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수로 인한 침수 등의 피해는 달과 태양의 위치에 따라 반복적으로 발생하며, 특히, 백중사리(음력 7월 15일 전후), 대조기(매월 음력 2~4일)에는
해수면 상승으로 침수가 발생할 수 있어 평상시 위험지역, 대피요령 등을 숙지합니다.
· 대조기그뭄·보름으로부터 2~4일간을 대조기라고 하며, 조류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흐르는 기간이다. 바닷물은 달·태양의 인력 외에도 지형, 해저마찰 등의 영향을
받으므로 그믐·보름 1~3일 후에 대조기가 발생된다.
1. 내 지역의 정보는 미리미리 확인합니다.- 내가 거주하거나 생활하는 지역의 저지대 침수 위험지역을 사전에 확인합니다.
- 조수(潮水)재난이 발생할 수 있는 백중사리, 대조기 시기를 사전에 확인합니다.
2. 재난에 대한 위험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조수(潮水)재난이 발생 시 재난 예·경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TV, 라디오나 스마트폰에 안전디딤돌 앱 등을 미리 설치합니다.
3. 가족과 사전에 비상에 대비한 약속을 정합니다.- 비상시를 대비하여 지역에 대피할 장소(국민재난안전포털, www.safekorea.go.kr나 지자체 홈페이지의 임시대피소, 이재민임시주거시설 등 참고)와
안전한 이동 방법에 대해 숙지하고, 어린이들에게 알려 주어야 합니다.
- 가족이 각각 이동할 때를 대비하여 다시 만날 장소를 사전에 정합니다.
4. 비상시 안전한 이동방법, 대피요령 등을 숙지해 둡니다.- 비상상황이 예견될 때에는 가족과 즉시 연락해서 함께 안전한 곳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황이 급박할 경우에는 즉시 그 자리를 피하고 가족과는
따로 연락해서 자신의 이동경로를 알려주도록 합니다.
- 침수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미리 높은 곳에 물건을 옮겨서 2차 피해를 방지하도록 합니다.
5. 재난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비상용품을 사전에 준비합니다.- 응급약품, 손전등, 식수, 비상식량, 라디오, 핸드폰 충전기, 휴대용 버너, 담요 등 비상용품을 사전에 한 곳에 구비해 두고 응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바로 휴대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 차량이 있는 경우에는 차량의 연료를 미리 채워 둡니다. 차량이 없을 경우 차량이 있는 가까운 지인과 사전에 같이 이동할 수 있도록 약속해 둡니다.
6. 재난에 대비한 지속적인 관심과 정비를 합니다.- 가정의 하수구나 집주변의 배수구를 점검하여 배수가 잘 될 수 있도록 합니다.
- 비상용품의 유효기간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교체하고, 대피장소, 이동경로 등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정비합니다.
· 비상시 행동요령침수피해 발생 시에는 즉시 높은 지역으로 이동하고, 침수나 범람 위험이 있는 지역에는 접근하지 않도록 합니다.
1. 해수면 상승이 예보된 때에는 해안가 출입을 자제합니다.- 대조기 등 해수면 상승이 예보된 때에는 해안가 지역에서 갯벌 체험활동, 지역축제, 낚시, 관광 등을 취소하는 등 출입을 자제합니다.
- 침수가 우려되는 지역에 차량·주민은 높은 곳으로 이동 조치합니다.
2. 침수피해가 우려될 경우 높은 지역으로 대피합니다.- 조수로 인한 침수, 범람의 우려가 있을 때에는 해안가, 갯바위, 방파제, 저지대 도로 등 침수될 수 있는 지역에서는 즉시 높은 지역으로 이동합니다.
- 조수로 인한 침수, 범람의 상황이 발생하면 재난방송이나 공무원, 경찰, 소방관 등의 안내에 따라 차분하면서도 신속하게 고층건물, 고지대 등으로 대피합니다.
- 대피 시에는 질서있게 행동하고 노약자와 어린이를 우선 배려하여 대피합니다.
- 부상자가 발생하면 주변에 도움을 구하고, 119 등에 연락을 취해 조치합니다.
3. 침수나 범람 위험지역에는 접근하지 않습니다.- 해수면 상승과 강풍, 풍랑 등이 발생하면, 너울성 파도, 해일 등으로 피해가 있을 수 있으므로 해안가 주변의 도로, 방파제, 해수욕장, 갯바위 등에
접근하지 않습니다.
- 갯바위, 갯벌 등에서 고립될 경우에는 즉시 119, 112 등에 신고하거나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고, 최대한 높은 곳으로 이동합니다.
4. 대피 시에는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침수나 범람이 발생할 경우 감전의 위험이 있으므로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 주택의 전기서설 등은 손으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않도록 합니다.
- 물이 잠겨 있는 도로에는 차량 운행이나 보행이동 등을 하지 않도록 합니다.
- 집에서 이동하거나 대피할 때에는 수도와 가스밸브를 잠그고 전기차단기를 내려 둡니다.
5. 주변의 안전 여부를 확인하고, 위험요소는 신고합니다.- 해안지역에 거주하거나 이동한 지인과 연락하여 안전여부를 확인하고, 실종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가까운 경찰서에 신고합니다.
- 주변에 위험요소 발견 시에는 112, 119나 안전신문고 앱을 통해서 신고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