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선생님이 수입승용차를 소유하고 운행하고 있다면 우리 국민들은 어떤 반응을 보일까? 아마 긍정적인 시선보다는 손가락질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다른 사람은 몰라도 선생님이 국산품을 애용해야지 수입차를 몰고 다니면 학생들이 무엇을 보고 배우겠냐고 비난할 것이다.
그러나 한 번 이렇게 생각해 보는 것은 어떨까? 우리 국민들이, 아니 선생님들이 앞장서 수입차를 사야 국산차들이 해외로 당당하게 수출할 수 있다고. 웬 뚱딴지 같은 소리? 요즘 세상이 많이도 변했다. 외국에서 한국차 수입을 각종 규제를 통해 제한하려 한다. 미국의 고위 관료는 한국에 대해 수출과 수입 차량대수를 비교하며 균형을 맞추라고 요구까지 한다.
그러니까 넓게 보면 수입차 구입이 국산차 수출 증대에 기여한다는 이야기가 된다. 수입차 예찬하려는 것이 아니다. 우리의 생각을 바꾸어 보자는 것이다. 과거 우물안 개구리 사고에서 글로벌 시각을 가져보자는 것이다.
한국자동차공업협회(KAMA)와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의 '2006년 승용차 수출/수입 현황' 통계에 의하면 수출이 253만 180대, 수입이 4만 530대이다. 수입승용차가 수출승용차의 1.6%에 해당하는 것이다. 쉽게 이야기하면 국산차 100대를 수출하고 외제차 1.6대를 수입한 셈이다.
금액으로 계산하면 사정이 좀 다르긴 하다. KAMA의 보고서는 작년 1/4분기 매출액 기준 수입승용차의 국내시장 점유율이 14.5%를 차지하고 있으며, 3000cc 이상 승용차의 경우에는 45.6%를 차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 자동차시장이 중대형화, 고급화 경향을 보이면서 매출액으로 평가한 수입차의 국내시장 점유율은 2005년 2조1998억원을 기록해 국내 자동차시장의 11.8%에 그쳤으나 작년도 1/4분기에는 6917억원으로 국내시장 점유율이 14.5%로 나타났다.
KAMA는 수입차 판매가 급증하고 있는 것은 수입차업체들이 다양하면서도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차종을 늘리는 등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강화하고, 또한 최근 들어 국민들이 수입차에 대한 거부감이 없어진 것도 판매확대의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이제 한국차를 수입하는 선진국들은 무역 불균형을 내세우며 자기네 차량을 수입을 강요하는 현실이다. 통상문제를 제기하며 브레이크를 건다. 이것을 해결하려면 수출한만큼 우리도 그네들 차량을 억지로라도 팔아주어야 하는 것이다. 또, 수입차는 소비자 선택폭을 넓혀준다. 250여개의 다양한 모델이 소비자를 기다리고 있다.
과거 수입차는 가격이 너무 비싸 외제차 하면 부(富)를 과시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현재는 판매전략으로 소형화하여 가격도 많이 내려갔다. 리포터와 전화 인터뷰를 한 KAIDA 박은석 과장에 따르면 2260만원에서 시작하여 3000만원대가 10종 정도 있다고 한다. 가격면에서 국산차와 경쟁력이 있다는 이야기다. 수입차의 우수한 성능은 국산차의 성능 개발에 자극을 주어 소비자를 만족하게 하는 긍정적 효과도 있는 것이다.
박 과장은 "몇 년 전만해도 수입차의 주 구매연령대는 40-50대였는데 지금은 30대"라고 말한다. 실용적, 합리적 구매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남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필요에 의해 수입차를 구매한다는 이야기다.
이쯤되면 수입승용차를 무조건 색안경 쓰고 보는 시각도 바꾸어야 할 것 같다. 과거 애국심에 호소하여 우리 산업을 발전시킨 때도 있었지만 글로벌 시대인 지금에 수입승용차 구매자를 비애국자로 모는 것은 정당하지 않은 것이다. 자기 분수에 맞는 수입승용차 운행은 비난만 받을 일이 아닌 것이다.
학교 선생님이 수입승용차를 타고 다니는 이유를 이러한 각도에서 설명한다면 너무 앞서가는 교육일까? 현상을 보는 다양한 시각을 가르치는 것도 교육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하는데….
첫댓글 현대차가 파업하는 거보면 국민들이 수입차를 사서 현대차가 곤욕을 치르게해줘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요즘 2,30대, 남의 눈 의식하지 않지요. 지극히 현실적이고 개인적이지요. 애국심이나 집단의 문제가 아니라 개인의 판단에 따라 다양하게 문제해결을 하고 지구는 하나라는 글로벌화 포스터가 사라진지도 오래되었지요. 많은 부분 이미 글로벌화 되었으니까...우리의 정신문화를 계승하면서 옳바른 판단력을 길러주는 교육이 그래서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