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주제 - 한국 정악장단의 분류시안
발표 : 서한범 (단국대학교 교수)
논평 : 김우진 (전남대학교 교수)
< 정리 >
정악에서의 장단의 정의 : 주기를 갖고 반복되는 장고의 리듬형
장단의 개념 : 박자의 집합체로 반복구조를 지닌 일정한 리듬형의 단위
1. 종묘제례 의식음악
보태평(11곡), 정대업(11곡), 전폐희문, 진찬, 경모궁제악(7곡) - 무정형 장단
각 악구의 길이가 일정치 않아 장단의 형태도 일정한 길이를 갖지 못하며, 쌍, 편, 고, 요의 순서도 일정하게 반복되지 않는 정형이 없이 선율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진행된다.
2. 당악계열
편종이나 편경이 편성되고 주선율을 당피리가 이끄는 黃이 C에 가까운 악곡들로
여민락만, 여민락영, 해령, 유황곡, 정동방곡
왕의 출궁이나 행차에 쓰인 관계로 일정한 박자, 장단 없이 자유로이 진행된다.
3. 보허자(보허사)와 그 변주곡들
보허자 - 20박자 한 장단. 쌍 6, 편 4, 고 4, 요 6박자 형태 규칙적으로 반복
미환입, 세환입 - 6박자 한장단, 장고점 순서 동일
양청환입 - 4박자 한 장단
우조가락환입 - 4박자 한 장단의 타령장단
4. 영산회상
상령산, 중령산 - 20박자 한 장단 = 보허자
세령산, 가락더리 - 10박자 한 장단
상현, 하현, 염불 - 6박자 한 장단 = 미환입, 세환입, 다양한 정형화된 변형장단이어서 선율진행을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연주가 가능하다.
기본형, 이하 변형들
타령, 군악 - 4박자 (3분박할 경우 12박자)
(예외) 관악영산회상의 상령산 - 각 박자군의 시가가 불규칙적으로 진행하며, 첫박인 쌍이 선편후수로 처리된다.
영산회상은 전곡 채편의 변죽을 치나, 평조회상과 관악영산회상의 전곡은 채편의 복판을 친다.
5. 여민락
1∼3장 - 20박의 균등 시가, 보허자와 같으나 첫박의 쌍을 갈라친다.
4∼7장 - 10박의 균등 시가
6. 취타계열
취타 - 12박자 한 장단, 쌍이 1, 3, 5, 9박에 출현
길군악 - 8박자가 한 장단, 취타 장단의 12박에서 5∼8박까지 제한 장단형태
길군악 4장의 변형장단
7. 수제천, 동동
관악영산회상의 상령산의 장단형과 흡사하다.
8. 남녀창 가곡 및 경풍년
장고점의 순서를 철저히 이행하며 변죽을 친다. 장고점의 순서가 달라지는 곡이나 복판을 치는 정형화된 변형장단이 출현하는 곡은 편락, 태평가 2곡이다.
남창과 여창의 가곡은 36곡은 16박자를 한 단위로 하는 장단형태를 지닌다.
남녀창의 우편, 편락, 편수대엽, 언편등 6곡은 16박자의 변형인 10박자를 한 단위로 반복하는 장단형을 지닌다.
9. 가사 12곡
상사별곡, 양양가, 처사가 - 5박자가 한 장단
권주가 - 일정한 장단없이 자유스럽게 이어간다.
백구사외 나머지곡 - 6박자의 장단형태
10. 시조
5박형과 8박형의 일정치 않은 장단을 혼용해서 쓰고 있다.
시조의 5박자형(3점) 장단형태
시조의 8박자형(5점) 장단형태
11. 기타 악곡
계면가락환입 - 타령장단
헌천수 - 도드리를 느리게 치는 장단
청성잦은한잎 - 무장단
무정형 장단과 유정형 장단
정해진 형태를 갖고 주기를 반복하는 장단이라 해도 박자의 길이가 동일한 것은 아니며, 각 장고점간의 시가가 일정치 않게 진행할 경우 불균등, 불규칙한 장단이라고 할 수 있다.
수제천이나 삼현상령산과 같은 곡에 있어서 박자가 아닌 또 다른 시간의 단위가 존재한다. 수제천의 한 장단을 몇 숨에 연주하느냐의「숨」의 문제와, 오랜 경험을 축적해온 연주자 들의 「감각」, 수석피리 연주자와 장고주자의 템포의 완급, 강약의 조절, 호흡의 일치등 두 사람의 「교감」이 그것이다.
박자의 시가가 불균등한 장단의 곡으로는 관악영산회상의 상령산, 수제천, 동동이 있다.
한 장단을 이루는 박자수의 종류
4박 - 타령, 군악, 계면가락환입, 양청환입, 우조가락환입
5박 - 시조, 상사별곡, 양양가, 처사가
6박 - 미환입, 세환입, 상현, 하현, 염불도드리
8박 - 길군악, 시조
10박 - 여민락 4∼7장, 세령산, 가락덜이, 보허사 5∼7장, 우편, 편락, 남녀 편수대엽, 언편등
12박 - 취타
16박 - 남창 우조 및 계면조 초수대엽 이하 태평가까지의 36곡, 자진한잎(경풍년)의 곡
20박 - 여민락 1∼3장, 영산회상과 평조회상의 상령산, 중령산, 관악회상의 중령산, 보허자, 보허사 1∼4장 총9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