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도 비슷한 글을 쓴 듯 한데 다시 한번 정리하기로 하자.
중학교 수학때문에 고민이 많은 분들이 있다.
아이들 수학성적 90점 넘기 너무 힘들다.
특히 중학생때는 고등학교를 가기전의 일이라 여간 신경쓰이는게 아니다.
너무 걱정하지 말자. 안되면 되게하면 된다. 걱정만 하기 있기에 시간이 너무 아깝다.
중학수학 이렇게 하면 우등생 된다.
1. 시간을 투자하자.
매일 매일 바쁘다. 그렇다고 시간이 없는 것은 아니다. 수학에 2시간을 투자하자.
학원, 과외, 공부방, 학습지 등 다른 사람과 같이하는 시간은 모두 제외시킨다.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이 최소 1시간 30분에서 2시간은 되어야 우등생이 될 수 있다. 그럴 자신 없으면 그냥 수학 포기하자.
공부는 안하고 성적 올리려는 사람은 그냥 공부하지말고 열심히 뛰어노는게 좋다.
2. 문제집은 딱 1권만 푼다.
보통 아이들을 보면 수학 문제집만 5권이 넘는다. 왜 이렇게 많을까? 다 풀까? 아니다. 새것이 그대로 있다.
"개념원리 중학수학" 이라는 책이 있다.
이것 한권이면 된다. 정말 우등생이 될 수 있다.
우등생이 못되는 이유는 책 5권을 다서 1권도 제대로 못 풀기 때문이다.
또한 문제를 풀지만 틀린 문제를 확실히 자기 것으로 만들지 못하기 때문이다.
3. 문제집 1권을 5번 반복해서 푼다.
개념원리 문제를 풀때 먼저 개념설명이 있는데 그것을 확실히 이해하고 문제를 풀자.
문제부터 푸는 습관을 들이면 수학 실력이 늘지않는다.
첫음에는 개념을 확실히 공부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 하루 2시간씩 투자하면 3개월이면 한학기 진도를 나갈수 있다.
틀린 문제엔 빨간 볼펜으로 별표를 하자.
두번째 풀때는 틀린 문제만 풀자. 그러면 1개월이면 끝낼수 있다. 이번에 푸는데 또 틀리면 별을 또 하나더 그리자.
세번째는 별2개 표시된것만 풀자. 얼마 걸리지 않을 것이다.
네번째는 별3개가 표시된 것만 풀자.
마지막 다섯번째는 별 4개가 표시된 것을 풀자.
이렇게 한권을 완벽히 자기것으로 만들고 나면 자신감이 아주 많이 충만될 것이다.
4. 시험기간엔 100점기출이나 열공 문제집중 하나를 선택해서 풀어본다.
이쯤되면 자신의 실력을 알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패턴의 문제에도 익숙해지고 자신감도 생겨 문제푸는 것이 재미있을 것이다.
5. 시간적 여유가 있을경우는 개념원리 중학수학과 마찮가지로 RPM이라는 문제집이 있는데 풀어도 좋다.
6. 개념원리 중학수학을 5번 풀고 시험기간에 100점이출이나 열공중 하나만 풀면 90점 이상 나온다.
RPM까지 풀면 100점을 받을수 있다. 개념원리를 5번 풀고 난 뒤에 풀기를 권하고 싶다.
7. 틀린 문제는 바로 답지를 보지 말고 앞에 개념을 다시 한번더 보고 생각해서 스스로 풀어보길 바란다.
이해가 안된다고 바로 답지를 보게되면 생각할 시간을 주지않아 자기 것으로 만들 기회를 없애는것과 같다.
고민을 해보고 도저히 이해가 안될때 답지를 보기를 권하고 싶다.
8. 수학은 생각하는 과목이라 스스로 생각을 많이 할수록 실력이 늘어난다.
방학때 하루 4시간이상씩 투자하면 더욱더 효과가 좋다. 진도 빠르게 나가면 1달이면 나갈수도 있다.
그래서 방학때 수학에 매진하는 아이들이 많다.
수학과 아이들의 특성
수학 문제는 항상 생각을 하게 만든다. 아이들의 행동도 마찮가지다.
이유가 없는 것은 없다. 아이들 하나하나의 행동에는 이유가 있듯이 수학에도 문제마다 이유가 있다.
수학문제 틀린것을 설명하면 아이들은 알아듣는다.
그리고 다음날 풀게 하면 거의 대부분이 틀린다.
왜냐?
눈으로 수학을 풀었기 때문이다. 수학은 절대로 눈으로 풀면 안된다.
손으로 직접 풀어야 한다. 우리의 뇌는 눈으로는 이해를 하지만 손으로 풀면 자기것을 만들어 나가게 되어 있다.
수학이 바로서야 아이의 생각이 바로서고
아이의 생각이 바로서야 실력이 향상되고
실력이 향상되어야 원하는 바를 이룰 수 있다.
한권을 다섯번...
좋은 정보감사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유용한정보 감사드려요
올해 큰애을 중학교에 보낸 맘인데 수학때문에 엄청 고민했어요 근데 이제 감이 오네요
넘 감사해요^^
해답입니다.^^
한권을 다섯번 정도 푸는 것 정말 좋은 방법입니다.
감사합니다.
참고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좋은 정보 읽고 갑니다. 즐거운 한 주 되세요~
참고하겠습니다.
감사..
잘보고 갑니다. 늘 좋은정보 감사해요
감사합니다
내용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아직 먼~ 이야기지만 잘 담아두고 있겠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잘보고 갑니다~~*
잘 보고 갑니다~
중1일 제아이한테 도움이 될것 같아 담아 갑니다.... 감사합니다^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