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1122 (월)
- 우리나라 지자체별, 재미있는 상징물들
- 또 다른 이야기 (5)
이 코너는 회원님들 여러분을 조금이라도 즐겁게 해드리려고 만들었고 또 제 나름대로는
열심히 글을 올리고는 있는데 과연 효과가 있는지 걱정입니다.
사실 세상만물을 평생 다루어도 다할 수는 없겠지만 제가 즐겁게 보고 또 알고 있는 것만을
올리는 것이오니 재미없을 수도 있겠지만 참고하시며 보아주시기 바랍니다.
--------------------------------------------------------------------------------------
현재 연재하고 있는 “견과이야기”가 끝나려면 아직도 한참이나 남았지만 너무 지루하실
수가 있어서 잠시 다른 이야기를 올립니다.
======================================================================================
“유해(有害) 야생동물이 우리 고장을 대표한다고요?”
국립생물자원관이 전국 249개 지자체의 “상징종(象徵種)”을 조사한 결과를
지난 2010년 7월에 발표하였는데 “상징종”이라함은 해당 지방자치체를 대표하는
“동물”과 식물 중에서의 “꽃” 과 “나무”를 말하며 이 내용은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시행하고 있는데 이와는 또 별도로 일부 지자체에서는 그 곳을 대표하는
“상징물”을 제정하여 “캐릭터” 또는 “마스코트”라고 이름 지어 부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서울특별시의 경우 “상징동물=까치”, “상징꽃=개나리”, “상징나무=
은행나무“ 등인데 이와는 별도로 상상의 동물인 ”해치(해태)“를 마스코트로
제정하는 경우 등입니다.
* 이중에서 특히 “상징꽃”과 “상징나무”에 대하여는 “시화(市花)”, “시목(市木)”이라고도
부르며 “상징동물”이 “새”일 경우는 “시조(市鳥)”라고 부릅니다.
- 그러면 “새”이외의 “다른 동물”의 경우에는 ”시수(市獸)“라고 부르는지?
그런데 그런 말은 듣지 못했습니다.
----------------------------------------------------------------------------
1. 상징물 이란?
“자연환경보전법”에 따르면 “중요한 야생 동, 식물을 지자체의 상징종으로 지정할
수 있다”라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상징동물”로는 “까치”가 59개 지자체에서 지정되어 가장 인기가
많았고 다음으로는 “비둘기(53곳)“, “갈매기(21곳)”, “백로(19곳)” 등이
뒤를 이어 인기가 높았습니다.
또 “상징꽃‘으로는 ”철쭉(42곳)“-”개나리(34곳)“-”동백꽃(22곳)“ 등의 순이며,
”상징나무“로는 ”은행나무(72곳)“-”소나무(45곳)“-”느티나무(37곳)“ 등의
순서이었습니다.
그런데 재미있고도 우스운 것은 “까치”와 “비둘기”는 농작물 피해와 도심의
환경오염 등으로 법률상으로 “유해야생동물”로 지정되어 있는데 이를 “상징종”으로
내세운 지자체가 무려 112곳이나 된다는 사실로서 해당 지자체의 담당 공무원이나
주민들의 관심이 아쉽습니다.
또 하나 재미있는 사실은 인기 있는 “상징종”이 중복되는 바람에 전체 조사대상
249개 지자체의 “상징동물”은 겨우 53종이고 “상징꽃”은 38종, ”상징나무“도
38종에 불과하여 자기 지자체만의 대표성이나 변별력 등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
2. 특색 있는 고장의 상징물
가. 경기도 포천시의 자기고장 사랑
이러한 가운데 가장 특색 있는 지자체의 경우를 보면, 경기도 포천시의 경우는
“상징동물”은 “원앙”이고 “상징꽃”은 “포천가는잎구절초(통상 <포천구절초>라고
부름)”, “상징나무”는 “포천 직두리의 부부송”, “캐릭터”는 “오성과 한음” 이라는
사실로서 조사대상 전체 249개 지자체 중에서 가장 특색이 있어서 매우 호감이
갑니다.
따라서 생물자원관에서는 “포천시의 경우처럼 자기고장의 고유특성을 살리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지자체들의 신청을 받아들여 상징종을 새로 지정하는 사업을
벌일 것”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 포천시의 상징물에 대하여는 다음에 다시 자세하게 소개해 드리고 또 다른 지방에
대해서도 올릴 기회가 되면 또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나. 각 지방의 상징물들
그러면 비교적 특색 있고 재미있는 내용들을 살펴보겠습니다.
각각 순서대로 (상징동물)-(상징꽃)-(상징나무)-(캐릭터 또는 마스코트)입니다.
< > 속에 아무 표시가 없는 것은 해당내용이 지정되어 있지 않다는 표현입니다.
* 다음에 올리는 내용은 일부분입니다. 혹시 다른 어느 특정한 지방에 대하여 알고
싶으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알려드리겠습니다.
(1) 경기지방
- 서울시 : 까치-개나리-은행나무-해치(상상동물)
-----------------------------------------------------------------------------
- 인천시 : 두루미-장미-목백합-<>
- 과천시 : 비둘기, 말-철쭉-밤나무-토리 아리(밤을 뜻함)
* 경마장이 있어서 “말”을 지정했나요?
- 광주시 : 제비, 소-개나리-은행나무-<>
- 김포시 : 까치-개나리-느티나무-살이 산이(삽살개와 풍산개)
--------------------------------------------------------------------------------------
- 남양주시 : 크낙새-개나리-소나무-다산(정약용)
* 제가 지금 살고 있는 남양주시의 상징동물은 “광릉 크낙새”이고 캐릭터는 전에는
“맑음이, 푸름이”였는데 “다산 정약용”으로 바뀌었습니다.
* 그리고 남양주시는 현재 (5개읍-4개면-6개 행정동)으로 이루어져있는데
인구는 약 60만 명입니다.
* 남양주시 Slogan
“교통이 통쾌(痛快)한 도시, 교육문화가 유쾌(愉快)한 도시, 행정이 명쾌(明快)한 도시”
의 “3쾌(三快)의 도시”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 남양주시 캐릭터 : 다산 정약용 (茶山 丁若鏞)
* 남양주시 상징동물 : 크낙새 (천연기념물 제197호)
--------------------------------------------------------------------------------------
- 동두천시 : <> - <> - <> - 소람이 다람이(다람쥐와 단풍)
- 포천시 : 원앙-포천가는잎구절초-포천 직두리 부부송-오성과 한음
- 부천시 : 보라매-복숭아꽃-복숭아나무-<>
* 부천시는 역시 “복숭아”입니다.
- 수원시 : 백로-진달래-소나무-수롱이(백로)와 반딧불이
* 수원에 백로가 많은지? 그리고 “반딧불이“는?
- 시흥시 : <> - <> - <> - 토로 해로(거북이)
* 웬 “거북이”?
- 양주시 : 까치-개나리-소나무-토리 나리(밤과 개나리)
- 오산시 : 비둘기-개나리-은행나무-오나리(개나리와 은행잎)
- 의왕시 : 까치, 다람쥐-철쭉-느티나무-느티 까비(느티나무와 까치)
- 안성시 : 까치-개나리-은행나무- <>
- 안양시 : 독수리-개나리-은행나무- <>
- 평택시 : 백로-배꽃-소나무- <>
- 가평군 : 꿩-개나리-잣나무-잣돌이(잣)
- 여주군 : 백로-개나리-은행나무-미돌이(쌀)
(2) 강원지방
- 춘천시 : 산까치, 호랑이-개나리-은행나무
- 강릉시 : 고니(백조), 호랑이-백일홍(배롱나무)-소나무-솔향강릉(소나무)
- 태백시 : 산까치(어치)-산목련(함박꽃나무)-주목-씨컴스와 태붐(광부와 호랑이)
- 속초시 : 비둘기-국화-은행나무-해오미(오징어)
- 고성군 : 괭이갈매기, 명태-해당화-은행나무 -<>
(3) 충청지방
- 대전시 : 까치-백목련-소나무-<>
- 청주시 : 까치-백목련-느티나무-<>
- 천안시 : 비둘기-개나리-능수버들-<>
- 서산시 : 가창오리, 장다리물떼새-국화-소나무-가창오리, 장다리물떼새
- 예산군 : 백로-개나리-은행나무-사과
- 서천군 : 검은머리물떼새-동백꽃-곰솔(해송)-모시
- 보은군 : 까치-개나리-대추나무-정이와 송이(정이품송)
- 영동군 : 비둘기-진달래-감나무-감이랑 포미랑(감과 포도)
(4) 경상지방
- 부산시 : 갈매기-동백꽃-동백나무-태양
- 대구시 : 독수리-목련-전나무-<>
- 울산시 : 백로-배꽃-은행나무-해울이(고래)
- 문경시 : 매-철쭉-박달나무- <>
- 울릉군 : 흑비둘기-동백꽃-후박나무-오기동이와 해오랑(오징어와 호박)
- 의령군 : 비둘기-진달래-은행나무-범이와 꺽쇠(소)
- 함양군 : 소쩍새, 반달곰-철쭉-느티나무-양파
(5) 전라지방
- 광주시 : 비둘기-철쭉-은행나무-<>
- 광양시 : 갈매기-동백꽃-고로쇠-<>
- 여수시 : 갈매기-동백꽃-동백나무-거북이와 동백
- 목포시 : 학-백목련-비파나무-포포와 포미(아름다운 항구-port)
- 진도군 : 백조-동백꽃-후박나무-황구와 백구(진돗개)
- 전주시 : <>-개나리-은행나무-<>
- 군산시 : 갈매기-동백꽃-은행나무-밝음이(동백꽃)
- 김제시 : 비둘기-백일홍(배롱나무)-느티나무-쌀눈이(쌀)
- 정읍시 : 비둘기-백목련-단풍나무-단이와 풍이(단풍)
(6) 제주지방
- 제주도청 : 제주큰오색딱따구리-참꽃-녹나무-돌이와 소리(돌하르방과 해녀)
* 제주도에 대하여는 아마도 다음에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볼 것 같습니다.
=============================================================================
다음에는 특색이 있다고 말씀드렸던 “경기도 포천시의 상징물”에 대하여 자세히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첫댓글 드디어 상징물 시리즈군요. 견과류 사이에 우리의 흥미를 위하여 지자체별 상징물을 연재해주신다니 더욱 반갑습니다. 남양주가 크낙새라는데, 광릉 수목원이 남양주 관내인가요? 원래 광릉 크낙새가 유명해서요.. 좋은 하루 되세요.
견과류 이야기는 길게 가야 하기 때문에 - 아마도 몇달은 갈 겁니니다. ㅎㅎ 그래서 중간중간 다른 이야기를 하려고 하지요. 광릉수목원은 남양주와 포천시에 걸쳐서 있는데 관리하는 곳이나 주변의 유명한 곳인 광릉, 봉선사 등이 모두 남양주쪽에 있고 또 크낙새의 주 서식지가 남양주시 쪽의 낮은 산입니다. 남양주시에도 가 볼만한 곳이 많습니다. ㅎㅎ
그렇군요. 크낙새가 원래 광릉이니까요.. 남양주에 유명한 곳 중에 하나가 대패 삼겹살...ㅎㅎ 좋으신 분이 있어 더욱 좋은 곳이더군요. 언제나 감사합니다.
저는 식물 보기도 좋아하지만 주로 문화재를 찾아서 또는 불교사찰을 찾는 것을 좋아하는데 우리나라는 어디를 가나 나름대로의 특색이 있고 또 볼거리, 먹거리가 많아서 참 좋습니다. 이제 먼 길을 가려면 봄이 올 때까지 기다려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