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하와이사랑♡ 미국-하와이주 대표카페
 
 
 
 

카페 통계

 
방문
20240623
909
20240624
1143
20240625
1071
20240626
1267
20240627
1476
가입
20240623
0
20240624
3
20240625
3
20240626
4
20240627
3
게시글
20240623
6
20240624
7
20240625
9
20240626
25
20240627
12
댓글
20240623
5
20240624
1
20240625
0
20240626
3
20240627
4
 
카페 게시글
[기본 & 시작] 정보 하와이현지 출산비용 완전분해! & 현금으로 지불하시는 분들위한 절약 포인트! “장기체류 유학생 무료출산 정보포함"
마카푸 추천 1 조회 4,569 08.10.29 00:36 댓글 11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8.10.29 03:33

    첫댓글 유학비자등 이곳에 정상적인 비자로 거주 하시는 본에 해당 하는듯 합니다ㅡ .

  • 작성자 08.10.29 10:14

    관광비자로 거주하는 분들도 해당됩니다. 태어나는 아이는 부모의 신분과 상관없이, 시민권자이고, 출산후 한달정도후 돌아가는 분들도 있으니, 관광비자의 6개월체류기간이나, 차후 무비자가 되어서 90일의 체류기간에도 시간만 잘 맞추면 가능할 수 있을 것같습니다. 일단 중요한 것은 불체자라도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 08.10.29 13:50

    꼼꼼하게 잘 정리를 해주셨네요. 위의 마카푸님께서 설명해주신 내용들은 좀 웃기는 얘기이지만, 불체자라도 일단 미국내에서 체류하는 사람들은 인권보호 때문에 문제를 삼지 않는지는 모르겟지만, 모두 혜택을 볼 수 있는 부분들입니다.

  • 08.10.30 05:44

    이런 방법을 구체적으로 올리셔서 "혜택"을 보시라고 권장하실 필요가 있나요? 자세히 읽지 않아서 무슨 내용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이곳에서 정상적으로 일하고 세금을 내는 사람들로서는 매우 불공평하다는 생각뿐입니다. 아이를 낳을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낳았는데 형편이 좋지 않아서 이렇게 처리를 하는 것이면 모르겠지만, 애초에 이걸 노리고 모든 상황을 거기에 맞춘 다음에 애를 낳고, 또 그 후에는 어떻게 싸게 키워라까지 권장하시는 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것도 유익한 정보에 해당하는 건가요? 가치관의 혼돈이 생깁니다... .

  • 08.10.30 06:06

    "잘 읽지 않아서 무슨 내용인지 모겠지만"...클립님 지금 웃기실려고 글쓰셨습니까? 그리고 이 것은 당연한 권리를 알려서 모르는 사람들이 그냥 지나치지 말라는 내용 아닌가요? 인터넷의 순기능중에 하나이고.. 또한 정상적으로 일하고 세금내는 사람만 혜택보는 제도나 방법이 아닌 겁니다. 각자의 당연한 권리를 알리는 것이고, 세금 않낸 사람도 자식을 나아서 이곳에서 태어나면 시민권자이니, 그것에 대한 권리를 찾고, 본인은 병원비 내고(세금 안낸사람이겠쬬.), 뭐가 잘못된거죠? 병원비 내지말고 한국으로 도망가라는 것도 아니고..

  • 08.10.30 06:36

    WIC은 세금을 내고, 안내고의 문제가 아니고, 자국민(시민권자)으로 태어나는 아이가, 신분이나 경제적으로 불안한 부모 밑에서 잘 못먹고, 모유수유를 제대로 받지 못해서 몸에 문제가 생기면, 나중에 그 사람(아이)에 대한 사회복지비용(정부보험등..)이 더 많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엄마 뱃속에 있을때부터 유년기까지 제대로 된 영양을 공급하자는 취지이며, 아이를 위한다기 보다는 미래의 공공비용(시회복지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판단으로 운영된다고 합니다. 클립님은 나중에 세금을 더 낼지도 모르는 것을 이정도로 해결하는 것이니, 불공평하다고 생각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08.10.30 11:48

    대체 하와이 산후 조리원(또는 홈스테이)의 정가는 얼마 입니까? 다들 쉬쉬 하지 잘 알려 주질 않네요..

  • 08.10.30 16:32

    정식으로 산후조리원은 없는 것같습니다. 주변의 얘기로는 집에 와서 몇시간씩 도움을 주는 것은 시간당 $15 정도인 것같구요, 개인적으로 가정집에서 하는 분들이 1~2분이 있는 것같은데, 하루에 $100~200 사이로 편차가 있는 것같습니다. 주로 배우자나 다른 가족이 함께 체류하는 경우가 비싼 것같고, 혼자인 경우에 평균 $150 정도 하는 것같습니다.

  • 08.10.30 18:32

    왜 아이의 보험을 HMSA로 드시지 않고, 정부보험(MEDI-QUEST)로 하셨는지 궁금하네요. MEDI-QUEST는 응급상황에서만 신청가능한 것이라고 들었는데, 불법체류자들이 많이 타가서 재정이 부족해서 정말 도움이 필요하면서 시민권자인 사람들에게 혜택이 가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고 불만이 많던데.....MEDI-QUEST로 지원받은 후 나중에 미국에 입국할 때 문제가 되는 사례도 있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더라구요.

  • 08.10.30 22:02

    Medi가 아니고, Med 이구요, 아마 Medicare와 혼동하시는 듯합니다. 위의 설명을 잘 보시면 Med_Quest를 통해서 HMSA를 지원받았다고 합니다. 이건 불체자들은 지원받을 수 없는 것이고, 태어난 아이가 시민권자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 08.10.31 16:35

    제가 착각했군요. 친절한 설명 감사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