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검사로 알아보는 암(종양)표시자
암환자들이 주로 하는 검사는 혈액검사를 통해 암(종양)표시자(Tumor Markers)를 확인하는 일입니다.
체내에서 암이 증식하면 암세포에서 분비되는 항원이나 단백질 등이 떡고물이 떨어지듯이 떨어져 나와 혈액 속으로 흘러 들어갑니다. 따라서 이들 물질을 혈액검사를 통해 확인하고, 그 수치가 높아지면 체내에 암이 있을 확률이 높은 것으로 판정합니다.
이처럼 암의 존재를 알려줄 수 있는 성분을 암(종양)표시자(Tumor Markers)라고 하는데, 주된 화학적 성분은 당단백질 또는 당지질입니다. 암표시자는 암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암표시자를 통해 암의 진단과 암 크기의 예측, 치료 후 효과판정, 재발을 예견하는데 사용됩니다.
암환자들 사이에서 무슨 치료를 받고 완치되었다가 몇 년 후 재발되었다는 얘기를 자주 듣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수술이나 항암치료 후에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고 남아있던 미세 암 조직이 CT나 MRI촬영에도 나타나지 않고, 혈액검사에서도 암표시자의 농도가 정상으로 나왔을 뿐이지, 암이 완치되었던 것은 아닙니다.
대개 이러한 항암치료 중에 민간요법으로 다른 것을 함께 복용한 사람들은 이때 사용한 민간요법이 효능을 발휘하여
완치된 것으로 철석같이 믿게 됩니다.
다시 한번 말씀 드리지만 암세포는 병원의 항암치료나 방사선치료에 내성을 갖게 되므로 절대로 100% 없애지 못합니다.
근거 없는 민간요법이라는 것은 더욱 말할 나위도 없습니다.
암세포는 현미경적 관찰로나 확인이 가능한 정도가 체내에 남아있다 해도, 다시 증식을 하게 되고, 정상이었던 암표시자(Tumor Markers) 수치가 먼저 다시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위암 수술 후에 정상이었던 CEA(태아성암항원)수치가 다시 올라가면 대장으로 전이되었음을 암시하며,
CEA수치의 급격한 상승은 혈행성전이에 의한 재발이고 완만한 상승은 국소재발인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많은 환자분들이 암표시자 수치가 상승하면 공포에 질리고, 치료가 실패한 것으로 간주하여 심히 낙담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어떤 암이든 암의 증식을 확실히 예견할 수 있는 신뢰할만한 암표시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에이즈 같은 경우는 에이즈바이러스 역가(T)와 CD4 T 세포 수치 검사를 통해 정확히 알 수 있지만, 대부분의 암의 경우는 정말로 신뢰할만한 암표시자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CA15-3은 여성 유방암에 흔히 관찰하는 암표시자입니다.
암 전문의를 포함해서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이 표시자가 쓸모 없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그러나 CA15-3은 암표시자로 자주 암의 진행을 예측하게 하기도 합니다.
CA15-3은 유방 상피조직에서 흔히 확인되는 정상적인 단백질입니다.
이것은 정상적인 유방세포의 생명주기에서 다양한 역할을 하는 세포막 단백질입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CA15-3은 유방세포조직에서 주로 나타나는 정상적인 세포막 단백질입니다.
뮤신(mucin: 점성이 높은 당단백질)합성 유전자들은 주로 종양괴사인자(TNF: tumor necrosis factor)나 감마인터페론 같은 면역호르몬에 의해 조절됩니다.
이들 유전자들이 활성화될 때, CA15-3같은 유전자 산물이 세포막 속으로 자신을 집어 넣고 그곳에 머무릅니다.
이것은 세포막에서 혈액으로 자동적으로 분비되는 것이 아닙니다.
면역호르몬인 종양괴사인자(TNF-알파)는 체내에서 많은 역할을 합니다.
처음 이것이 발견되었을 때, 이것이 종양을 괴사한 덩어리로 녹이는 원인이기 때문에 종양괴사인자(TNF)라고
이름 붙여진 것입니다.
종양괴사인자는 말할 것도 없이 암의 발생에 대항하는 가장 유망한 자연 성분 중 하나이지만, 매우 제한된
특정 조건아래에서만 암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하나의 고약한 면역호르몬입니다.
지난 80년대 초에 과학자들은 종양괴사인자(TNF) 유전자를 박테리아에 복제시키고 발효조(Fermentor)에서 박테리아를
증식시켰습니다.
그러나 당시 누구도 종양괴사인자(TNF)가 동물에 주사되면 치명적인 독성이라는 것을 인식하지 못했습니다.
종양괴사인자(TNF)는 암에 대해서는 칼날의 양면과도 같습니다.
낮은 농도에서는 이것이 오히려 암세포의 성장을 촉진하고, 높은 농도에서는 계획된 세포사멸과 괴사 양쪽을 통해
암세포를 죽입니다.
암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암종양 내에서 종양괴사인자(TNF)를 활성화 시키고, 사멸 활성에 대한 방해(Impediments)를
제거하려고 수년간 시도를 해왔습니다.
종양괴사인자(TNF) 유전자를 활성화시키는 것은 문제가 아닙니다. 종양괴사인자(TNF)가 처음 만들어질 때,
이것은 활성화되지 않은 형태이거나 또는 전구호르몬형태입니다.
이것은 종양괴사인자(TNF) 분자가 활성화된 분자보다 더 크다는 뜻이며, 비활성화 상태라는 뜻입니다.
이 비활성화 상태의 전구 종양괴사인자(TNF) 분자는 자신을 세포막 속에 집어넣고 특별한 세포효소에 의해 활성화된
작은 조각으로 나뉠 동안 세포막 속에 머무릅니다.
이 효소를 종양괴사인자 알파 전환효소(TACE)라 부릅니다.
암종양 속에서 종양괴사인자 알파 전환효소(TACE)가 활성화 되면 고농도의 자유롭고, 생리적으로 활성화된
종양괴사인자(TNF)가 만들어집니다.
이때 종양괴사인자 알파 전환효소(TACE)는 유방세포막에서 CA15-3을 역시 분열시킵니다.
활성화된 종양괴사인자(TNF)는 더욱 CA15-3 합성을 초래하고, 혈액 속으로 더욱 더 많이 분비시킵니다.
이것은 암의 특정반응이 아니라 염증성(inflammatory)입니다.
종양괴사인자나 다른 면역호르몬이 매개하는 염증은 칼날의 양면과 같다고 앞서 언급했습니다.
소위 말하는 만성염증(낮은 수준의 염증)은 암세포의 성장을 촉진합니다.
높은 활성 형태의 종양괴사인자(TNF)가 매개하는 급성 염증은 암세포를 죽입니다.
이것은 단순히 그 농도의 문제입니다.
가슴이 깊이 패인 병변의 여성 유방암 환자는 CA15-3 수치가 40 이하로 정상수치였으며, 그것은 염증성병변이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약간의 출혈과 통증이 있었지만 괴사상태의 병변이라 림프액이 흘러나오고 악취가 지독했습니다.
이 환자의 경우는 더디게 증식하는 암세포라 암의 존재에 대한 신호를 너무 많이 보내지 않는 것입니다.
다른 유방암 환자의 경우는 암종양을 찾을 수 없는 상태인데도 CA15-3 수치가 800입니다.
CA15-3이 혈액 속으로 분비되는 것은 염증반응인 종양괴사인자(TNF)의 활성과 혈액속으로 분비되는 것이며,
이때 종양괴사인자 알파 전환효소(TACE) 역시 세포막에서 CA15-3을 풀어줍니다.
낮은 농도의 종양괴사인자(TNF)는 암세포의 성장을 촉진하고, 높은 농도는 암세포를 죽인다는 것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CA15-3 수치가 올라갔다고 공포에 질리고, 치료가 실패한 것으로 간주하여 심히 낙담할 필요는없습니다.
이것은 나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좋은 신호일 수 있습니다.
컴퓨터 단층 촬영(CT)으로 확인 없이는 CA15-3 분비의 실제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만일 어떤 유방암수술을 받은 환자가 실제로는 좋은 경우인 CA15-3 수치 상승을 이해하지 못하고, 의사로부터
단정적인 소리만을 듣고 두려움과 근심으로 지낸다면, 정말로 유방암이 발병할지도 모르는 일입니다.
혈액검사 수치및 분석
WBC :
정상범주 : 6200-17000 /㎣ (4000~10000)
검사목적 : White Blood Cell은 감염과 관련된 문제나 혈액질환이 있을 경우,
혹은 면역력과 관련
증가 : 감염성 질환
감소 : aplastic anemia, agranulocytosis
RBC
정상범주 : 300만~540만/㎣ (男:430만~580만/女:390만~500만)
검사목적 : 적혈구의 수는 빈혈 혹은 적혈구 증가 유무 파악
증가: diarrhea, dehydration, polycythemia, acute poisoning,
pulmomary fibrosis
감소: anemia, leukemia, hemorrhage후
Hgb
정상범주 : 12~17g/dL (男 : 14~18 女 : 12~16)
검사목적 : Hemoglobin은 폐에서 조직으로 산소운반과 조직에서 폐포로의 탄산가스 운반기능. Hgb의 수치는 말초혈액내의 전체 Hb량.
해석: 증가: polycythemia, COPD, CHF
· 감소: anemia, pregnancy, severe or prolonged hemorrhage
Hct
정상범위: 35~50% (男: 40~50 女: 35~45)
검사목적 : Hematocrit는 Whole Blood 중에서 적혈구가 차지하는 비율
(RBC와 Hb수치에 따라 변화)
해석 : 증가: dehydration, hemoconcentration associated with shock
감소: severe anemias, anemia of pregnancy, acute massive blood loss
MCV
정상범위: 80~102 μ3
검사목적 : Mean corpuscular volume은 적혈구 하나하나의 평균용적을 (적혈구체적의 평균치)
해석 : 증가: macrocytic anemia
감소: microcytic anemia
MCHC
정상범위 : 30~35 g/dL
검사목적 :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은
적혈구 100cc에 들어있는 평균 Hb 농도.
해석 : 증가: 골수 활동의 증가가 나타나는 모든 경우
(감염, 혈액 손실), 철 결핍성 빈혈
감소: 골수 활동의 감소가 나타나는 경우,
acute leukemia, late stage of severe anemias
RDW
정상범위 : 10.1~10.8
검사목적 : Red Cell distribution width는 RBC의 분포폭
해석 :
Pct
정상범위 : 0.0~1.0 % (0.130~0.400)
검사목적 : Porphyria cutanea tarda는 빈혈의 척도로,
증가된 경우 철결핍성 빈혈, 연중독을 의미한다.
해석 :
MPV
정상범위 : 6.3~9.7 fl
검사목적: Mean Platelet Volume은 평균 혈소판 용적을 의미한다.
증감시 : 골수이상, 혈소판이상, 비장이상
해석 :
PDW
정상범위 : 14.5~17.5 ratio
검사목적 : Platelet Distribution Width는 혈소판 입자 분포폭을 의미하며,
혈소판의 대소부동의 지표가 된다.
해석 :
Neutro
정상범위 : 45~75 % (1.9~8×103/ul)
검사목적 : Neutrophil은 다형핵 백혈구중 호중구로 생체방어 기능
해석 :
Lymph
정상범위: 15~45% (0.9~5.2×103/ul)
검사목적: Lymphocyte Count는 면역반응 관여 백혈구
(T림프구-세포성 면역/B림프구-체액성면역)
해석 :
Mono
정상범위 : 3.4~9 % (0.16~1×103/ul)
검사목적: Monocyte는 단핵구이며, 골수 및 간세포에서 생성되어 분화, 성숙한다.
어린이는 성인에 비해 많다. Glucocorticoid사용시 감소
해석:
Eosino
정상범위: 1~7 % (0~0.8×103/ul)
검사목적 : Eosinophil count는 호산구로 세균이나 보체 성분에 반응하여 세균
등을 탐식하고, 과민반응을 억제하며, 비면역성염증반응도 억제한다.
해석:
Baso
정상범위 : 0.5~4 % (0~0.2×103/ul)
검사목적: Basophil은 호염기구로 히스타민, 백혈구유주인자, leukotrien,
프로스타글란딘 등
염증관련 물질을 생산하여, 즉시성 과민증에 반응한다.
해석:
참고: 암(종양)표시자
1. 설암, 부비강암, 인두암, 식도암 : SCC (암의 발생 모태는 편평상피세포).
두경부 암에서는 SCC가 유일한 표지자, 보조 표지자 : CA 19-9, CEA, TPA, BFP
2, 갑상선암 : 타이로글로불린(Thyroglobulin), 칼시토닌(calcitonin)
3. 유방암 : CA 15-3 보조 표지자: CEA, TPA
4. 폐암 : 소세포암 - NSE, CEA, pro GRP, 보조 표지자 SCC, CA15-3
선암 - CEA, CA19-9, CA15-3
편평상피암 - SCC
5. 간암 : AFP, PIVKA -II, 보조표지자: CEA, CA19-9, SLX, DUPAN-2
6. 담낭암, 담도암 : CA19-9, CA-50. 보조 표지자 : CEA, SLX, DUPAN-2
7. 위암 : CA72-4, CEA, STN, 보조 표지자 : CA19-9
8. 신장암 : BFP, IAP가 참고가 될 정도
9. 방광암, 요관암 : TPA, IAP
10. 고환암 : AFP, BFP
11. 전립선암 : PSA
12. 난소암 : CA125, CA15-3, CA72-4, STN, SLX, CA19-9
13. 자궁 경부암 : S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