다. 지식에 대한 전문성 여부를 떠나 Maximum님의 글이 타인 그리고 다수 동호인에게 엄청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말씀드리고 싶었습니다. 포스팅 하시기 전에 표현에 대해 재차 살펴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쪽지나 메일로 조언하셔도 되는듯,,,,,,약간 아쉬움이 있네여.
카페에 충실하지도 못한제가 회원이답시고 매번 자료에 대한 글과 사진등을 보며 느끼는것은 하루의 일과중 또 하나의 기쁨이라 생각하고 있는데!! 조금은 충격을 느낀듯 하네요. 요즘같이 개인 교통수단이 발달한 지금 그 어떤분께서 사비털어 전국 방방곡곡 시간내 돌아다니며 방대한 자료를 제공할까요? 혹 !! 글쓴분께서 마음의 상처는 안입으시라 믿겠지만 이러한 글로서 터미널 기행이 사라지지는 않을까 내심 걱정이 되는군요.
카페에서 늘 좋은 사진과 여행기.글 정보를 받아가기만 하는 저로써는 답글을 남기기 꽤 조심스럽네요. 지적과 조언을 해주신 분들 말도 다 옳은 말입니다.하지만 우리나라 말이 아.다르고 어.다르다고 하죠. 저를 비롯해 카페에 직접적인 참여(사진.글.정보)는 많이 못하지만 바쁜 와중에도 틈틈히 들려 대리만족을 느끼고 가는 많은 회원님들이 저와 호남고속님과 같은 걱정을 하고 있지는 않을지요???-물론 몇천명의 회원이 생활하는 곳이기에 왜곡된 정보가 자칫 정설로 받아들일수 있다는 지적에도 동감을 하는 바이나 우리 회원님들 대부분이 사진과 여행기들을 즐기는데 의의가 있다고 보는 일인입니다.
저도 이 카페 들어오면 맨 먼저 게시판을 쳐다보는곳이 이 멕심엄님의 게시판인데 많이 실망을 하시지는 않았나 걱정부터 되는군요.. 위에 분도 말씀 하셨다 시피 일종의 대리만족의 효과와 나름데로 어느지방 터미널을 갈때나 참고할떄 많은 도움이 되는지라 (운행노선이나 기타 사진들) 늘 고맙게 보고 있습니다.. 물론 전문가 수준에서 쓴 기행기는 아니다 보니 조금은 잘못된 정보가 있을수 도 있겠지만 그때마다 다른분들의 댓글로 충분히 커버가 되지 않나 싶네요.. 윗분 말데로 그냥 가볍게 보는것 이상도 이하도 아닐런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