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알리어 한글 표기
모음:
a ā 아
i ī 이
u ū 우
e 에
o 오
자음:
| 무성 무기음 | 무성 대기음 | 유성 무기음 | 유성 대기음 | 비음① |
후음 | ka 까 | kha 카 | ga 가 | gha 가 | ṅ ㅇ |
구개음 | ca 짜 | cha 차 | ja 자 | jha 자 | ña 냐 |
권설음 | ṭa 따 | ṭha 타 | ḍa 다 | ḍha다 | ṇa 나 |
치음 | ta 따 | tha 타 | da 다 | dha 다 | na 나 |
순음 | pa 빠 | pha 파 | ba 바 | bha 바 | ma 마 |
반모음 | ya 야② | ra 라 | la ㄹ라③ | va 와⑤ |
|
마찰음 | sa 사 |
|
|
|
|
기식음 | ha 하 |
|
|
|
|
설측음 | ḷ ㄹ라③ |
|
|
|
|
억제음 | ṁ ㅇ,ㅁ④ |
|
|
|
|
표기 사례
① 비음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예: 상카라(saṅkhāra. 형성. 行), 산냐(saññā. 인식. 想). 딴하(taṇha. 갈망. 갈애), 나마(nāma. 정신. 마음과 마음부수).
② yu는 ‘유’, ye는 ‘예’, yo는 ‘요’로 표기합니다.
③ 앞의 모음에 ‘ㄹ’을 첨가합니다.
예: 빠알리(pāḷi). 망갈라(maṅgala. 길상. 축복. 행복)
④ṁ은 대부분의 경우 ‘ㅇ’으로 표기합니다.
예: 상윳따(Saṁyutta), 붓당(Buddhaṁ). 담망(Dhammaṁ), 상강(Saṅghaṁ). 사라낭(saraṇaṁ. 귀의. 의지)
⑤ v는 다음과 같이 표기합니다.
예: 웨다나(vedanā), 위리야(vīriya. viriya), 오다나(vodāna).
기타
⑴ 동일계통의 자음이 중복될 경우엔 앞의 자음을 받침으로 사용합니다.
단, 받침으로 사용하는 앞의 자음에는 “외래어 표기법”에*1 따라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사용합니다.
(예) buddha → 붇다(X), 붓다(O) sakka → 샄카(X), 삭카(O)
⑵ ‘k, t, p’를 된소리 ‘ㄲ, ㄸ, ㅃ’로 표기하는 것은 “외래어 표기법” 중의 “제3장 표기세칙 제17절 타이어의 표기”로부터
유추해 볼 때 타당하다고 생각됩니다.
*주1: 외래어 표기법 일부 개정안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4호(2017. 3. 28.)
https://kornorms.korean.go.kr//main/main.do 참조
참고 자료
① 비구 일창 담마간다 편역, 『보배경 강설』, 도서출판 불방일, 2020, 238-242쪽
② 전재성, 『법구경-담마파다』,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16 3판, 818-819쪽.
첫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