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신과 여자
( 미인계가 통하는 국제외교 무대 )
대륙의 새로운 주인이 된 영락제의 황제 즉위를 축하하기 위하여 하등극사로 명나라를 방문한 하륜이 돌아왔다. 하륜의 명나라 방문은 단순하게 황제의 등극을 축하하기 위한 것만은 아니었다. 건문제 이후의 대명외교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라는 태종의 밀명이 더 막중한 소임이었다.
하륜은 역시 천하의 하륜이었다. 돌아온 하륜은 혼자가 아니었다. 명나라 예부를 어떻게 요리했는지 사신들과 함께 왔다. 명나라 사신을 데리고 왔는지 모시고 왔는지 그것은 중요하지 않았다. 명나라 황제가 조선국왕 태종을 인정한다는 고명(誥命)과 인장(印章)을 휴대한 사신과 함께 왔다는 것이 중요했다.
면복을 갖춘 태종은 백관을 거느리고 서교에 나아가 사신을 맞았다. 도지휘(都指揮) 고득, 통정사좌통정(通政司左通政) 조거임, 환관태감(宦官太監) 황엄 환자(宦者) 주윤단, 조천보, 한첩목아 등 사신일행을 대궐로 안내한 태종은 무일전에서 예를 행하고 고명과 인장, 그리고 칙서(勅書)를 받았다.
"봉천승운황제(奉天承運皇帝)는 제(制)하노라. 조선국이 번(藩) 중에 제일 먼저 짐을 찾아와 충성을 서약하니 참으로 가상하다. 이에 너를 조선 국왕으로 명하고 인장(印章)을 내려 주노니 나라를 길이 보전하고 백성을 편안케 하라. 그 위(位)가 실로 어려우니 '게으르지 말고 거칠지 말아' 짐의 말을 하늘처럼 따르고 짐을 공경할지어다."
대명외교의 중대한 고비를 넘겼다. '정종 이방과가 죽었다면 합당한 이유가 되겠지만 살아 있으니 가당치 않다'라고 명나라에서 시비를 걸면 알아서 기어야 하는 형국인데 다행이었다. 무역이라는 이름 하에 말(馬)을 조공하라는 단서가 붙긴 했지만 그것은 왕위계승과 연결된 새로운 조건은 아니었다.
내치에 주력한 명나라, "이때가 기회다"
건문황제를 폐하고 황제에 오른 영락제는 변방을 챙기는 것보다 내치에 주력했다. 흩어진 민심을 수습하고 부패한 관리들을 숙청하는데 집중했다. 태종 이방원이 노린 것이 바로 이 기회였다. 위기를 기회로 활용하고 싶다는 것이 바로 이것이었다.
공식행사를 마친 태종은 명나라 사신을 위한 잔치를 태평관에서 베풀었다. 기쁜 마음으로 즐거운 자리를 마련했다. 그런데 환관태감 황엄의 행동이 거칠고 무례하기 짝이 없었다. 황제의 고명을 가지고 온 정사(正使)는 도지휘 고득인데 황엄이 정사를 무시하고 무엄하게 굴었다. 계급은 낮지만 황제의 최측근이라는 우월감이 작용한 것이다.
황제가 보낸 사신이기에 예를 다하여 대했지만 황엄의 무례한 행동은 도를 더해갔다. 정사를 무시하던 황엄이 자신이 황제인양 태종 위에 군림하려 들었다. 태종 이방원으로서는 용납할 수 없는 행동이었다. 비록 명나라에 머리를 조아리는 변방의 군주이지만 일국의 국왕으로서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었다. 이를 지켜보던 태종이 잔치를 일찍 파해버렸다.
수모를 당했다고 생각한 사신일행은 예법을 모르는 무식한 군왕이라 투덜대며 숙소 영빈관으로 돌아가 버렸다. 어떠한 외교 분쟁으로 비화할는지 모르는 사건이 터진 것이다. 대소신료들은 불안한 마음에 전전긍긍했다. 이튿날 명나라 사신 주윤단이 예궐했다. 항의성 방문겸 정보제공이었다. 사신 주윤단은 조선인이었다.
"지난번 사신으로 조선을 다녀간 온전(溫全)이 돌아와서 황제께 호소하기를, '조선 국왕이 뜻이 높아 남에게 굽신거리지 않은 성격으로 신을 거만스레 대접하였습니다. 이것은 폐하(陛下)께 향하는 정성이 박함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니, 황제께서 도리어 온전을 나무라기를, '네가 내신(內臣)으로서 마땅히 번왕(藩王)의 위에 앉아야 할 것인데 도리어 그 아래에 앉아서 마침내 그와 같이 만들었으니 국왕의 허물 뿐 아니라 네가 자취(自取)한 것이라' 하였습니다."
이제야 황엄이 무례하게 굴던 이유를 알 것 같기도 했다. 하지만 황제에게 머리를 조아리는 것은 스스로 할 수 있지만 황제가 보낸 사신을 위로 받들어 모시고 머리를 조아린다는 것은 자존심이 허락하지 않았다. 태종은 하륜을 불렀다. 명나라를 다녀온 후 처음 갖는 독대다.
"사신 따위가 군림하려 드니 도저히 묵과할 수 없다. 대명외교는 어떻게 풀어 나가야 하겠소?"
"외교란 쉽고도 어려운 법입니다. 어려운 일이라 생각하면 한없이 두렵고, 쉽다 생각하면 한없이 간단합니다.“
"쉬운 길로 갑시다.“
"외교도 역시 사람이 하는 일입니다. 사람이 하는 일이기에 위상과 관계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황제는 대륙에 앉아 계시고 전하는 조선에서 제자리만 지켜 주시면 외교는 아랫사람들이 하는 것입니다. 어제처럼 전하께서 툭 쳐주시는 것이 자리를 지켜주시는 것입니다. 나머지는 우리들 아랫 것들이 수습하고 메워 주고 안겨주는 것이 외교입니다."
"그렇군요. 어제의 일을 사과하려 했는데….“
"아니되옵니다. 전하께서 무너지면 저희들이 설 자리가 없어집니다. 황제께서는 전하께서 일직이 설파하신 것처럼 정상에서 내려가는 길을 조심스럽게 내딛는 시점입니다. 조선에 무리한 강수는 두지 않을 것이라 사료됩니다.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사신들만 잘 주무르면 만사형통하리라 생각합니다."
이때부터 일명 잔치외교의 전성시대가 펼쳐졌다. 조선에 오는 사신들에게 융숭하게 잔치를 베풀어 주고 돌아갈 때는 진귀한 선물을 한 아름 안겨 주었다. 기쁨 주고 안겨 주는 물량공세다. 금강산 구경을 다녀온 사신 일행에게 태종 임금이 태평관에서 잔치를 베풀었다.
뒤를 이어 하륜이 자신의 사저로 사신을 초치하여 융숭하게 대접하고 민제가 잔치대열에 합류했다. 또다시 임금이 청화정에서 잔치를 베풀고 태조 이성계가 태상전으로 초치하여 융숭하게 대접했다. 마지막으로 영빈관에서 환송연을 베풀어 사신을 환송했다. 그야말로 잔치의 연속이었다.
황엄 일행이 금강산 구경을 하는 동안 주윤단과 한첩목아는 자신들의 고향을 방문했다. 실로 눈물겨운 금의환향이었다. 그들은 힘없는 가정에 태어난 이유 하나로 개경에 잡혀와 생식기를 거세당하고 명나라에 조공된 남자 아닌 남자였다.
그들이 생식기를 털리고 압록강을 건널 때 배가 유난히 흔들렸다. 가벼워서 그랬는지 그들의 오열이 바람이 되어 그랬는지 알 수 없다. 압록강을 건너는 그들은 가난한 집안에 태어난 자신이 한없이 원망스러웠고 조국이 원망스러웠다. 조국이 힘이 없었기에 환자로 명나라에 끌려가 황제의 측근이 되어 조국을 방문했을 때 만감이 교차했을 것이다.
주윤단 일행이 고향을 방문하고 돌아온다는 소식을 접한 태종 이방원은 숭인문까지 직접 나아가 그들을 영접하고 위로했다. 그뿐만 아니라 그들의 족친 60여 명에게 관직을 제수하라 명했다. 또 주윤단의 고향 임주를 부로 승격하고 한첩목아의 고향 김제를 군으로 승격하라 명했다.
황엄 일행이 명나라로 돌아간 후, 또다시 사신일행이 들이닥쳤다. 명태조와 황비의 존호에 관한 예부의 자문을 가지고 환관(宦官) 전휴와 배정, 그리고 급사중(給事中) 마인이 입국한 것이다. 사신 사태다. 하지만 이것은 조선이 원하는 사태 발전이었다. 하륜이 명나라를 방문하여 가설한 핫라인이 작동한 것이다.
기생외교 시대의 개막
태평관에서 잔치를 베풀어주고 무일전에서 임금이 직접 잔치를 베풀어 주었는데도 사신은 불만이었다. 여자가 없다는 것이었다. 환관 출신 사신은 거세되었기에 여자를 밝히지 않았지만 급사중 마인은 환관이 아니었다.
"사평부(司平府)에 명하여 사신 마인에게 잔치를 베풀었다. 처음에 중국 사신이 오면 기생이 시침(侍寢)하는 것이 상사(常事)였는데 유사길이 받아들이지 않은 뒤로부터 이를 폐(廢)하였었다. 이때에 이르러 마인이 자진하여 받아들였다."
- <태종실록>
잔치외교에 이어 기생외교의 서막이다. 조선에 들어온 사신들에게 융숭하게 잔치를 베풀어 주고 어여쁜 기생을 안겨주어 시침(侍寢)을 들게 했다. 잠자리 시중이다. 기생 중에 이러한 임무를 전담하는 시침녀(侍寢女)가 별도로 있었다. 깐깐한 사신 유사길 이래 잠깐 끊어졌을 뿐이다.
대륙에서 입국한 사신들에게 기생을 안겨주는 일은 어제오늘의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었다. 하나의 관례였다. 더구나 고려조 이래 한반도를 드나드는 대륙의 사신들에게 반도 여자는 최고 인기였다. 나긋나긋하고 살가운 반도 여자는 입소문이 자자했다.
나라가 대륙에 약점을 잡혀 저자세면 한없이 낮은 자세로 봉사했고 동등하면 당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