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충주지씨시조, 태보 선의공 지경/ 문하대아찬성사 지해관/ 부원수
지영장군/ 문하평장사 지득상/ 문하시랑 평장사 충원백 지종해/ 충주어씨시조, 평장사
지중익(어중익)/ 형부상서 지신구/ 평장사 지자심장군(공은 평강채씨시조, 수태사 채송
년의 외조부이다.
후손으로는 영의정 채제공이 있다)/ 문하평장사 충간공 지호문/ 집현전 태학사(대제학)
지성삼선생/ 상장군 장렬공 지윤보장군(공의 외손녀는 대학자 양촌 권근선생의 할머니이
다. 후손으로는 임진왜란 때 명장 권율장군이 있다)/ 평장사 지덕노/ 문하시랑 지원부장
군(공의 딸은 해주정씨시조, 시중평장사 정숙의 부인이다. 후손으로는 임진왜란 때 명
장 정문부장군이 있다)/ 시중, 평장사 지환(공의 딸은 창녕성씨큰파조, 판도판서 성공필
의 부인이며 영의정 성석린의 증조할머니이다. 후손으로는 사육신 성삼문선생, 악학궤범
의 용재 성현선생, 대학자 우계 성혼선생이 있다. 또한 공의 딸은 대제학 변계량의 형
승지 변중량의 외할머니가 된다)/ 문하찬성사 지윤장군(공의 딸은 각각 조선 태조 이성계
의 장남 진안대군의 부인 삼한국대부인 충주 지씨와 조선 정종대왕의 부인 성빈 지씨
이다. 왕과 성빈의 후손으로는 임진왜란 때 전라우수사 이억기장군, 명필가 원교 이광사
선생, 연려실기술의 연려실 이긍익선생, 대학자 영재 이건창선생이 있다)/ 판호조사 지복
룡/ 문하시랑 충무공 지용수장군(공의 딸은 조선 세종 때 집현전 부제학 최만리선생의
어머니이다. 그리고 최만리선생의 딸은 대학자 율곡 이이선생의 증조할머니이다)/ 벽상
삼한삼중대광 충의군 지용기장군(공의 딸은 조선왕 단종의 어머니 현덕왕후의 외할머니
이다)/ 태학사 지용하선생/ 조선 판의주목사 지유용장군(부인의 어머니는 증 문하좌정승
구위의 딸이다. 그리고 공의 딸의 5대손은 대학자 용주 조경선생이다)/ 조선 선공감 직
장 지개(공의 외손녀는 영의정 심연원의 할머니이며 조선 명종대왕의 부인 인순왕후의
고조할머니이다)
[조선시대]
▶ 한성소윤 지호(부인은 감찰어사 이명성의 딸이다)/ 삼화부사 익안군 지대/ 상호군
(상장군) 지계강장군(공의 형수는 생육신 권절의 누이이다)/ 판사 지정호/ 병조판서 정장
공 어유소장군(고려 충주 어씨의 시조 평장사 지중익의 후손이다)/ 통훈대부 지준(부인은
영의정 윤필상의 딸이다. 그리고 공의 딸의 현손녀는 소현세자빈 강씨의 어머니이다)
좌승지 지득례/ 담양부사 지윤원(부인은 태조 이성계의 현손녀이다)/ 군수 지윤온(부인의
할머니는 좌의정 허조의 딸이다)/ 첨지중추부사 지윤제(공의 딸은 참판 손식의 어머니이
다.
그리고 공의 외손녀는 동몽선습 소요당 박세무선생의 며느리이다)/ 목사 지윤범(공의
딸은 세종대왕의 손자며느리이다)/ 이조정랑 지달하(부인은 판서 김을신의 증손녀이다).
길성현감 지한조/ 사헌부 감찰 지한좌(부인의 어머니는 우의정 한백륜의 손녀이다)/
교위 지영회(부인은 홍문관 부제학 이균의 딸이다)/ 부사직 지영순(부인은 승지 이달선의
딸이다. 그리고 부인의 외할머니는 황희정승의 손녀이다)/ 조지서 별제 지세함(공의 외
할머니는 좌의정 정괄의 딸이다)/ 내금위장 지영청(부인은 증 영의정 윤변의 딸이다)/ 백
의 종사관, 시인 송정 지달해/ 증 좌승지 지달원장군/ 왕자사부 부촌 지봉휘선생/ 동지중
추부사 지봉수/ 사헌부 장령, 학자 뇌봉 지덕해선생/ 철산부사 충장공 지여해장군(부인은
부제학 박처륜의 현손녀이다)/ 삭주방어사 지득룡장군/ 승지 장헌공 지천석/ 통정대부
지도이/ 서흥부사 충성군 지계최장군(부인은 성종대왕의 현손자 광원정의 딸이다)/ 절충
장군 지언부/ 자헌대부 지우익장군/ 성리학자 설악 지광한선생/ 병조참판 지윤철/ 정헌
대부 지일휘장군/ 성리학자 주하 지운호선생/ 가선대부 지기휴/ 오위장 지광룡/ 치악장
군 지희방/ 경복궁위장 지흥달/ 서화가 백련 지운영/ 관찰사, 의학자, 국어학자 송촌 지
석영선생/ 한국광복군총사령관 지청천장군(가명 이청천) 등등. (충주지씨족보, 기타역사
기록)
필자가 위 기록을 살펴본 결과는
◈ 충주 지씨의 시조이신 선의공 지경 선생은 송나라 때 사신으로 왔다 고려에 귀화한
분이라고 한다. 9고려 광종 11년 그러니까 AD960년이니 금년을 기준으로 하면 약 1,050
여년의 역사를 가진 성씨이다.
충주지씨의 시조 선의공 지경이란 분에 대한 기록을 살펴본다.
◈ 시조 선의공 지경<始祖 宣懿公 池鏡) ◈
선의공(宣懿公, 池鏡, 903~1003)은 배위(配位)가 모씨(毛氏: 一云 桂氏)이며 슬하에 2남으로 문하대아찬성사(門下大雅贊成事) 지해관(池海貫), 평장사(平章事) 지도관(池道貫) 두분이다.
공(公)은 고려 광종(光宗) 11년 경신(庚申, 宋乾隆元年 서기 960년)에 송(宋) 단명전(端明殿) 태학사(太學士)로서 봉사(奉使: 使臣이 임금의 命을 받아 外國에 나가는 것) 동래(東來: 중국의 동쪽 고려로 옴)하여 금자광록대부 태보 평장사(金紫光祿大夫太保平章事)의 벼슬을 하였다.
공은 당나라 말기에 중국 홍농(弘農: 河南省 靈寶地方)의 기주주악산(岐周周樂山) 아래에서 당소종(唐昭宗) 3년(903)에 출생하시여 찬란했던 성당시대(盛唐時代)의 문화권에서 성장하셨으나 정치적으로는 5대(梁·後唐·晉·後漢·周)의 혼란기를 지나서 960년 송(宋)이 대륙을 평정하던 시기에 송이 파견하는 사신(使臣)으로 단명전(端明殿)의 팔학사(八學士)와 더불어 고려국(高麗國)에 오셨으니, 당시 고려는 후삼국(後三國)을 통일한 건국 초기로서 신라말(新羅末) 부터의 모화주의(慕華主義)가 더욱 성행하여 당·송의 문물과 제도를 모방, 수입하는데 급급하였던 때이므로 팔학사 등은 높은 학식(學識)과 경륜(經倫)으로 신생 고려국의 제도정비에 크게 공헌하셨으며 이후 고려에 계속 정착하여 지배계급으로 기반(基盤)을 닦았고 만년(晩年)에는 중화당악(中和唐岳, 현 平安南道 中和郡 唐井面 唐村里)에 사셨다고 전하니 그 지명도 당(唐)에서 온 귀화인(歸化人)이 살아서 붙여진 이름인 것이다.
일설(一說)에 공이 계해(癸亥, 서기 903년) 10월 15일 해시(亥時)에 나시어 사주(四柱)가 사계해(四癸亥)라하며 계묘(癸卯, 서기 1003년) 9월 9일에 졸(卒)하니 수(壽)가 101세라 한다. 일보(一譜: 어느 족보)에는 공(公)이 동래(東來)할 때에 신경(辛鏡), 홍경(洪鏡), 곽경(郭鏡), 노경(盧鏡), 장경(張鏡), 이경(李鏡), 원경(元鏡) 등 칠학사(七學士)와 더불어 같이 올 때에 호(號)를 팔경(八鏡)이라고 하였다 하며 현재 영산 신씨(靈山辛氏), 현풍 곽씨(玄風郭氏)는 시조(始祖) 휘자(諱字)가 경(鏡)이나 여타 성씨(餘他姓氏)는 이들 후손으로 추정되는 분을 시조(始祖)로 하고 있다.
공(公)의 묘(墓)가 문헌(文獻)에 중화(中和) 당악(唐岳) 화산정(華山亭)으로 전하나 현재는 알 수 없고, 공(公) 이하 고려조(高麗朝) 16대까지 거의 실전(失傳)되여 1987년 4월 26일에 관향(貫鄕)인 충주시(忠州市) 종민동(宗民洞) 충주(忠州) 호반(湖畔)에 시조 추모비(始祖追慕碑)를 건립하였고, 매년 중양절(重陽節: 陰 9월 9일)에 세사(歲祀)를 올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