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man kabat는 의사이며,신경 생리학자인데 1946년부터 1951년 사이에 kabat-kaiser institute에서 고유 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을 개발하였다.
*proprioceptive:움직임과 신체의 자세와 관련된 정보를 주는 어떤 감각 수용기와 함께 해야한다.
*neuromuscular:신경과 근육에 관한 것을 의미.
*facilitation: 신경조직 내의 활동을 원활하게 한다.
즉, "쉽게 만든다(making easier)"란 뜻이다.
그러므로 고유 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은 고유 수용기를 자극하여 신경 근육계의 반응을 촉진 혹은 증대시 키는 치료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1.원칙
1)모든 인간에게는 완전히 개발되지 못한 잠재 능력이 남아 있다.
2)정상인의 운동 기능은 머리 부위에서 점차 아래 방향으로 근위부에서 원위부로 진행된다.
3)초기의 운동 형태는 반사 운동에 좌우되나 점차 성숙된 운동형태는 자세 반사 기전에 의해 조절된다.
4)리듬성 있는 동작의 균형과 길항근과의 상호 작용등이 치료 목표이다.
5)발달 되어지는 순서를 따라 운동 연합 형태를 회복시켜야 한다.
6)운동 조절력은 운동 습득에 달려 있고 운동 습득은 감각적(시각,촉각,청각) 자극에 의해 강화된다.
7)발달 시키려는 목적에 따라 자극 빈도,동작 반복 등을 사용한다.
8)목표 지향적인 동작을 촉진 기술과 병행하여 사용함으로 보행 및 일상 생활 동작의 습득을 촉진 시킨다.
2.촉진 형태(facilitation pattern)
전체적 운동(mass movt.)은 PNF의 기본 기술이다.
전체 운동은 정상인의 모든 동작에서 볼 수 있으며 그 특징은 나선상,대각선상(spiral & diagonal)으로 보행이나 스포츠에 나타나는 동작과 유사한 형태이다.
3.촉진 기술 구성요소(technique component)
1)manual contact
:"lumbrical grip or "tunnel grip"등을 이용한다.
이는 환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환자가 힘을 주어야 될 방향을 접촉을 통하여 알리기 위함이다. 약간의 압력을 사용한다.
근육이나 건,관절위의 저항을 가할 부위에 적용한다.
너무 자극적이면 오히려 운동을 방해하게 되므로 주의를 요하며 운동의 특성이 대각선적이므로 치료사도 대각선상의 방향을 취하도록 한다.
2)traction
i)도수로 관절면을 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써 형태나 신장의 자극을 주기 위해 도수로 관절면을 잡아 당기는 것을 말한다.
ii)gelhorn에 의하면 관절면이 늘어난 범위에 있는 근육들은 최대의 촉진 상태에 놓여지게 되며,근육들은 신장되었을 때 더 많은 힘을 낼 수 있다고 보고 하였다.
*traction의 사용.
①움직임을 촉진한다. 특별히,당기기와 항 중력 동작.
②신장 반사가 사용되어질 때(stretch reflex) 근 조직의 신장을(elongation) 돕는다.
③동작의 어떤 부분에서 저항을 준다.
④start position으로 가서 그 시점에서 traction을 적용한다.
⑤가동 범위가 완전히 늘어난 상태에서(superimpose)에서 빠르게 적용한다.(quick stretch시)
⑥전체적인 관절운동 범위를 통하여,즉 start position에서 end position으로 가는 운동 중에 치료사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적용한다.
⑦jt pain을 가진 환자를 치료할 때 환측의 견인은 도움이 된다.
*금기사항 :견인을 적용시 통증이 수반되거나 증가할 경우에 견인이 적용되는 관절에 정형외과적인 문제가(골절,인대파열,탈구 등) 있을 경우.
3)approximation
①도수로서 관절면을 압박하는 것으로서 압박을 통하여 관절의 co-contraction이 일어나도록 하여 자세 활동을 자극시키기 위하여 사용한다.
②traction이 근력증가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라면,approximation은 stability의 증가를 위해 사용한다고 할 수 있다.
*indication of approximation.
①stabilization 촉진.
②체중부하와 항 중력 근육의 수축을 촉진.
③동작의 어떤 구성요소를 저항하여 점진적으로 부드럽게 한다.
*금기사항;#통증이 있거나 관절에 염증이 있을 때.
#골절된 뼈가 union되지 않은 경우에는 체중을 이용한 압박은 금한다.
4)적절한 저항
①환자가 적극적인 의지로 참여하여 최대의 노력이 일어나게끔 하기 위해 필요한 저항의 정도.
②최대 저항과는 다른 의미로 환자가 어떤 움직임을 치료사의 지시로 움직일 때에 환자가 충분히 치료사 의 저항에 견디면서 충분한 ROM을 일으킬 수 있는 알맞은 저항의 양을 말한다.
환자가 치료사의 저항을 힘들게 견디면서 움직임을 일으키면 이로 인해 대상작용이나 abnormal synergy가 나타날 수도 있을 것이다.
5)verbal commands
①목 소리는 청각을 자극하여 환자의 근육 수축에 큰 영향을 미친다.
②강하고 큰 목 소리는 능동 운동시 최대 근 수축을 일으키고자 할 때.
③보통 정도의 목 소리는 환자가 잘 반응하고 있을 때.
④부드러운 목 소리는 동통이 있는 환자의 안정감을 얻기 위해 사용.(relax)
*신체 동작과 함께 짧고 정확한 용어를 사용한다.
6)stretch
①어떤 특정 형태의 운동을 시작하기 전 그 근육은 최대로 늘어난 상태에 있어야 더 강한 힘으로 반응을 보인다.
②신장 상태를 오래 지속하면 근 반응이 오히려 억제될 수 있다.
7)normal timing.
①협력적인 움직임을 일으키기 위한 연속적인 근 수축을 말한다.(운동시 근 수축이 일어나는 일정한 순서) 즉,proximal에서 distal까지 연속적인 근 수축으로 잘 조화된 운동을 일으키는 것을 뜻한다. 특히 스포츠 기술이나 고도의 기술적 동작에 요구되는데 정상인은 시도와 실패(trial & error)를 통해 삶의 동작에 필요한 timing을 습득하게 된다.
②proximal control은 distal control이 발달하기 전에 발전한다. distal에서 proximal까지의 시간은 정상에서 볼 수 있으며,성인의 운동에서 볼 수 있다.
③pattern을 구성하는 시간은 rotation을 통해서 일어난다.
④normal timing은 치료의 목표가 될 수 있다.
⑤먼저 정상적인 발달을 위하여 proximal problems을 해결해야 한다.
⑥distal control은 normal timing의 sequence에서 얻을 수 있다.
8)시각적 자극
①시각적인 자극은 운동을 일으키는 근육내의 흥분을 위한 운동 신경의 흥분을 증가시킨다.
②시각은 운동이 일어나는 머리와 체간의 조화를 촉진시키며,움직임을 유발시킨다.
③시각은 환자가 움직이려는 방향에 대한 인식을 고조시킨다. 즉,시각은 동작을 리드하며,운동방향을 깨닫도록 한다.
④눈의 움직임, 머리의 동작 그리고 자세의 조정간에는 서로 관련이 있다.
⑤시각을 자극하려면 환자가 운동방향을 보고 있거나, 운동방향을 따라 시선을 옮긴다.
9)irradiation.
①중추 신경계의 흥분으로 "overflow" 현상을 일으킨다.
②궁극적으로 치료 목표를 위해 적용한다.
③치료시 너무 강하거나 거친 운동에서의 overflow은 아니다.
10)patterns & techniques
*patterns;패턴이란 PNF에서 정해 놓은 특정한 동작으로 여러 형태의 다양한 동작들로 이루어져 있다. 하나 하나의 패턴은 그 movt가 정해져 있다. 또한 하나의 패턴과 다른 패턴이 합쳐져서 또 하나의 새로운 패턴을 만들기도 한다. 이것을 mass pattern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hemiplegia에게 rolling을 재교육 시키고자 할 때 바로 rolling을 적용시키는 것이아니라 rolling을 형성하는 여러 movts를 부분별로 또 재교육이 필요한 부분적 기능별로 나누어 그 나뉘어진 부위 또는 기능을 개별적으로 재교육을 시키게 되며,이때 개별적인 부위의 재교육을 위한 movt가 하나의 패턴이 된다.
*techniques; techniques이란 패턴처럼 각 techniques이 개별적으로 정해져 있는 방법이 있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다 하겠으나 패턴과 다른 점은 부분별로, 기능별로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패턴 또는 movt를 좀 더 크게,강하게,기능적이게 촉진시키기 위하여 패턴의 구별없이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11)pattern of movts.
1)mass movt patterns.
i)정상적인 운동 활동의 성격;뇌는 각각의 근육 활동을 알지 못하고 다만 운동만을(전체적인 움직임) 알고 있을 뿐이다.(beevor)
ii)특정한 운동 패턴은 정해진 근육에 의해 일어난다.
ⓐ근육 그룹의 특별한 결합은 운동 패턴을 위한 근육의 적절한 반응이다.
ⓑdirection은 spiral과 diagonal이다.- 가장 powerful.
ⓒ저항에 대항해서 수행되는 specific mass movt는 selective irradiation을 증진시킨다.
iii)모든 관절의 motions은 3 components가 있다.
ⓐfl. or ex. - major excursion of range.
ⓑadd. or abd. - medium excursion of range.
ⓒrotation-smallest excursion of range. - 그러나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2)superimpose
i)신장 범위에 있는 지절을 팽팽하게 유지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proximal에서 distal까지 모든 구성 요소들을 고려한다.
ⓑ근 그룹이 최적의 신장이 되도록 느슨한 관절이 팽팽하게 되도록 잡아 당긴다.(taken up slack)
ii)start position이 완성될 때 관절의 3 component와 superimpose가 부드럽게 결합되어야 한다.
#quick stretch?
;start position에서 superimpose가 완성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pattern start시 아주 짧게 반대 방향으로 stretch 시키는 것이다.
QS를 superimpose 상태에서 적용시키는 이유는 superimpose 상태가 quick stertch reflex가 가장 잘일어나기 때문이다.
QS는 환자에게 그 패턴으로의 motion을 쉽게 일으킬 수 있도록 자극적 요소가 되며,active로 일으킬 수 있는 muscle power 보다 좀 더 강한 근력을 순간적으로 일으킬 수 있도록 하는 요소가 된다.
거의 모든 패턴에 적용하며 적용시 대각선 요소와 rotation 요소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bounce up ?
;QS로 인하여 순간적으로 증가된 환자의 근력에 대해 적절한 저항을 가하지 못하고 QS를 가함과 동시에 치료사의 손이 환자의 movt 보다 더 빨리 뒤로 빠져 나가므로 인해 환자의 증가된 근력을 소멸시킴과 동 시에 movt의 방향 제시를 상실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는 QS를 적용시킬 때 아주 쉽게 발생되는 치료사의 실수이다.
4.technique
4-1. Rhythmic initiation(RI)
;어떠한 패턴을 시작할 때 환자에게 그 패턴을 이해시키기 위해서 사용.
치료사에 의해 passive로 이루어지는 movt으로써 치료사가 원하는 패턴에 맞는 정상적인 motion을 일으켜야 한다. 그러므로 RI은 normal movt이어야 한다.
RI는 처음에는 passive로 적용되어지다 환자가 따라하는 경향이 치료사의 감각으로 느낄 수 있으면 환자의 그러한 반응을 중지시키지 않고 그 반응을 이어서 passive에서 assist로 자연스럽게 이어서 실시한 후 환자의 따라하는 경향이 올바른 방향이면 치료사가 passive로 start position으로 옮긴 후 환자에게 active motion을 일으켜 보도록 하여 올바른 방향으로 움직임을 일으키면 이때부터 저항운동에 들어가게 된다.
*목적
-동작의 개시를 돕는다.
-동작의 협응과 감각을 증진.
-동작의 비율을 증가하거나 감소시켜서 움직임을 정상화 한다.
*적용
-동작 개시의 곤란.
-너무 느리거나 너무 빠른 움직임.
RI 자체가 구축이나 강직이 있는 환자에게 치료적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4-2. combination of isotonics(CI)
;어떤 패턴의 end range에서 hold한 상태에서 eccentric contraction을 유발시키는 기술.
너무 강하지 않게 환자가 충분히 견디어 낼 수 있는 만큼의 적절한 저항을 적용. CI은 패턴 적용 중에 end range에서 hold를 적용시키고 바로 CI를 적용시킬 수 있으며,RI을 적용 후 hold를 적용시키면서 연이어 적용시킬 수도 있다.
*적용
-치료사가 원하는 패턴을 환자에게 이해 시키는데 hold 만으로는 부족할 때
-환자가 그 패턴을 이해는 하고 있으나 근력이 약하거나 정확하지가 않을 때
-환자에게 그 패턴을 이해시키면서,보다 큰 range를 얻고자 할 때
-eccentric control이 감소 되었을 때, proximal control이 약할 때
4-3. Reversal of antagonists
;패턴을 시도한 후 바로 이어서 return pattern을 연결하여 적용시키는 것을 의미 return 패턴을 바로 연결해서 적용시 환자가 active motion이 먼저 일어나기 전에 치료사가 저항을 주어야 한다. 이때 끊김이 없이 자연스럽게 한 패턴과 return 패턴이 연결되어야 한다.
4-4. slow reversal
;reversal of antagonist와 같은 방식이나 환자가 active motion을 일으킬 때까지 치료사가 기다린 후에 저항을 주는 방법. 이때의 치료사가 저항을 주기 위하여 기다리는 시간은 환자가 active motion을 일으키려고 하는 시간이 아니고 충분한 motion이 일어날 때까지의 시간을 의미. 그러므로 reversal of antagonists는 환자가 치료사의 저항을 패턴 시작부터 이기면서 일으키는 것이라면 slow reversal은 환자가 치료사의 저항없이 패턴을 시작한 후 환자의 힘에 치료사가 저항을 적용시키며 패턴을 마치는 것을 의미.
4-5. Rhythmic stabilization(RS)
;RS은 stability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적용시키는 것으로서 제 3자가 보기에는 전혀 움직임이 없는 것 같은 기술이다. 어떤 패턴의 mid range에서 양 방향으로 적용된다.
환자의 힘에 치료사가 저항을 가하는 형태가 아니고 치료사의 부드럽고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저항에 환자가 견디는 형태이다.
*특성
;저항에 대해 교대로 등척성 수축을 하며,움직임을 만들지 않는다.
*목적
-active & passive 관절 가동 범위의 증가.
-근력 증가, 통증 감소.
-stability & balance 증가.
*적응증
-LOM
-통증, 특별히 움직임을 시도할 때.
-jt stability, 균형 감소.
-길항근 그룹의 약화.
*금기증
-소뇌(cerebellum) 침범.
-환자가 나이,언어곤란,대뇌 기능 부전 때문에 가르치는 것을 따라 할 수 없다.
4-6. Repeated stretch(repeated contractions)
;어떤 패턴의 range나 muscle power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패턴 적용 중에 적용하는 것으로서 환자에게 예고없이,설명없이 적용되는 기술이다. repeated contraction은 어떤 패턴의 전체 range에 반복해서 적용시키는 방법과 그 패턴의 range 증가가 요구되는 시점이나 muscle power가 약해지는 시점을 기준으로 적용시키는 방법이 있다.(일반적으로 mid range에서 적용)
RC를 적용시킬 때 quick stretch(re-stretch)를 적용시키게 되나 bounce up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시작 범위에서의 반복되어지는 신장
*목적
-동작의 개시를 촉진
-능동 관절운동 범위의 증가
-근력 증강, 피로 예방이나 감소
-원하는 방향으로 동작을 안내
*적응증
-weakness, fatigue
-약화나 강직 때문에 동작 개시를 할 수 없을 때
4-7. contract- relax
;contract/relax는 근육에 tightness가 있어서 LOM이 있을 때 적용 LOM이 되는 motion의 반대 방향으로의 패턴에 적용 시키다가 start position에서 치료사가 contract(hold)를 시키는데 이때 그 패턴에서의 rotation만 약간 허락하여 주고 나머지는 hold시킨다. hold하고 있는 시간은 적어도 5초 이상이며, 이 시간 동안은 치료사가 환자의 힘에 motion이 일어나지 않도록 동일한 저항을 주고 있어야 한 contract/relax는 통증이 없는 관절에 적용시킨다.
4-8. hold/relax(H-R)
;H-R는 C-R와 같이 LOM이 있는 관절에 적용시키나 동통이 있는 관절에 적용시키는 방법이다. 적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1)환자가 ACTIVE로 할 수 있는 선까지 하도록 한다. 이때 환자는 동통이 있는 관계로 통증이 나타나면 더 이상 jt motion을 일으키지 않을 것이다. 이때의 ROM이 hold/relax를 적용시킬 수 있는 start position이 된다.
2)LOM이 있는 jt motion의 반대 방향으로의 패턴이 치료사가 적용시킬 패턴이 된다. 그러나, 이때는 C/R와는 달리 jt motion을 일으키지 않고, 환자에게 치료사가 가하는 힘에 환자가 움직여지지 않게 하여야 한다.
3)이때의 구두명령은 "내 힘에 움직이지 않도록 견디세요" 등으로 한다. C/R에서는 환자의 힘에 치료사가 저항을 주는 형태이었으나, H/R는 치료사의 힘에 환자가 저항을 주는 형태이다.
4)H/R는 통증을 느끼지 않고 견딜 수 있는 만큼의 저항.
5)치료사가 저항을 가할 시 C/R와는 달리 rotation도 허락하지 않는다.
6)저항을 서서히 줄여 나간 후 환자가 스스로 LOM이 있는 방향으로 motion을 일으키도록 한다. 이는 C/R처럼 치료사가 passive로 stretch를 하게 되면 환자가 통증으로 인하여, 또는 통증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으로 보호 반응을 보일 것이기 때문이다.
7)환자가 스스로 new range를 확보하였다면 그 시점에서 다시 H/R를 적용시킨다.
4-9. timing for emphasis(TE)
;운동 범위 내에 어떤 요소를 강조하여 움직임의 normal timing을 바꾼다. 즉, 특정 근육 or 원하는 동작을 강조하는데 정상적인 순서의 동작을 바꾸는 것으로 한 패턴 중에서 강한 근육을 이용하여 약한 근육을 강화시키는 것으로서 보통 mid range에서 적용.
만일 원위 축을 강조한다면, 근위 축의 운동 범위는 변화될 것이다.(좁아진다) 예를들어, 발과 발목을 강조할 때에는 둔부의 range가 좁아진다. TE를 적용시 치료사의 manual contact는 변하지 않으며, 저항을 주는 치료사의 양 손중 강한 근육에 저항을 주는 손은 그 패턴에서의 관절의 motion에 맞는 상황에서 hold를 시키고, 강화 시키고자 하는 부위에 저항을 주는 다른 한 손은 반복 수축을 유도한다. 적용 속도가 너무 빨라서는 안되며, 너무 많은 횟수를 반복하여도 안된다. 일반적으로 한 패턴에 2-3회 적용시킨다.
5.scapular pattern
;scapular pattern은 단순히 scapular만을 운동시키기 위하여 적용시키는 것이 아니다. U/E의 motion시 또는 upper trunk motion,rolling,gait 등에 scapular는 크게 또는 작게 연관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scapular pattern을 시각적인 면으로만 판단하여서는 안되며,이를 통해 작게는 환자의 trunk에,U/E에, 크게는
gait 까지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볼 수 있어야 될 것이다.
scapular pattern을 적용시키기 위한 기본 자세는 sidelying이며,이때의 자세는 환자의 양 hip jt를 90도로 유지하고, 등은 평평하게 아래쪽의 어깨가 앞 쪽으로 나아가지 않고 환자의 머리가 midline에 놓이게 한 자세이다.
패턴을 적용시에는 upper arm의 motion을 허락하지 말아야 하며,환자의 머리가 어깨 쪽으로 rotation되어 있으면 scapular pattern 적용시 upper trunk의 rolling이 유발되므로 지면(bed)과 수평한 방향이나 그 아래 방향을 보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sidelying에서 아래쪽의 어깨가 반대편 어깨보다 앞으로 놓여 있거나, 대각선의 방향이 크게 적용되어도 upper trunk의 rolling이 유발된다.
PNF에서 어떠한 패턴을 적용 시키더라도 치료사의 자세 및 위치는 상당히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환자의 upper arm이 들리거나(shoulder fl.;이때는 upper trunk의 rotation이 일어나기 쉽다), 체간과 거의 나란한 방향으로 내려가는 동작(depression만 일어나는 경우) 등은 잘못된 동작이다. 이 패턴 적용시 환자의 pelvis가 elevation이 일어나면 좋은 반응이라 할 수 있다.(overflow)
*이 패턴은 정상인도 바로 일으키기가 어려운 패턴으로서 scapula pattern중 가장 어려운 패턴이다. 그러므로 환자에게서 이 패턴이 잘 안 나올 경우에는 rhythmic initiation이나,hold,replication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그래도 환자에게서 이 패턴이 잘 나오지 않을 경우에는 U/E 패턴을 이용하여 유도해 내거나,prone on elbow에서 적용시킬 수 있다.
*manual contact;환자쪽의 손은 환자의 scapula spine에 손을 대고 환자와 먼쪽의 손은 scapula의 inferior angle과 medial border의 하단 부위에 댄다. 저항은 inferior angle에 주는 저항이 더 커야 한다. 만일 scapula spine에 주는 저항이 더 크다면 rolling이 일어날 수 있다.
*ADL function; gait시 advanced 되는 쪽의 upper limb
6.pelvic patterns
pelvic pattern은 lower extremity와 함께 연관되어 있는 중요한 패턴으로서 L/E의 기능 향상과 함께 보행을 위한 기능적인 요소로서 직접적인 연관이 있으며,scapula pattern과 함께 mass pattern을 이루어서 trunk의 function 향상과 이를 통한 rolling,gait 기능의 향상 및 재 교육을 시키는데 있어서 기초적인 패턴에 해당된다.
pelvic pattern에서는 ant. or posterior tilting과 rolling이 일어나면 안된다. 또한 pelvic pattern은 scapula pattern에 비해 range가 적으며,사람에 따라서는 pelvic pattern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환자에 따라서 특히 남,여에 따라서 pelvic pattern의 range차는 크다. pelvic pattern의 position은 scapular pattern과 같은 position이며,이때의 양 hip jts는 90도 굴곡 상태에서 적용시킨다.(rolling,post.tilting 방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