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원종(元宗)대 송송례(宋松禮)의 대몽외교와 군사활동
강 재 광(한국학중앙연구원 백과사전편찬실 책임연구원)
Ⅰ. 머리말 Ⅱ. 송송례의 대몽외교 추진 배경과 외교적 성과
Ⅲ. 송송례의 군사활동과 그 결과 Ⅳ. 맺음말
Ⅰ. 머리말
고려 후기 무신인 송송례(宋松禮)는 1258년(고종 45) 무오정변(戊午政變)1)에 삼별초 낭장(郎將)으로2) 참여하여 최씨무인정권을 몰락시킨 공을 세워 위사보좌공신(衛社輔佐功臣)3) 반열에 올랐다.
1) 지금까지 고려시대사 학계에서 1258년(고종 45) 崔氏武人政權을 무너뜨렸던 戊午政變에 관련된 연구는 다음과 같다. 許興植, 1982, 「1262年 尙書都官貼의 分析(上)」 韓國學報 27 ; 1982, 「1262年 尙書都官貼의 分析(下)」 韓國學報 29 ; 洪承基, 1982, 「高麗 崔氏 武人政權과 崔氏家의 家奴」 震檀學報 53・54 ; 1983, 「崔氏武人政權과 崔氏家의 家奴」 高麗貴族社會와 奴婢, 一潮閣 ; 鄭修芽, 1985, 「金俊勢力의 形成과 그 向背」 東亞硏究 6 ; 金塘澤, 1987, 「崔氏政權의 崩壞」 高麗 武人政權硏究, 새문사 ; 金大中, 1987, 「崔竩政權의 武力基盤解體와 沒落」 朴性鳳敎授回甲紀念論叢, 慶熙大學校出版局 ; 金塘澤, 1999, 「최씨정권의 붕괴」 高麗의 武人政權, 國學資料院 ; Edward J. Shultz, 2000, “The Ch’oe Dilemma” Generals and Scholars, University of Hawai' Press ; 姜在光, 2004, 「崔氏家 家奴 출신 政治人의 役割과 戊午政變의 性格」 韓國史硏究 127
2) 崔氏武人政權이 붕괴된 戊午政變이 있었던 1258년(고종 45)에 宋松禮가 郎將이 라는 무관직에 있었다는 사실은 文化柳氏嘉靖譜에 수록된 「尙書都官貼」에서만 나타난다. 文化柳氏嘉靖譜 「尙書都官貼」. “向前 員將等乙 並力輔佐爲白在別將白永貞 隊正朴天植 李禔 朴西挺 牽龍行首趙文柱 散員同正朴成大 郎將辛允和中郞將吳壽山 牽龍行首徐均漢 郎將宋松禮 別將金貞呂 呂遇昌 郎將劉存奕 康國升散員田取千 等乙良 職次超授褒賞 敎是遣(下略)”
3) 許興植과 崔元榮은 1258년(고종 45) 戊午政變 당시 金俊・柳璥 등 정변의 주동 인물들을 보좌하였던 무신들을 輔佐功臣이라 하였고(許興植, 1982, 앞 논문, 韓國學報 27, 34~35쪽 ; 崔元榮, 1995, 「林氏武人政權의 成立과 崩壞」 高麗武人政權硏究, 서강대학교 출판부, 315쪽), 姜在光은 그들을 衛社輔佐功臣이라고 명명하였다(姜在光, 2004, 앞 논문, 28쪽). 宋松禮는 위사보좌공신들 중에서 그 서열이 제10위로 그다지 높은 편은 아니었다.
1270년(원종 11) 5월에는 자신의 아들인 신의군(神義軍) 장군 송분(宋玢)과 더불어 무인집정 임유무(林惟茂)를 직접 제거하여 임씨무인정권을 종식시켰다4). 임씨무인정권의 붕괴는 100년간 이어져 온 고려무인정권의 종말을 뜻하는 것이었다. 무신 송송례는 고려무인정권 말기에 ‘복정우왕(復政于王)’의 대의명분에 부응하여 각종 정변에 참여하여 적신(賊臣)을 제거하고 정사(政事)를 국왕에게 돌리는데 커다란 공을 세웠던 것이다.
그동안 고려시대사 학계에서 무신 송송례를 전고(全考)로 다룬 연구는 송송례의 정변 참여와 무인정권 붕괴에 대한 것만5) 발견될 뿐 1270년 출륙환도(出陸還都) 이후 그가 펼친 대몽외교・군사활동에 대한 연구는 전혀 없다. 이글에서는 고려무인정권을 붕괴시킨 공으로 상장군에 오른 다음 재상으로서 활약한 송송례의 원종 치세 후반부 대몽외교・군사활동에 천착하여 그가 펼친 대몽외교・군사활동의 구체적인 내용과 역사적 성격을 깊이 있게 조명해보고자 한다.
4) 1270년 고려 武人政權 말기에 해당하는 林衍・林惟茂政權의 몰락에 대한 고려시대사 학계의 연구 성과는 다음이 크게 참고가 된다. 成鳳鉉, 1988, 「林衍政權에 관한 硏究」 湖西史學 16 ; 정수아, 1993, 「무신정권의 붕괴와 그 역사적 성격」 한국사 18 고려 무신정권, 국사편찬위원회 ; 金塘澤, 1994, 「林衍政權과 高麗의 開京還都」 李基白先生古稀紀念韓國史學論叢(上) 古代篇・高麗時代篇, 논총간행위원회 ; 崔元榮, 1995, 앞 논문 ; 申虎澈 외, 1997, 林衍・林衍政權 硏究,충북대학교 출판부 ; 金塘澤, 1999, 高麗의 武人政權, 國學資料院 ; 강재광,2016, 「武人政權 後期 對蒙關係 변천과 高麗王朝 正體性 변화의 性格 -國王, 武人執政의 力學關係 변화를 中心으로-」 한국중세사연구 46
5) 강재광, 2022, 「고려무인정권 말기 무신 송송례(宋松禮)의 정변 참여와 무인정권 붕괴」 한국중세사연구 68, 295~341쪽
먼저, 제Ⅱ장에서는 고려 원종 치세 때 무신 송송례가 실행한 대몽외교의 추진 배경과 외교적 성과에 대해서 면밀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1270년 8월 몽골에 파견된 송송례가 고려 사신단에 포함된 내막과 그가 고려 세자를 보필하면서 몽골 조정에서 어떠한 외교를 펼쳤는지 관련 사료를 통해 유추해볼 것이다. 그래서 그가 펼친 대몽외교는 진도 삼별초정부를 토멸하기 위한 몽골군 원수 파견 요청 및 동녕부(東寧府)6) 반환 요청이 주목적이었음을 설파할 것이다. 이후 1272~1273년 두 차례에 걸쳐 송송례가 정사(正使)인 왕실종친을 모시고 부사(副使)로서 원나라에 파견된 목적은 중국식 조의(朝儀) 정
비를 완료한 세계제국 원나라의 현실적인 위세를 인정하고 원나라 황실과 외교관계를 돈독히 하려는 실리적 사대외교였음을 강조할 것이다.
6) 東寧府 설치 목적과 置廢에 관한 연구는 다음이 참고가 된다. 方東仁, 1984, 「東寧府置廢小考」 關東史學 2 ; 方東仁, 1990, 「麗・元關係의 再檢討 -雙城摠管府와 東寧府를 중심으로-」 國史館論叢 17 ; 金九鎭, 1989, 「麗・元의 領土紛爭과 그 歸屬問題 -元代에 있어서 高麗本土와 東寧府・雙城總管府・耽羅總管府의 分離 政策을 중심으로-」 國史館論叢 7 ; 盧啓鉉, 1994, 「高麗의 압록강 방면 영토 변천 1269~1388」 (한국방송통신대학교)論文集 18 ; 이정신, 2001, 「원간섭기 동녕부의 존재형태」 韓國中世社會의 諸問題 -金潤坤敎授定年紀念論叢-, 한국중세사학회 ; 2004, 「제5장 동녕부와 고려의 대원관계」 고려시대의 정치변동과 대외정책, 경인문화사 ; 오기승, 2014, 「高麗末 東寧府의 形態 變遷과 高麗 流移民」 역사민속학 46 ; 신안식, 2016, 「고려후기의 영토분쟁 -쌍성총관부와 동녕부를 중심으로-」 軍史 99 ; 崔允精, 2016, 「13세기 麗元 관계와 洪茶丘-東寧府 置廢(1270~1290) 배경 再論-」 中國史硏究 105 ; 강재구, 2016, 「몽골의 高麗 北界 분리 시도와 東寧府의 편제」 지역과 역사 39 ; 2016, 「高麗 元宗代 麗・蒙 關係의 추이와 東寧府의 설치 목적」 한국중세사연구 47 ; 2021, 「동녕부의 군사적 기능과 1290년 고려 북계지역의 반환」 한국중세사연구 66
다음으로, 제Ⅲ장에서는 원종 치세 때 송송례가 직접 관여하였던 군사활동이 크게 제주 삼별초 진압을 위한 전투지원 임무 및 여원연합군의 제1차 일본원정7) 준비였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 두 가지 군사활동에서 송송례가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를 집중적으로 파헤쳐 보고자 한다. 특히 송송례가 충청도지휘사(忠淸道指揮使)로서 제주도 삼별초군 진압을 위하여 충청도 권역의 군사 모집 및 휘하 군사의 고려군 원수 김방경에로의 이관, 충청도 권역 전함의 수로감선사(水路監船使) 이관 등 중요한 전투지원 임무를 담당했음을 드러낼것이다. 이와 아울러 송송례가 원종의 명을 받아 제1차 일본원정군에 편성된 고려군의 부족한 군액 2,000명 정도를 채우는 군사적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제1차 여원연합군이 무난하게 편성될 수 있었음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하여 그간 학계에서 관심권 밖에 있었던 무신 송송례의 대몽외교 및 군사활동의 실체와 역사적 성격이 선명히 드러나기를 기대한다.
7) 1274년(원종 15) 麗元聯合軍의 제1차 일본원정에 대해서는 다음의 연구들이 참고가 된다. 李銀圭, 1972, 「元의 日本征伐 考察 -高麗와 元의 國際關係를 中心으로-」 湖西史學 1 ; 金澈珉, 1973, 「元의 日本遠征과 麗・元關係」 建大史學 3 ; 張文平, 1988, 「여・원(麗・元)의 일본 원정」 軍史 17 ; 金渭顯, 1989, 「麗・元 日本征伐軍의 出征과 麗・元關係」 國史館論叢 9 ; 盧啓鉉, 1993, 麗蒙外交史, 갑인출판사 ; 羅鐘宇, 1996, 韓國中世對日交涉史硏究, 원광대학교출판국 ; 채상식, 1997, 「麗・蒙의 일본정벌과 관련된 외교문서의 추이」, 韓國民族文化 9 ;李在範, 2003, 「麗元聯合軍의 日本征伐과 東方見聞錄」 軍史 50 ; 2014, 「고려와 몽골 연합군의 일본정벌에 관한 재인식 -麗・元 日本遠征軍의 性格-」 사림48 ; 김위현, 2004, 고려시대 대외관계사연구, 경인문화사 ; 정순태, 2007, 여몽연합군의 일본 정벌, 김영사 ; 구산우, 2007, 「일본 원정, 왜구 침략과 경상도 지역의 동향」 한국중세사연구 22 ; 이승한, 2009, 쿠빌라이칸의 일본 원정과 충렬왕, 푸른역사 ; 이개석, 2013, 고려-대원 관계 연구, 지식산업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