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식렴은 삼중 대광 왕평달(王平達)의 아들이며 태조의 종제(從第)이다.
위인이 충직 용감하고 근면 경근하였다. 처음에 군부 서사(軍部書史)로 있다가 후에 많은 관직을 역임하였다.태조는 평양이 황폐되었다 하여 백성들을 이주시켜 이를 채우려 하면서 왕식렴을 보내 진수할 것을 명령하였다. 또 안수진, 흥덕진 등 진(鎭)에 축성하는 데서도 공을 세웠으므로 누차 승진하여 좌승(佐丞)으로 되었다. 왕식렴은 장기간 평양을 진수하였으며 항상 사직을 보위하고 국토를 개척하는 것을 자기의 임무로 삼았다.
혜종이 병들었을 때에 왕규가 반란을 음모하므로 정종이 왕식렴과 더불어 사변에 대처할 계책을 비밀히 토의하였으며 급기야 왕규가 반란을 일으키자 왕식렴이 평양으로부터 군대를 거느리고 와서 왕을 보위하니 왕규가 감히 움직이지 못하였다. 이리하여 왕규 등 3백여 명을 처단하였으며 그에게 대한 왕의 신뢰가 더욱 심중하여 졌으며 다음과 같은 조서를 내려 그를 표창하였다.
“왕식렴은 3대의 원훈이오 일국의 주석(柱石)이다. 도량은 바다와 산악을 삼킬 만하고 기개는 풍운을 감출만하다. 지난날 선왕의 병환이 위독하시던 그때야 말로 맑고 흐린 것을 분별하지 못하는 형편이었는데 그대는 충의를 품고 송백 같은 절개를 발휘하여 나어린 나를 추대하여 군국 대업을 계승하게 하였다. 얼마 아니 지나서 간신과 역도들이 악당들과 결탁하여 갑자기 한 집안에서까지 반란의 변이 생겼다. 이런 때에 그 애는 더욱 충절을 발휘하여 분노의 칼을 잡고 생명을 걸고 분투하니 흉악한 책동은 와해되고 역적들은 처단되었다. 조정의 기강이 추락될 뻔하다가 다시 일어 나고 종묘 사직이 기울어질 뻔하다가 다시 바로 섰다. 만약 공(公)의 목숨을 바치려는 충성이 없었더라면 나의 오늘이 어디 있겠는가? 어지러운 세상에서 충신을 알 수 있고 강한 바람이 불어야 굳센 풀을 알아볼 수 있다는 것을 옛말로 들었더니 오늘에 와서 그런 사람을 보았노라! 비록 만석의 봉토를 주고 각 도의 방백(方伯) 자리를 다 준다 한들 그것으로써 그 위훈을 보답할 수 있으며 그의 공명을 갚을 수 있으리요! 이제 광국 익찬 공신 칭호를 주고 대승(大丞)의 높은 가자를 줌으로써 나의 뜻을 표시하고 불후의 위훈을 표창하노라. 이것은 군신간의 대의 명분을 펴는 것으로 될 뿐만 아니라 또한 생사를 같이 할 것을 바라는 뜻으로도 된다. 나는 자기의 말한 것을 반드시 실천하기를 저 밝은 해처럼 할 것이다. 그리고 또 서로 희망하는 바는 나는 자신을 반성하고 단속하는 일을 잊지 말자는 것과 공(公)은 항상 만족한 생각을 가지고 청렴한 품성을 수양하는 데 힘써야 한다는 그것이다. 이리하여 백성들을 애무하고 상벌을 공정하게 하여 국가의 운명을 영원히 보전하고 후손 만대에 부귀를 누리도록 해야 하겠다.”라고 하였다.
정종 4년에 죽으니 시호를 위정(威靜)이라 하고 호기위(虎騎尉), 태사, 삼중 대광 벼슬과 개국 공작위를 추증하고 정종 묘정에 배향하였다 아들은 왕함윤(王合允), 왕함순(王含順)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