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약에서의 회중과 모임
קָהֵל עֵדָה
구약에서는 모임들을 에다와 크할(카헬, 코헬 등 어형변화에 따라 발음 변화) 로 불렀습니다. 이 구분의 예는 민수기 15장 15절과 25절에 나옵니다. 15절에 나오는 단어는 크할이었습니다. 25절은 이스라엘 자손들의 에다였습니다. 크할은 어떤 무리든지 무리를 말하지만 에다는 어떤 시간을 정해놓고 모이는 모임으로 이해됩니다.
에다는 킹제임스 성경에서
124번은 Congregation 으로, 13번 company, 9 번 Assembly, 1 multitude, 1 swarm 으로 번역되었습니다.
크할은 킹제임스 성경에서
Congregation 86, Assembly 17, Multitude 3 으로 번역되었습니다.
여기에서 보시면 킹제임스 성경도 이 두 단어의 구분을 명확히 하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이 의미를 충분히 반영하여 구분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는 확신이 듭니다.
크할은 조직화된 회중을 말하거나 대회로 모이는 성회의 무리들을 말하지만, 에다는 시간을 정해놓고 모이는 모임을 말한다고 믿어집니다. 저의 입장은 두가지를 일관성있게 다른 용어들로 번역함이 옳다고 믿고 저는 크할은 회중으로 에다는 모임으로 번역합니다.(물론 용어의 정의에 따라서는 반대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이제 흥미있는 몇 구절을 알려드립니다.
1) 출 12장 6절에는 크할과 에다가 동시에 쓰였으며, 그것도 한 묶음으로 쓰였습니다. 그것을 한글 개역은 그냥 회중이라고 번역하였는데, 정확히는 이스라엘 모임의 회중( 또는 이스라엘 회중의 모임) 입니다. 즉 모임과 회중이 연결되어 있는 것입니다.
한글로 음역하면 크할-에닷-이스라엘 입니다.
2) 잠언 5장 14절에는 에다와 크할이 모두 나옵니다.
나는 거의 모든 악인의 회중과 모임 가운데 있을 뻔하였도다. (잠언 5장 14절)
에서 회중은 크할 모임은 에다의 번역이었습니다.
3) 벌들의 떼도 에다 (모임)으로 표기되었습니다.
.... 보라, 그 사자의 사체 속에 벌들의 떼(모임=에다)와 꿀이 있더라. (사사기 14장 8)
4) 시편 1장 5절, 74장 2절은 둘다 에다입니다.
에다를 모임으로 번역하고 크할을 회중으로 번역하는 것이 한 방법이겠고 다른 방법은 반대로 에다를 회중으로, 크할을 모임으로 번역하는 것입니다. 아직까지 제가 파악한 것으로는 전자의 변환이 나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신약에서는 교회를 헬라어의 에클레시아로 표기하였으며 교회라는 말보다는 모임이라는 표기가 더 정확하다는 것을 지난번의 글로 설명하였습니다. 에클레시아는 몇군데에서 민회 (행 19:39) 모임(행 19:41) 로 번역되기도 하였습니다만 대부분 교회로 번역되었습니다. 행 7장 38절도 에클레시아 입니다.
요약하면 교회라는 말은 성경적으로 옳지 않고 이교도들의 건물 위주 예배장소에 사용되었으며 사람위주의 모임에는 단순히 모임이라는 표현이 정확하다는 뜻입니다. 왜냐하면 에클레시아는 하나님께서 세상밖으로 그분의 성도들을 불러낸 모임을 말하기 때문입니다.
에다와 크할의 문제는 제가 번역을 마친 후에는 통계적으로 조사하며 의미를 살펴 다시 정리하고 밝힐 예정입니다.
그 글을 여기에 가져옵니다.
교회인가? 모임인가?
이 문제에 대해 수많은 그리스도인들은 대수롭지 않은 문제로 생각하거나 교회라는 용어에 문제가 있다는 상상을 해본적이 없습니다. 더 나아가 교회라는 호칭보다는 모임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기독교 모임들에 대해서는 이상하게 생각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실상은 전혀 다릅니다!
(1) 에클레시아 – Εκκλησια (라틴Ecclesia)
이제 성경에서 사용된 교회라는 단어의 어원부터 찾아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우리가 흔히 대표적인 교회 명칭이 언급된 곳으로 에베소서 1장 22절과 5장 23, 25 골 1:18, 24 에 쓰였습니다만 이 단어가 최초로 신약성경에 쓰인 곳은 예수님께서 내가 내 교회를 이 반석 위에 세우리니 (마 16:18) 하셨을 때 처음 쓰였습니다.
에클레시아의 사용처들은 신약성경에 118번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그 중 3번 정도는 모인 무리, 민회(행 19:32, 39, 41)로 번역되었습니다. 이것은 행 7:38에서 구약시대의 광야 교회로도 번역되었습니다.
사용례들:
마 16:18, 18:17
행2:47, 5:11, 7:38, 8:1, 8:3, 9:31, 11:22, 11:26, 12:1, 12:5, 13:1, 14:23, 14:27, 15:3, 15:4, 15:22, 15:41, 16:5, 18:22, 19:32, 19:39, 19:41, 20:17, 20:28,
롬 16:1, 16:4, 16:5, 16: 16, 16:23, 16:27,
고전 1:2, 4:17, 6:4, 7:17, 고전 10:32, 11:16, 11:18, 11:22, 12:28, 14:4, 14:5, 14:12, 14:19, 14:23, 14:28, 14:33, 14:34, 14:35 15:9, 16:1, 16:19 고후1:1, 8:1, 8:18, 8:19, 8:23, 8:24, 11:8, 11:28, 12:13
갈 1:2, 1:13, 1:22, 엡1:22, 3:10, 3:21, 5:23, 5:24, 5:25, 5:27, 5:29, 5:32, 빌 3:6, 4:15, 골 1:18, 1:24, 4:15, 4:16, 살전 1:1, 2:14, 살후 1:1, 1:4, 딤전 3:5, 3:15, 5:16, 딤후 4:22, 디도 3:15, 필레몬 1:2
히 2:12, 12:23, 야고보 5:14 요삼 6, 9, 10 계 1:4, 1:11, 1:20, 2:1, 2:7, 2:8, 2:11, 2:12, 2:17, 2:18, 2:23, 2:27 3:1, 3:6, 3:7, 3:13, 3:14, 3:22, 22:16
이 단어는 원래가 Εκ + Καλησια의 합성어이며 이것은 Καλεω(부르다, 불러내다) 동사에 접두어 에크가 붙은 것입니다. 이 단어의 문자적 의미는 밖으로 불러내어진 사람들, 밖으로 불려내어진 사람들의 무리, 라는 뜻이 됩니다. 에크는 안에서 밖으로, 라는 뜻을 갖습니다.
즉 하나님께서 세상으로부터 밖으로 불러낸 사람들의 거룩한 모임이 바로 에클레시아, 였습니다. 그것이 하나님께서 또한 이 무리들에게 바라시는 바이십니다.
그런데 교회라는 말은 이 에클레시아의 뜻을 번역하여 그 뜻을 반영한 것이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우선 한글 이름 교회(敎會) 라는 말은 가르치는 모임이라는 뜻이 됩니다. 이것은 마치 어떤 성직자 계급, 특정계급이 돈을 받고 직업적으로 가르치고, 다른 사람들은 그저 앉아서 듣는 집합체를 연상케 하거나 흔한 종교 모임을 연상케 합니다. 그런데 한글 이름 교회가 사용되기 전에, 중국이나 일본에서 흔히 이 단어를 번역할 때 앞서의 에클레시아를 번역하였다기 보다는 영어의 Church, 독일어의 Kirche 등 흔히 쓰이는 교회 개념을 번역하여 채택한 것이 바로 교회로 보입니다.
이것은 종교단체의 모임을 감안하여 그것이 세상의 모임들의 명칭과 구분되어야 한다는 생각에서 채택되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성경은 이 모임(에클레시아)이라는 용어에 대하여 특별한 의미를 별도로 부여하기 보다는 일반적인 무리들인데, 세상 밖으로 불러내졌다는 뜻이 있을 뿐입니다.
그런데 이 Church, Kirche, 등의 단어의 어원들을 살펴보면 매우 놀라운 사실들을 우리는 발견하게 됩니다.
(2) Church, Kirche, Kirke, Circe,
게르만 족과 슬라브 족들의 교회 명칭은 다음과 같습니다.
Anglo-Saxon, cyrica, circ, cyric; English, church; Scottish, kirk;
German, kirche; Low-German, karke; Frisian, tzierke or tziurke;
Danish, kyrke; Swedish, kyrka; Bohemian, cyrkew; Polish, cerkiew;
Russian, zerkow. (McClintock and Strong Encyclopedia.)
이 모든 단어들의 어원이 Kuriakee, Kukios 로서 그리스어의 Kυριος (주)와 Οικος(집) 의 합성어에서 나왔다는 주장이 있습니다만 어원들을 잘 살피는 수많은 학자들은 그런 주장이 전혀 타당성이 없다고 합니다. 실제로 큐리오와 오이코스가 합하여 키르케가 될 수는 없습니다. 그에 비해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단어가 바로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Circe 여신의 이름에서 나왔다는 말을 합니다. 혹은 이 Circe 여신이 둥근 형상으로 표현되었으며, 그것이 써클(Circle) 이라는 단어에도 쓰였고, 써커스(Circus) 등에도 쓰였으며, 스코틀랜드와 영국의 드루이드교의 제전은 대개 이러한 돌비석들의 원형 모음에 둘러 싸여 있었는데 이것을 스코틀랜드에서는 Kirk, Kirke 라 부르기도 하고 잉글랜드에서는Chirche, Chyrche 등으로 부르기도 하였다는 것입니다. 독일에서는 이 단어가 Kirche 로 불리우고 있습니다. 덴마크는 Kyrke, 폴란드는 Cerkiew , 등으로 부르는데 이 모두는 바로 그리스의 Circe 라는 단어에서 왔다는 것이 통설입니다.
Moreover, [CIRCE] was a sorceress and a witch and a PRIESTESS of DEMONS.� (The Etymologies of Isidore of Seville, 7th century AD, p.367).
7세기의 어원에서도 Circe 는 여자 무당, 마녀, 귀신의 여사제라는 뜻으로 나옵니다
스코틀랜드, 북잉글랜드 지역에 남아있는 거석 문화: 스톤헨지, 이 돌들의 모음은 원형이었으며 이것은 Kirk, Chiorche 로 불리웠습니다. 이곳에서 드루이드교의 제사행위가 있었으며 그들은 피의 제사를 드린 역사를 갖고 있습니다. 이들의 여신은 다이애나, 였습니다.
따라서 이 Circe 라는 그리스어의 어원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할 것입니다.
(3) 태양신 아폴로의 딸 Circe
In Greek mythology, CIRCE (Greek ) is a minor goddess of magic (or sometimes a nymph, witch, enchantress or SORCERESS [Greek, pharmakeia] ...
Circe was the daughter of HELIOS, the GOD of the SUN...
http://www.theoi.com/Titan/Kirke.html
그리스 신화에서 Circe 는 마술과 마법, 무당, 의약(마약)을 다스리며 행사하는 작은 신이었습니다. 키르케는 태양신 헬리오(=아폴로)의 딸이었습니다.
이 여신은 죽어서 사도 요한이 계시록의 계시를 받았던 팥모섬 부근의 파르마쿠실(제약의 뜻) 제도 부근에 매장되었다고 합니다. 이 여신의 품안에 수많은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것이 사탄의 주요전략으로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사탄은 이 키르케 여신의 이름하에 세계 기독교의 주요 종파들을 아우르면서 겉으로는 기독교 교회라는 허울좋은 이름을 쓰고 수많은 그리스도인들을 죽이며, 성경을 불태우고, 기독교의 교리를 왜곡시켜 전하는 종교로 둔갑시키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Church 나 그와 유사한 이름으로 돌아가서는 안되며 성경상의 원어인 에클레시아가 가리키는 뜻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4) 모임과 교회
여기서 우리는 교회라는 명칭으로도 에클레시아를 의미할 수 있는가? 하는 의문을 던져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에클레시아에는 어떤 가르치는 단체를 의미하는 내용이 없으며, 누가 일방적으로 가르치는 곳도 아니며, 이미 예수 그리스도의 피흘리심과 죽으심을 믿음으로, 새생명을 받은 거듭난 그리스도인들로 구성된 사람들의 모임을 의미하지, 어떤 교육장소가 아닌 것입니다. 교육회도 아닙니다.
성경에서 에클레시아가 사용될 때 어떤 건물을 사용한 적이 전혀 없다는 것이 학자들의 분별이거니와 저도 그런 사용례를 본적이 없습니다. 그것은 초대교회가 건물을 소유하기 시작한 것은 상당 기간이 지난 후였거나, 초대교회 시대에는 소유한 적이 없었을 수도 있었기 때문입니다.
에클레시아는 벽돌과 콘크리트들로 세워놓고 십자가를 꽂아놓은 곳이 아니라, 진정으로 거듭난 그리스도인들의 모임을 말하는 것입니다. 벽돌과 큰크리트, 철근 속에 성령님이 거하시는 것이 아닙니다! 인간들의 마음 속에, 몸속에 성령께서 거하시는 것입니다(고후 13:5, 고전3:16, 6:19)
에클레시아라는 단어는 바울이 에베소에서 붙잡힐 때 모였던 군중들에게도 붙여진 호칭이었습니다. 일반적으로 흔히 모이는 모임에 사용되는 단어를 하나님은 특별히 밖으로 불러낸 모임이라는 뜻으로 사용하신 것입니다. 따라서 흔히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지만, 그 단어를 특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되면 될 것입니다. 예수님은 특별히 예복을 입고 가르치시지도 않았으며, 특별한 학자들이나 귀족들이나 제사장족을 불러서 제자 삼으시지도 않고 대신 어부들을 불러서 제자 삼으시고, 그들에게 특별한 예복을 입히시지도 않고 그저 평범한 일꾼들로 살아가며 전도하게 하셨습니다. 뿐만 아니라 사도 바울은 자기 스스로와 동행들의 생활비를 스스로 벌어서 충당하였으며, 다른 사역자들도 스스로 일할 것과 일하기 싫으면 먹지도 말라고 가르쳤습니다(살후 3:8-12) 에클레시아라는 말을 어떤 종교적 제전이나 성전 같은 용어로 번역되어서도 안되며 거듭난 그리스도인들, 인간들의 모임의 뜻으로 번역되어야 할 것입니다.
교회라는 용어는 바로 이러한 에클레시아라는 단어의 뜻을 반영하기 보다는 세상 종교들의 하나임을 표현할 때 적합한 단어로 보입니다.
만일 교회라는 한글 이름을 굳이 쓴다면, 교회(敎會) 라기 보다는 교회(交會) 라는 명칭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에클레시아는 그리스도안에 들어온 사람들이 동등하게 명예로운 하나님의 자녀들로서 교제(交際) 하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그러한 까닭에 에클레시아의 가장 충실한 번역은 원래의 의미를 반영하여 « 세상밖으로 불러내어진 모임» 혹은 < 거룩한 모임> 혹은 단순히 줄여서 < 모임> 이라고 번역됨이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어집니다.
(5) 구약에서의 회중과 모임
구약에서는 모임들을 에다와 크할 로 불렀습니다. 이 구분의 예는 민수기 15장 15절과 25절에 나옵니다. 15절에 나오는 단어는 크할이었습니다. 25절은 이스라엘 자손들의 에다였습니다. 크할은 어떤 무리든지 무리를 말하지만 에다는 어떤 시간을 정해놓고 모이는 모임으로 이해됩니다.
이런 까닭에 메시아 유대인들은 신약의 에클레시아를 에다로 번역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킹제임스 성경은 킹제임스 1세의 번역지침으로 Church 로만 번역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이에 따라 모든 교회를 의미하는 에클레시아는 Church 로 번역하였습니다.
킹제임스 1세의 신앙에 대해서는 고려 해볼 점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윌리암 틴데일은 에클레시아를 Congregacion ( Congregation 의 고어) 으로 번역하였습니다.
오늘날 메시아 유대인들은 교회를 회중Congregation 으로 부르거나 모임 Assembly 로 부릅니다.
형제모임에서는 교회를 모임( Assembly) 로 부릅니다.
그들이 모이는 장소를 예배당이라든가, 채플, 가스펠 홀, 집회소, 모임장소 등의 이름들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그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몸인 모임이 소유하는 부동산이지, 모임 자체는 아닌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교회라는 용어보다는 모임이라는 명칭이 훨씬 더 성경적이며, 그리스 잡신 사상이나 영국의 드루이드교 사상이 스며들어 있지 않는 용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교회는 종교 교육장소가 아닙니다!
(2012. 4.22, 하토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