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咸陽郡誌 / 宦蹟 自新羅,至于今,年代寢遠,累經 兵燹,文籍無徵故,無由得詳
新羅令忠 憲德王十四年,熊川都督憲昌,反▼(劦/貝)武珍,完山等州,爲己屬,完山長史崔雄,與令忠,遁走,至京告之,王,卽拜令忠速仚郡 太守位級食
崔致遠 致遠,寄海印寺希朗詩下,題防虜太監天嶺郡太守遏粲崔致遠,李朝顯廟朝庚戌,享于栢淵書院
高麗
宋希璟
李次若 崇仁之子
李恒茂
張群哲 沙斤城戰歿
朝鮮
崔德之 官至直提學,有德行,享于靈巖鹿洞書院
蔡倫
曺尙治
鄭從韶
金宗直 邑人,追慕,爲生祠顯廟庚戌,享于栢淵書院
申子橋
曺偉 坐戊午史禍,立祠金山
崔漢候 勸農興學,治化大行,邑人,追思立碑,官至大司諫
金對
金應詳
金允碩
+琴元福(증보)
琴元福 1480 1561 奉化 成之
退溪先生文集卷之四十六 / 墓碣誌銘 /
通訓大夫行沔川郡守琴公墓碣銘 幷序
甲辰(1544,중종39)。授咸陽郡守。是年秋。以檢災失實罷。
徐九淵 1552 남계서원 건립
+尹確
庚申年(1560,명종15)咸陽郡守尹確 春牟平貳拾石 中米平貳石 白米平伍石 甘漿▣貳瓮
▣…▣ 名臣言行錄十卷 田參㪷落 書傳十卷 畓▣…▣柒㪷落
▣…▣ 各壹口 奴彦▣ 婢白今
觀察使李戡 食鹽春秋拾貳石 泗川四石昆陽四石固城四石
명종실록 26권, 명종 15년1560 2월 7일 癸卯 3번째기사 1560년 명 가정(嘉靖) 39년 "경상도 관찰사 이감(李戡)이 치계하기를"
金宇弘 1564~1568
金宇弘 1522 1590 義城 勉夫 伊溪, 知足堂
甲子(1564,명종19)授咸安郡守->咸陽郡守
김우옹(金宇顒) 1540년(중종 35)~1603년(선조 36)
東岡先生文集附錄卷之四 / 年譜
四十三年甲子 先生二十五歲
四十四年乙丑 先生二十六歲
명종 21 1566 병인 嘉靖 45 27 退溪先生을 배알하다. ○ 〈天君傳〉을 짓다.
四十五年丙寅。先生二十七歲 拜退溪李先生。先生應擧赴洛。適李先生赴召。先生爲就謁而講學。開益甚多。 春。省太貞夫人于伯氏伊溪公咸陽任所。○夏。與吳德溪盧玉溪稹姜介庵翼。會講于濫溪書院。○遊西溪。溪在咸陽郡西。有泉石之勝。先生與仲氏開巖公沙溪公及姜介庵盧徒庵祼鄭梅村復顯諸賢遊。有唱酬詩。 作天君傳。南冥先生嘗撰神明舍圖。命先生作是傳。
金宇弘 1522 1590 義城 勉夫 伊溪, 知足堂
김진동(金鎭東) 1727년(영조 3)~1800년(정조 24)
素巖先生文集卷之五 / 遺事 / 從先祖伊溪公遺事
府君諱宇弘字勉夫。生于嘉靖壬午。丙午俱中生進。癸丑登文科。選槐院授翰林。庚申以兵曹佐郞。丁七峯公憂。廬墓三年。甲子(1564,명종19)授咸安郡守。莅官淸愼。一以興學善俗爲務。時大夫人就養于郡衙。弟開巖,東岡兩先生隨焉。公與之從遊於師友間。多見敬重。吳德溪日錄可見。玉溪盧先生穪其孝友。後拜羅州牧使。陞通政除永興府使。又除密陽府使。瓜未滿而歸。庚寅卒于知足堂。享年六十九。公嚴毅沉重。淸謹自守。累典大邑。不以一毫凂己。篤信好學。安履其素。一向鞱晦。不以名利得失經意。自號知足堂。又曰伊溪。羅州永興有遺愛碑。遺稿不傳。只有祭文一首。見德溪集附錄 子行可安峽縣監。子璋無后。有孽孫。
.......................
최흥벽(崔興璧) 1739년(영조 15)~1812년(순조 12)
蠹窩先生文集卷之十三 / 行狀 / 中直大夫咸陽郡守濯淸軒先生郭公行錄 乙卯
郭趪 1530 1569 玄風 景靜 濯淸軒
公諱趪。字景靜。姓郭氏。濯淸軒其號也。系出玄風。
戊辰(1568,선조1)。自禮安移陞咸陽郡守。
.......................
柳渠
金磧 執義
[문과] 김적(金磧)
김적(金磧) 불린(不磷) 미상(未詳) 1510 선산(善山) 초계(草溪)
[진사] 김적(金磧)
김적(金磧) 불린(不磷) 미상(未詳) 1496 선산(善山) 초계(草溪)
金磧 | 14?? | 15?? | 善山 | 不磷 |
강고집(江皐集) 유심춘(柳尋春)생년1762년(영조 38)몰년1834년(순조 34)자상원(象遠), 상수(象叟)호강고(江皐)본관풍산(豐山)특기사항정종로(鄭宗魯)의 문인. 강세백(姜世白), 이경유(李敬儒), 정필규(鄭必奎) 등과 교유
江皋先生文集卷之十四 / 墓碣銘 / 通訓大夫司憲府執義善山金公墓碣銘 幷序
公諱磧字不磷。高麗開國功臣門下侍中順忠公諱宣弓其鼻祖也。至諱兼始仕本朝。官府使贈判書。曾祖諱時露牧使贈領議政一善府院君。祖諱嶠兵曹判書。世祖朝以討李施愛功錄敵愾一等。成宗朝參佐理功臣封善山君。敎旨若曰金嶠之後。雖有罪犯。宥及永世。諡良襄公。 김교(金嶠) (1428~1480)
考諱秀嶸副護軍。妣興陽李氏。虞矦遇良之女也。有二子長諱碾副護軍。次卽公也。公蚤孤自植立。惟母夫人之敎是承。弘治丙辰(1496,연산군2)中司馬。正德庚午(1510,중종5)登文科。歷敭淸要。爲養出外。補盈德縣令,咸陽郡守。累官至執義。親歿之後不復仕進。養德邱園。以終天年。墓在陜川華陽洞乾坐之原。配坡平尹氏。司諫耕之女也。墓在公墓下。公承閥閱之世。襲忠孝之傳。其居家行誼。立朝風猷。必有累書不一書者。而兵燹之餘。文籍無存。幷與墓道之碣而俱亡焉。今無以攷其生卒之歲年。履歷之月日。况進於此者哉。獨有慕齋金先生安國撰公之妣李氏墓碑。盛稱其是母是子。而其銘有曰生也養歿也養。有子之賢也云爾。則慕齋一言可以信百世傳。亦無庸多爲也。公有二子。長曰世珪忠義衛。孫泗彰信校尉。曾孫夢芷忠義衛。玄孫嶷立生員。次曰世琰副護軍。孫仁玉忠義衛。信玉文科縣監。公之十世孫榮臣。方重營墓碣。以公世系履歷之槩。錄爲一通。跋涉數百里。屬尋春以文字之役。其爲先之誠。有不可孤者。謹撰次如右。系之以銘。銘曰。
赫世勳閥。傳家孝忠。公起孤童。厥名克豐。敭歷淸要。不顯其承。慕翁有言。百世是徵。
x尹確
...................
退溪先生續集卷之一 / 詩 / 咸陽。與主人金仲睟話舊。次東軒韻。贈之。
天嶺逢春氣已酣。故人喜作故鄕談。我今多病君猶甚。歸夢同懸小白南。
方丈山高接翠烟。荒城喬木不知年。割雞妙術君應得。詩老淸芬與共傳。
仲睟與余俱禮安人。而家在榮川。榮,禮皆小白山之南。詩老。指金季昷。
退溪先生文集攷證卷之八 / 續集第一卷詩 / 咸陽與主人云云
金仲睟 未聞
(註) 金季昷 卽佔畢齋。嘗爲咸陽宰。
.................
郭趪 1568~1569
退溪先生文集卷之五續內集 / 詩 / 挽郭咸陽
汗血臨千里。南圖擬萬程。宣城鸞去慕。天嶺鵩來驚。徹地慈親淚。咨天識友情。笑言如昨日。誰道隔幽明。
退溪先生文集攷證卷之三 / 第五卷詩 / 挽郭咸陽卽郭景靜。
汗血 (杜)驊駵作駒已汗血。註。大宛國多善馬汗血。
鸞去慕 (史)枳棘非鸞鳳所棲。公爲宣城。有去後思故云。
天嶺鵩來驚 天嶺。咸陽郡名。(賈誼鵩賦)鵩集于舍。野鳥入室。主人將去。○案郭卒於咸陽。
退溪先生文集卷之四十五 / 祝文祭文 / 祭郭侯 趪 文 代鄕人作
惟公。湖海之士。英俊之才。崛起南服。鵷鷺追陪。萬里雲程。逸駕臨早。連城隱璞。世莫知寶。爲捧毛檄。情深喜懼。我邑何幸。能來叔度。我禮爲邑。介處窮僻。地褊賦重。官私困阨。我公莅止。如旱得雨。我有疾痛。公藥而愈。我有苛痒。公手以撫。若燭破闇。姦蠹靡容。如春著物。枯瘁徧蒙。國有鉅需。民不知擾。事有掣肘。公竟善了。公馬骨高。我民腹鼓。民阜蓋藏。官溢帑庾。乃闢儒館。山高水長。多士興起。詠慕洋洋。召父杜母。民愛無疆。公將去邑。闔境遑遑。勒碑事末。安足表德。借寇非典。天門邈邈。惟願自今。得時大行。推我所專。俾及邦氓。遽又分符。天嶺蒼茫。陸出于歙。人歎翺翔。穎川報政。朝庶徵黃。何意彼蒼。不我憖遺。奪我福星。旅櫬嗟噫。哀哀北堂。樹萱疇依。壽夭仁鄙。一何舛違。殄瘁之痛。無祿之悲。朝野所同。舊民曷其。某等涵濡惠澤。煦被仁風。感銘違闊。山仰無窮。訃音忽至。奔走不時。物雖微薄。民誠一而。遠來哭薦。公豈不知。如聞音聲。如覩容儀。庶幾降歆。慰我民思。嗚呼哀哉。
최흥벽(崔興璧) 1739년(영조 15)~1812년(순조 12)
蠹窩先生文集卷之十三 / 行狀 / 中直大夫咸陽郡守濯淸軒先生郭公行錄 乙卯
郭趪 1530 1569 玄風 景靜 濯淸軒
公諱趪。字景靜。姓郭氏。濯淸軒其號也。系出玄風。
戊辰(1568,선조1)。自禮安移陞咸陽郡守。將行縣物不以一毫自隨。行李蕭然。其治咸一如治禮。吏戢而民安。己巳(1569,선조2)春。以巡使差員。行到三嘉。偶得疾捐舘。享年四十。諸孤奉櫬。返葬于本縣西迲本山艮坐原。從先兆也
곽황(郭趪)
[문과] 명종(明宗) 11년(1556) 병진(丙辰) 별시(別試) 을과(乙科) 1[亞元]위(02/12)
자(字) 경정(景靜)
본인본관 현풍(玄風)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선발인원 12명 [甲1・乙2・丙9]
전력 유학(幼學)
관직 군수(郡守)
[부(父)]
성명 : 곽지정(郭之貞)
[조부(祖父)]
성명 : 곽거(郭琚)
[증조부(曾祖父)]
성명 : 곽승양(郭承陽)
[외조부(外祖父)]
성명 : 엄한백(嚴漢伯)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이심(李審)
본관 : 미상(未詳)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七(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
李長榮 1582~1584
李長榮 1521 1589 咸平 壽卿 竹谷
壬午(1582,선조15)。除咸陽郡守。甲申(1584,선조17)。拜星州牧使。
安鴻 立碑
徐起逸
鄭熙龍 立碑
鄭藩
李彥讓 有善政碑
李軸
李軸 1538 1614 全州 子任 沙村 安襄 完山府院君
泰村先生文集卷之六 / 附錄 / 行狀[權相一]
其在咸陽時。有一宰相曾經是郡者。責其不送銀唇。答書戲之曰。丙戌丁亥(1587,선조20)年間。有一饞太守。絶種打食。故不產耳。竟不送。其狷介不苟循人。多類此。噫。
泰村先生文集卷之五 / 效嚬雜記下 / 餘話
[天嶺郡有銀口魚]
丙戌丁亥(1587,선조20)年間。李完山爲天嶺太守。時物力殷富。有東西兩魚箭。故銀口魚不可勝食也。辛丑(1601,선조34)秋。余莅此郡。時經亂未久。邑僅十室。寸罟難備。不得嘗一尾。而完山折簡責其不送。余戲答曰。到郡問于父老。則皆曰。丁亥年間。有一饞太守。絶種打食。故不産耳。完山答曰。郡之有銀唇。猶連之有鍾乳也。郡人告盡。是必兄之政治不及前人故然耳。答辭甚好。可謂直門也
고대일록 제2권 / 갑오(甲午, 1594) / 겨울 11월
○ 11월 22일 병신(丙申) 나와 지부(志夫)가 도헌(都憲) 김동강(金東岡)을 찾아뵙고 한참 동안 모시고 이야기를 나누었다. 완산군(完山君) 이축(李軸) 성주(城主)의 댁(宅)을 찾아갔으나 만나지 못하였다.
金潤國
己丑(1589,선조22)八月二十日代禹受任峕新差鄕任未出而僉議謂院有司不可人人而授之遂稟于金城主潤國竟得蒙許九月初一日始行任癸巳(1593,선조26)二月日病終于家<부보록>
李薲
尹景期
x李覺
고대일록 제2권 / 갑오(甲午, 1594) / 여름 4월
○ 4월 3일 신해(辛亥) 상사(上舍) 정준민(鄭俊民)과 서로 이야기를 나누었다. ○ 성주(城主) 이각(李覺)이 성중에서 갑자기 죽어 처자(妻子)들이 의지해 돌아갈 곳이 없다고 하니, 슬프도다.
夏四月 己酉朔余氣漸蘓私喜喜鄭士古姜周瑞渭瑞致書問疾
二日庚戌路遇禹仲平盧景承暫話
三日辛亥與上舍鄭俊民相話○聞李城主覺暴死于城中妻子無所依歸可哀
丁景達
고대일록 제2권 / 갑오(甲午, 1594) / 가을 7월
○ 7월 12일 무자(戊子)
○ 장흥(長興)에 사는 정경달(丁景達) 공(公)이 군수(郡守)에 제수되었다고 한다.
李慤
고대일록 제1권 / 계사(癸巳, 1593) / 가을 7월
○ 7월 19일 신미(辛未)
체찰사(體察使) 유성룡(柳成龍)은 함양 군수가 늙고 병든 문관(文官)이어서 변란의 시기에 합당하지 못하다 하여, 왕에게 장계를 올려 파직하고 전 곤양 군수(昆陽郡守) 이각(李慤)을 대신 임시 장수로 삼았다.
○ 7월 22일 갑술(甲戌)
○ 새로 가장(假將)으로 임명된 이각(李慤)이 부임해 왔다.
黃大鵬
고대일록 제1권 / 계사(癸巳, 1593) / 가을 9월
○ 9월 13일 갑자(甲子)
새로 부임한 수령 황대붕(黃大鵬)이 관아에 당도했다. 수령은 강동(江東) 사람이다. 가장(假將) 이각(李慤)이 얼굴빛이 변하여 걱정하고 고민하니, 가소롭다.
李希伋 立碑
고대일록 제2권 / 갑오(甲午, 1594) / 가을 8월
○ 8월 12일 정사(丁巳) 새 수령으로 이희급(李希伋)이 제수되었다고 한다.
고대일록 제2권 / 갑오(甲午, 1594) / 가을 9월
○ 가을 9월〔秋九月〕1일 병자(丙子) 내암(來庵) 선생이 당상관(堂上官) 품계에 오르셨다고 한다. 선생의 공로가 가장 큰데도 이제야 마침내 승자(升資)하셨으니, 세태가 한탄스럽다. ○ 새로 온 수령 이희급(李希伋)이 취임하였다. 성주는 나와 오랜 교분이 있고, 또한 먼 친척으로 각별한 관계이다. ○ 비가 내렸다. ○ 나는 성주(城主)를 찾아뵈었다. ○ 보리를 갈았다.
고대일록 제4권 / 을사(乙巳, 1605) / 봄 3월
○ 3월 3일 정축(丁丑) 향회(鄕會)에 갔다. 이후 희가(李侯希仮)의 청덕추모비(淸德追慕碑)를 세우는 것에 대해 모여서 의논했다. 이후(李侯)가 죽은 지 오래되었지만, 아직도 백성들이 추모하고 참다운 선정(善政)을 잊지 못하였다.
이후 희가(李侯希仮)의 청덕추모비(淸德追慕碑)->이후 희급(李侯希伋)
趙宗道 丁酉倭亂收義兵,入黃石山城死之肅廟朝,享于安義黃巖忠烈祠
조종도(趙宗道) 1537년(중종 32)~1597년(선조 30)
선조 29 1596 병신 萬曆 24 60 봄, 淸風 府使에 제수되었으나 병으로 나아가지 않다. ○ 가을, 咸陽 郡守가 되다. 중국 군대가 湖南에서 함양에 이르자 饋餉하다.
선조 30 1597 정유 萬曆 25 61 봄, 왜적이 다시 침범하자 安陰 縣令 郭䞭과 협력하여 黃石山城을 쌓다. ○ 병으로 사직하고 妻子와 함께 황석산성에 들어가다. ○ 8월 18일, 왜적이 산성을 함락하자 殉死하다. 夫人도 뒤따라 순사하고 子 趙英漢은 포로로 잡혀가다. 子 趙英混이 성 밖에 임시로 장사 지내다. ○ 司僕寺 正에 증직되다.
선조 31 1598 무술 萬曆 26 - 4월, 賜祭하다. ○ 8월, 趙英漢이 일본에서 귀환하여 晉州 召南 梧里洞에 장사 지내다.
숙종 41 1715 을미 康熙 54 - 安陰縣 黃巖書院에 享祀되다.
盧允中
朴大修
安大勛
洪德元
李天樞
고대일록 제3권 / 경자(庚子, 1600) / 가을 7월
○ 가을 7월〔秋七月〕임인(壬寅)
나는 강경정(姜景靜)과 헤어진 후에 우항(牛項 쇠목)으로 갔다. ○ 강위서(姜渭瑞)가 나를 찾아왔기에 함께 우항으로 갔다. 박원일(朴元日)의 집을 부수고, 고을에서 내치는 것은 군수의 지나친 처사라고 말했다. ○ 기러기 소리를 들으니, 마침내 서리 내리는 가을이 멀지 않았음을 알겠다.
○ 7월 3일 계묘(癸卯) 군수 이천추(李天樞)가 도착하여 부임했다. 이는 무변(武弁)이다.
秋七月 壬寅朔姜景靜別我往牛項○姜渭瑞訪余偕往牛項毁 朴元日之家黜鄕以言倅之過○聞鴈聲始知霜秋之不遠
三日癸卯郡守李天樞到任李武弁也
고대일록 제3권 / 신축(辛丑, 1601) / 여름 6월
○ 6월 4일 경오(庚午) 이에 앞서 이천추(李天樞)의 첩은 바로 좌의정 이헌국(李憲國)의 계집종이었다. 그 첩이 헌국에게 뇌물을 바치고서 사정사정하여 벼슬을 제수받았기 때문에, 그 첩이 제멋대로 행동하였다. 이천추는 권세가에 아첨하여 섬기고 백성의 고혈을 빨았다. 부임한 이후에 계집종과 왜적의 말을 사면서도, 조금도 두려워하거나 거리낌이 없었다. 천추(天樞) 같은 자는 헤아려볼 것도 없을 터이지만, 헌국의 사람됨은 도신(盜臣)보다 나을 바가 무엇이겠는가.
高尙顔
고상안(高尙顏) 1553년(명종 8)~1623년(인조 1)
고대일록 제3권 / 신축(辛丑, 1601) / 여름 6월
○ 6월 8일 갑술(甲戌) 새로운 수령에 고상안(高尙顔)이 임명되었다는 것을 들었다.
고대일록 제3권 / 신축(辛丑, 1601) 가을 8월
○ 8월 3일 무진(戊辰) 새로 온 수령 고상안(高尙顔)이 성에 들어왔다. 나는 까닭이 있어 들어가서 뵙지 못하였다.
고대일록 제3권 / 신축(辛丑, 1601) / 겨울 12월
○ 12월 20일 계미(癸未) 성주(城主)가 서원(書院)으로 향한다고 하기에 나는 힘껏 달려갔다. 성주는 사당에 배알한 뒤에 안음(安陰)에 가서 세 고을의 사회(射會)에 참관하였다.
○ 12월 24일 정해(丁亥) 수령이 거창(居昌)에 가서 활쏘기를 참관하였는데, 함양(咸陽)과 안음(安陰)이 이겼다는 말을 들었다. 비록 재주는 떨어진다고 하지만 오히려 다른 고을을 이겼다.
선조 35 1602 임인 萬曆 30 50 咸陽 郡守가 되다.
선조 39 1606 병오 萬曆 34 54 蔚山 判官이 되다. 文敎가 행해지지 않다는 이유로 사직하고 귀향하다.
고상안(高尙顏) 1553년(명종 8)~1623년(인조 1)
泰村先生文集卷之四 / 效嚬雜記上 / 叢話
[目見亂後窮乏狀]
亂離之後。各邑官舍。鮮有全者。爲遭兵火也。辛丑(1601,선조34)秋。余赴含城。時經亂未久。蕭蕭草屋四五間而已。嫌其隘陋。久思完全之邑也。丁未(1607,선조40)夏。偶得基川(풍기군)。倭寇未到處也。官舍俱存。而物力殫竭。鋪陳之難。甚於童羖。反不如隘陋處之便好也。又平日乞縣。皆於山野之處。偶得海物。恨不豐饒。每思近海之邑也。去年冬。除蔚州。纔得到官。腥氣擁鼻。遽生反胃之證。冀食山野之物而亦不可得。然後知天下萬事。耳聞不如目見。臆料不如經驗也
泰村先生文集卷之五 / 效嚬雜記下 / 餘話
[天嶺郡有銀口魚]
丙戌丁亥(1587,선조20)年間。李完山爲天嶺太守。時物力殷富。有東西兩魚箭。故銀口魚不可勝食也。辛丑(1601,선조34)秋。余莅此郡。時經亂未久。邑僅十室。寸罟難備。不得嘗一尾。而完山折簡責其不送。余戲答曰。到郡問于父老。則皆曰。丁亥年間。有一饞太守。絶種打食。故不産耳。完山答曰。郡之有銀唇。猶連之有鍾乳也。郡人告盡。是必兄之政治不及前人故然耳。答辭甚好。可謂直門也
柳舜懋
고대일록 제4권 / 을사(乙巳, 1605) / 봄 2월
○ 2월 9일 계축(癸丑) 비가 내렸다. 역사(役事)를 진행할 수 없었다. ○ 오후에 수령이 와서 만났다.
신임(新任) 수령은 바로 무부(武夫) 유순무(柳舜懋)였다.
고대일록 제4권 / 병오(丙午, 1606) / 봄 2월
○ 2월 21일 경신(庚申) 수령을 뵈었다. 수령이 부임해 온 지 이미 한 해가 지났는데 이제야 비로소 만나보았다.
+尹訒
고대일록 제4권 / 병오(丙午, 1606) / 가을 8월
○ 8월 13일 기유(己酉) 수령 윤인(尹訒)이 6일에 부임하였다. 정사를 다스림이 밝고 간결하며, 시작과 끝이 한결같으니, ‘선정(善政)’이라고 이를 만하다.
고대일록 제4권 / 기유(己酉, 1609) / 봄 정월
정언(正言) 윤인(尹訒)은 또 윤국형 등 7명이 나랏일을 그르친 죄가 많음을 탄핵하여 아뢰었다.
朴承業
*선조실록 218권, 선조 40년1607 11월 19일 무신 4번째기사 1607년 명 만력(萬曆) 35년
이상신(李尙信)을 경상도 관찰사로, 박승업(朴承業)을 함양 군수(咸陽郡守)로, 윤홍(尹宖)을 금교 찰방(金郊察訪)으로 삼았다.
○以李尙信爲慶尙道觀察使, 朴承業爲咸陽郡守, 尹宖爲金郊察訪。
*고대일록 제4권 / 정미(丁未, 1607) / 겨울 12월
○ 12월 4일 임술(壬戌) ○ 새로 온 수령 박승화(朴承華)가 죽산(竹山)에 거처를 정했다고 한다. 新倅朴承業居竹山云
○ 12월 6일 갑자(甲子) 새로 온 수령 박승화(朴承華)가 20일 후에 출관(出官)할 것이라는 소문을 들었다. 六日甲子聞新倅朴承業念後出官云
○ 12월 27일 을유(乙酉) 새로 온 수령 박승화(朴承華)가 상관(上官)하였다. ○ 노경후(盧景厚)가 찾아와 이야기하였다. ○七日乙酉新倅朴承業上官
x朴慶業
洪純慤
庚戌(1610,광해군2)正月初一日戊寅。○十月初二日癸酉。○入見新太守。太守姓洪名純慤。淸州人。<感樹齋先生文集卷之六 / 雜著 / 從仕日記>
李覽
李大期
李成吉
1615(광해군7) 하맹보(河孟寶)[1531~1593] <旌門行錄> 撰
林㥠
萬曆丁巳(1617,광해군9)八月上澣。通政大夫行咸陽郡守,晉州鎭管兵馬,同僉節制使林㥠。謹識。
<林白湖集跋>
尹衡彦
南以星
尹侊
李志和
李▼((戶+攵)/山)
崔山輝 有善政碑
李仁傳
權審中
인조19년(1641) 慶尚道觀察使具鳳瑞馳報。備稱咸陽郡守李仁厚牒呈。
李仁後(재임1639,인조17~인조21,1643)
松坡 李海昌(1599~1655)
이해창(李海昌) 1599년(선조 32)~1655년(효종 6)
松坡集卷之一 舍人李海昌著 / 序 / 咸陽郡先生案序
歲己卯(1639,인조17)春正月。家親(李仁後)出宰是郡。粤明年(1640,인조 18) 夏之季。余自忠原。蒙釋來覲。索先生案。則丁酉兵禍之後。廢之久矣云。
至癸未(1643,인조21)暮春。觀察使林公墰。宣風到郡。適與相遇。慼見容色。恩撫故吏。而爲余道追感之意。因命郡吏曰。速作案。案不可無也。又屬余曰。此事敢委之吏輩乎。子可釐正之。余旣有意。聞言卽諾。
何則自丁酉至今。計四十有七年(1643,인조21)矣。
신증동국여지승람 제36권 / 전라도(全羅道) / 영광군(靈光郡)
《대동지지(大東地志)》【연혁】 인조 7년(1629) 현으로 강등시켰다. 이 고을 사람 이극규(李克揆)의 역모로 인한 옥사 때문이다. 16년(1638)에 다시 승격시켰다.
인조 17 1639 기묘 崇禎 12 41 5월, 영덕에서 忠州로 移配되다. ○ 〈循環錄序〉를 짓다.
인조 18 1640 경진 崇禎 13 42 5월, 석방되어 돌아오다. ○ 7월, 〈送將歸辭〉 시를 짓다.
인조 19 1641 신사 崇禎 14 43 2월, 咸陽에서 雲峰 實相村으로 移居하다.
인조 22 1644 갑신 順治 1 46 2월, 부수찬이 되다.
鄭弘溟 以大司成來,以大提學去
기암집(畸庵集) 정홍명(鄭弘溟) 1582년(선조 15)~1650년(효종 1)
인조 21 1643 계미 崇禎 16 62 대사성에 제수되었다가 咸陽 郡守가 되다.
인조 24 1646 병술 順治 3 65 임기를 마친 뒤 양관대제학 겸 지성균관사에 제수되었으나 병으로 사직하고 귀향하다.
朴守文 有淸德善政碑
李長英
李長英 | 1610 | 1677 | 全州 | 子華 |
藥泉集第二十 / 墓碣銘 / 尙州牧使李公墓碣銘
승정원일기
1 | 인조 26년 무자(1648, 순치) | 2월 | 8일(계유) 맑음 | 정사가 있었다 | |||||||||||||||
이장영(李長英)을 함양 군수(咸陽郡守)로, 김염조(金念祖)를 안산 군수(安山郡守)로, 이숙진(李淑鎭)을 함창 현감(咸昌縣監)으로, 허색(許穡)을 분승지(分承旨)로, 조형(趙珩)을 군기시 정으로 삼았다. 제용감 정 이후기(李厚基) | |||||||||||||||||||
2 | 인조 26년 무자(1648, 순치) | 2월 | 17일(임오) 아침에 흐리고 저녁에 눈 옴 | 인동 부사 윤형 등이 하직하였다 | |||||||||||||||
인동 부사(仁同府使) 윤형(尹珩), 함양 군수(咸陽郡守) 이장영(李長英), 영광 군수(靈光郡守) 최탁(崔琢), 함창 현감(咸昌縣監) 이숙진(李淑鎭)이 하직하였다. |
李之華
李銘立
李之馨
權碖
元植
崔文活
權諔
趙錫祿 政尙寬和,民多去後之思
兪命益
南夢賚
남몽뢰(南夢賚) 1620년(광해군 12)~1681년(숙종 7)
현종 12 1671 신해 康熙 10 52 1월, 사정이 되다. ○ 4월, 咸陽 郡守가 되다.
현종 14 1673 계축 康熙 12 54 2월, 晉州 牧使가 되다.
숙종 7 1681 신유 康熙 20 62 겨울, 興陽으로 유배되다. ○ 11월 15일, 다시 拿命을 받고 올라가던 도중 南原에서 자결하다.
金斗翼 實德在民
權讓 勸農崇學,政多遺愛
현종 15 1674 갑인 康熙 13 24 咸陽 郡守인 부친의 임소에 가서 두류산을 유람하다.
수초당집(遂初堂集) 권변(權忭)생년1651년(효종 2)몰년1726년(영조 2)자이숙(怡叔)호수초당(遂初堂), 경곡(瓊谷)본관안동(安東)시호문정(文貞)특기사항조태로(趙泰老), 조태채(趙泰采), 이만성(李晩成) 등과 교유
遂初堂先生集卷之一 / 詩○七言古詩 / 頭流山
歲甲寅。
현종 | 15 | 1674 | 갑인 | 康熙 | 13 | 24 | 咸陽 郡守인 부친의 임소에 가서 두류산을 유람하다. |
家君作咸陽宰。咸卽頭流餘脉。趨庭之餘。試一登玆山。寓目競秀爭流之地。余志也。世宂纏縛。久違仙賞。南望靈區。恨無由腋生羽。徒悒悒有日。伯父適自咸陽。袖一篇出眎。乃頭流歌也。讀之終篇。怳如峯巒溢目。煙霞滿空。欹枕吟咏。睡睫矇矇。夢到一山。山奇而壯。水淸而激。氣象萬千。殆不可爲狀。俄而蘧然覺。乃一枕上夢。遂起而記。
昔聞方丈山。浮在金鰲脊。煙濤隔渺茫。終古信難覿。何年夸婦弄神斧。割移峯巒驚海若。驅巖走石壓厚坤。千嶂萬峀奇奇怪怪兮。形勢蜿蜒而磅礴。玆山秀拔竦處尊。俯視萬里兮。杯棬渤海兒孫泰嶽。偉哉造化翁之豪縱也。燁如晴天之散花。雄如深林之虎伏。控海跨嶺不知其幾百里兮。列邑碁布枕其脚。連峯疊巘崢嶸而突兀兮。天上星辰手可摘。層崖絶壁環擁而幽邃兮。秀氣蔥蘢凝紫碧。飛泉嘖薄石溪吼。白日雷霆驚萬壑。名區處處佳可賞。寶塔琳宮湧山谷。藤蘿蔽日石路細。去來遊人。攀石穿林迷所適。天王峯般若峯。峯上五月冰始消。花卉晩榮而紅碧兮。黃葉先秋落母子巖。巖最高俯視人間。霹靂嬰兒哭鶴巢菴。鶴巢菴中有老僧。厖眉而皓首兮。揮麈談經竆曛旭。桂樹蒼蒼竹實離離兮。時有五色飛來雀。瑤草萋萋琪花灼灼兮。日暖蒼崖眠白鹿。日月之臺嵯峨。峻拔削如掌。借問雷斧鬼斤。經營爲誰鑿。最是絶頂。可望不可到。古老相傳眞仙之所宅。飈輪羽蓋往往而來遊兮。赤城仙子滄洲客。我欲往造乎其間。自非身具羽翼。那得躡仙跡。心怊悵望頭流。頭上日月流。水促淸溪。昨夜夢身化靑田鶴。翩翩羽衣輕。淸風駕兩腋。飛上頭流上上峯。東挹扶桑之朝光。西挹昧谷之暮色。胷襟灑落極遐眺。萬象森羅供遠目。獨立層巖發長嘯。元氣鴻濛宇宙窄。玉沙珠潭瑩澈而無底兮。洗盡胷塵十萬斛。靑鸞飛舞而翺翔。瓊桃亂落而芬馥。仙之君兮笑相逆。慰我久滯人間謫。飮以瓊漿一杯復一杯。握手共說三生昔。君身倘非有仙骨。此地此遊君何得。玉編丹書授我再三讀。紫府他時留一約。蘧蘧蝴蝶倏化而爲周兮。覺后煙霞滿枕席。仙山如此久未往。應是仙壇舊侶招我歸來速。回首乾坤落花忙。古往今來眞一刻。吾胡爲乎在人世。爲歌頭流歌數曲。頭流山山萬重。願一登臨望八極。
柳晉昌
尹▼(艹/選) 有淸德碑
姜弼周 政多淸簡,邑人追思
吳命說
李光翼
沈轍
李夢錫
鄭堥 有善政碑
李恒
趙持正
金鏜
張世南
李會元
申奎
李萬吉 有善政碑
李鼎華
鄭重基
李相周
尹樟 有善政碑
李熙疇 有善政碑
승정원일기 476책 (탈초본 25책) 숙종 39년 3월 15일 임진 25/27 기사 1713년 康熙(淸/聖祖) 52년
尹陽來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 吏曹, 以尹陽來爲司書,
柳泰明爲執義, 洪致中爲兼司書, 李熙疇爲咸陽郡守,
洪禹傳 有善政碑
李洙
李雨臣
洪禹采
趙駿命 有善政碑
辛致復
朴師漢 有善政碑
李誠躋 有善政碑
승정원일기 > 영조 > 영조 4년 무신 > 4월 22일 > 최종정보
영조 4년 무신(1728) 4월 22일(임인) 맑음
04-04-22[02] 함양 군수(咸陽郡守) 이성제(李誠躋) 등이 하직하였다
함양 군수(咸陽郡守) 이성제(李誠躋)와 용진 만호(龍津萬戶) 하한청(河漢淸)이 하직하였다.
金宇集
승정원일기 전체 (3)
1 | 영조 4년 무신(1728, 옹정) | 9월 | 14일(신유) 맑음 | 이비와 병비의 관원 현황과 계 및 관직 제수 내용 | |||||||||||||||
감찰로, 조명종(曺命宗)을 사복시 주부로, 한덕전(韓德全)을 종부시 정으로, 서종옥(徐宗玉)을 겸문학으로, 원백규(元百揆)를 여주 목사(驪州牧使)로, 김우집(金宇集)을 함양 군수(咸陽郡守)로, 정세장(鄭世章)을 아산 현감(牙山縣監)으 | |||||||||||||||||||
2 | 영조 4년 무신(1728, 옹정) | 9월 | 24일(신미) 맑음 | 함양 군수(咸陽郡守) 김우집(金宇集) 등이 하직하였다 | |||||||||||||||
3 | 영조 4년 무신(1728, 옹정) | 9월 | 24일(신미) 맑음 | 함양 군수(咸陽郡守) 김우집(金宇集) 등이 하직하였다 | |||||||||||||||
함양 군수(咸陽郡守) 김우집(金宇集), 홍산 현감(鴻山縣監) 조명재(曺命宰), 청양 현감(靑陽縣監) 이형옥(李馨玉)이 하직하였다. |
金 洸 陞府
승정원일기 영조 6년 경술(1730) 8월 11일(정미) 비 김광(金洸)을 함양 부사(咸陽府使)로 삼았는데 부사(府使)로 승진시키라는 승전을 받든 것이다.
沈瑎
許晶
崔命柱
李義翼
승정원일기 영조 12년 병진(1736) 6월 2일(을축) 맑음 이의익(李義翼)을 함양 부사(咸陽府使)로,
柳純章
禹夏亨
柳濬
趙徽
金應魯
승정원일기 933책 (탈초본 51책) 영조 17년 7월 22일 갑신 2/14 기사 1741년 乾隆(淸/高宗) 6년 ○ 下直, 咸陽府使金應魯,
승정원일기 952책 (탈초본 52책) 영조 18년 12월 20일 을사 12/12 기사 1742년 乾隆(淸/高宗) 7년 咸陽府使金應魯, 燕岐縣監尹東奭, 栗峯察訪朴奎壽, 竝罷黜, 何如? 傳曰, 允。
金致龜
승정원일기 954책 (탈초본 52책) 영조 19년 2월 20일 갑진 2/15 기사 1743년 乾隆(淸/高宗) 8년 ○ 下直, 咸陽府使金致龜, 比安縣監柳徵。
*1744 영조 20 갑자 10;14 김재로 친족인 김응로와 김치구의 역임을 비난
*金在魯 1682 1759 淸風 仲禮 淸沙 忠靖
김치인(金致仁)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영의정 김재로(金在魯)의 아들로, 여러 번 영의정을 지내며 정조의 명으로 당쟁의 조정에 힘씀. 전고(典故)에 정통하여 1785년(정조 9)에 《대전통편(大典通編)》 편찬을 주관함.
승정원일기 993책 (탈초본 54책) 영조 21년 10월 19일 정사 8/15 기사 1745년 乾隆(淸/高宗) 10년
○ 又以兵曹言啓曰, 前後捕廳從事官, 自兵曹從重決棍事, 命下矣。依傳敎, 辛酉以後從事官趙衍福·.....咸陽府使金致龜, 全州營將鄭益良, 雲山郡守柳懋, 寧遠郡守鄭運喆, 德源府使李再新, 長淵府使沈義希, 郭山郡守尹聖五, 竹山府使朴台炡, 靈巖郡守李守彬, 大丘營將金浣, 甲山府使魚有珪, 礪山府使李漢範, 仁同府使李宜泰, 淸州營將李顯升, 德川郡守崔定, 巨濟前府使具鼎煥等, 俱在任所, 李若欽, 以江界府使軍官, 時在江界云, 自各其道監營, 決棍啓聞事知委之意, 敢啓。傳曰, 知道。
영조실록 100권, 영조 38년 7월 17일 丁丑 1번째기사 1762년 청 건륭(乾隆) 27년
임금이 건명문(建明門)에 나아가 김치귀(金致龜)를 친히 신문하였는데, 김치귀가 승복하지 않으니, 특별히 일률(一律)146) 을 감하여 대정현(大靜縣)에 충군(充軍)토록 하였다.
[註 146] 일률(一律) : 사형.
○丁丑/上御建明門, 親問金致龜, 致龜不服, 命特貸一律, 大靜縣充軍。
*導哉日記 戒逸軒日記 雜記(한국사료총서 제42집) > 戒逸軒日記 > 戒逸軒日記 > 甲申 *1764(영조40, 갑신) 五月 初八日
金致龜之所坐, 雖殺之無赦, 而究其事則不過無識儱侗, 只知一慾字者也. 今當邦慶, 今予不諭何時可放, 特爲中途减等
朴良藎
승정원일기 1006책 (탈초본 55책) 영조 22년 7월 4일 무술 3/20 기사 1746년 乾隆(淸/高宗) 11년 ○ 下直, 咸陽府使朴良藎, 奉化縣監尹光蘊, 金堤郡守李箕重。
李思述
朴時佐 有磨崖碑
金柱翼 洸之子
趙惠慶 有磨崖碑
沈鍏
許浹
洪夏疇
尹重淵
李壽弘
金養慶 有磨崖碑
聾窩遺稿卷之二 *일두 8세손 정중헌 聾窩 鄭重獻 1698숙종24 1781정조5 河東 文述
祭金侯 飬慶 文 丁亥(1767,영조43)秋候歿于官及柩歸與同里士友祭之
徐好進
韓師吉
승정원일기 1299책 (탈초본 72책) 영조 45년 12월 18일 병인 5/13 기사 1769년 乾隆(淸/高宗) 34년 韓師吉爲咸陽府使,
朴載文
李燁
權璹
李殷昌
申鴻周
金樂豊
李膺運
李漢籌
任希雨
李得駿 成吉之六世孫
일성록 정조 10년 병오(1786) 4월 11일(갑신) 이득준(李得駿)을 함양 부사(咸陽府使)로 삼았다.
張集紹
金魯岳
金思䄷
정조실록 28권, 정조 13년(기유년) 12월 25일 丙子 2번째기사 1789년 청 건륭(乾隆) 54년
경상도 관찰사 이조원이 함양의 환곡 폐단을 아뢰니 하교하다
○慶尙道觀察使李祖源馳啓言: "咸陽反逋, 至於三萬七千石零。 丙午(1786,정조10)府使李得駿、丁未(1787,정조11)府使張集紹、戊申(1788,정조12)郡守金魯岳等, 因循掩置, 徒擁虛簿之罪。 請令攸司稟處。" 敎曰: "本郡還弊, 曾雖聞之, 一邑三萬包積逋, 是豈數倅之不察, 則所謂現告, 未必信然。 不可捧與可捧, 令道伯, 區別年條, 更令狀聞。 朝家深軫還多之弊, 耗條之發賣盡分爲半分, 出於爲民蘇瘼之擧, 朝令之宣布已久。 此倅莅任半年, 今始報營, 其爲掩置之罪, 反有甚於前諸倅。 此邑若此, 他邑可知。 當該守令金思䄷, 先罷後拿, 一以信朝令, 一以除民弊。"
鄭東閔
尹光碩
宋煥章
趙命喆
金履錫
金相穆
퇴어당유고(退漁堂遺稿) 김진상(金鎭商)생년1684년(숙종 10)몰년1755년(영조 31)자여익(汝翼), 태백(太白)호퇴어(退漁)본관광산(光山)특기사항이천기(李天紀), 이기진(李箕鎭), 이규진(李奎鎭), 민우수(閔遇洙) 등과 교유 *沙溪 金長生의 玄孫 *저자의 손자 金相穆이 1805년 咸陽 郡守로 있으면서 김상정이 정리한 稿本을 그대로 가져다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초간본》 識(金相穆 撰) 歲乙丑仲夏。不肖孫相穆。謹書。
순조 5 1805 을축 嘉慶 10 - 손자 金相穆이 목판으로 문집을 간행하다.
南周獻
尹定鎭 有去思閣
金芝淳 有善政碑
金箕弼
沈能定
金鑢
李憲周 有善政碑
李晦淵 有善政碑
李晦淵莅郡數朔而遞。然公之書謄寫以去。
金履錫 有善政閣
金履綱 有善政碑
국역) 왕산지 : 王山誌 / 시조왕 유허비 사실
함양관청에서 영문에 보고한 글 병술(丙戌:1826) 2월 2일 / 군수 김이강(金履鋼)
使君惟故舊。行子蹔周章。時金履鋼綱哉。作宰歷訪。
눌와(訥窩) 이약열(李若烈)생년1765년(영조 41)몰년1836년(헌종 2)자겸회(謙會)본관성주(星州)
영조 41 1765 을유 乾隆 30 1 2월 30일, 丹城 江樓里에서 태어나다.
〈記遊九十五韻〉은 지인들과 함께 山陰, 大浦, 黃岡 등을 유람하고 읊은 장편시로서, 필요할 경우 詩句의 말미에 내용을 보충 설명하는 自註를 첨부하였다. 數是二三過。年皆七十量
"승정원일기 2198책 (탈초본 112책) 순조 25년 12월 14일 병인 14/27 기사 1825년 道光(淸/宣宗) 5년
○ 有政。 吏批, 金履綱爲咸陽郡守。
승정원일기 2222책 (탈초본 113책) 순조 27년 10월 21일 계사 20/23 기사 1827년 道光(淸/宣宗) 7년
○ 又以義禁府言達曰, 慶尙監司鄭基善狀達判付內, 守令先罷後拿事, 令下矣。 當該守令咸陽郡守金履鋼時在任所云, 依例發遣府羅將拿來, 何如? 令曰, 待待令拿囚。
승정원일기 2223책 (탈초본 113책) 순조 27년 11월 22일 계해 15/17 기사 1827년 道光(淸/宣宗) 7년
○ 義禁府申目, 咸陽前郡守金履鋼原情云云。 判付內辭緣, 泛稱遲晩, 刑推得情, 何如? 判付達, 除刑推議處爲良如敎。
승정원일기 2223책 (탈초본 113책) 순조 27년 11월 23일 갑자 14/14 기사 1827년 道光(淸/宣宗) 7년
○ 義禁府申目, 向前金履鋼亦, 名入榜書之人, 率家屬而待罪, 謂將往訴於巡營, 則本邑祕報營閫, 勢不得已, 而匿各書之傳播, 大違法典, 以此照律, 何如? 判付達依準。
승정원일기 2229책 (탈초본 113책) 순조 28년 5월 14일 임자 16/21 기사 1828년 道光(淸/宣宗) 8년
○ 兵曹口傳政事, 僉知加設單吳致賢, 護軍申緯·朴綺壽·金啓河·柳漢源·鄭來升·尹相重·金履協, 副護軍徐英淳·李海淸·金敎喜·金鼎均·趙台榮·任聖臯·權膺祜·趙台錫·尹禹鉉·權思穆·李玉鉉·金鎭恒·李馨萬·尹敏東·金相宇·洪羲書·李濟遠·權聖祜·張翼·金履萬·金宅晦·金宗郁·宋彦民·金潤玉·崔英泰,
副司果金履鋼·李昇明·李應淵·張有聞·李憲猷·趙鍾淳·金箕景·李翼在·曺錫駿·李溟夏·南勉中·李勉翕·成達榮·李光濂·夫士敏·柳本學·趙存奎·吳彙良·任岳周·李儀朝·任燧·李煥奎·崔萬石·金仁瑞, 副司勇李禾重·李益培, 以上竝單付。
승정원일기 2323책 (탈초본 116책) 헌종 1년 10월 2일 정사 27/28 기사 1835년 道光(淸/宣宗) 15년
○ 又以義禁府言啓曰, 忠淸監司金在三狀啓內, 鎭川前縣監金履鋼·李儞·徐膺淳·徐有皓·柳弘根·沈誾之·宋啓根罪狀, 竝令攸司稟處事, 啓下矣。 金履鋼時在淸風任所, 宋啓根時在木川任所, 李儞下去忠淸道天安地, 沈誾之下去沃川地, 徐膺淳下去京畿抱川地, 徐有皓下去楊根地云。 依例發遣府羅將拿來, 柳弘根今方待命, 拿囚之意, 敢啓。 傳曰, 知道。 竝待待命拿囚。
승정원일기 2326책 (탈초본 116책) 헌종 2년 1월 5일 기축 16/18 기사 1836년 道光(淸/宣宗) 16년
○ 又以義禁府言啓曰, 卽接堤川縣徒配罪人金履鋼戶奴呈狀, 則其上典, 以前鎭川縣監時事, 徒二年半定配於堤川縣, 而今年爲七十, 依法典許贖爲辭矣, 取考律文, 則大明律犯罪時未老疾條云, 年六十九以下, 徒役三年, 役限未滿, 年入七十, 聽準老疾收贖, 金履綱今年已滿七十, 依律文許贖放送, 何如? 傳曰, 允。" 金履鋼 1767~1836(70세)~?
"허전(許傳) 1797년(정조 21)~1886년(고종 23) *盧光履 1775 1856 豐川 胤之 勿齋
性齋先生文集卷之二十二 / 墓碣銘 / 盧勿齋墓碣銘
丁亥(1827, 순조27)邑有匿名匈書之變。時則公居父憂。苫塊守制矣。媢嫉者捏誣於官。逮係獄中。至於上聞。事將不測。道伯鄭基善廉察公篤學力行。意其橫罹。卽致之營庭。躳自問訊。見辭氣安閒。應對眞實。幷覽其平日所著書在搜入者。指示諸査官曰此文字。無非天人性命之原。學問義理之微。左右皆嘖嘖。遂卽白放。反坐其誣捏者及
郡守金履綱
兵使權應祐。
幷竄配之。公自是益復戰兢自守。磬室無甔石。怡然自樂。讀書不撤。奉養偏母。誠敬備至。地主李益秀素無雅分。而下車先訪。哀其非辜。嘉其行誼。月餽米肉。俾供親厨。趙濟晩洪章燮相繼而至。皆厚遇之。然公未嘗一至偃室。李晦淵莅郡數朔而遞。然公之書謄寫以去。"
李益秀 有善政碑
趙濟晩
洪章燮
洪哲謨
洪鍾浩
姜彝文
趙然明
趙奎淳 善政碑閣
趙基亨
金奭均
철종 6 1855 을묘 咸豐 5 51 경상도 관찰사가 되다.
철종 7 1856 병진 咸豐 6 52 경상도에 큰 재해가 발생하자 被災田 10,000結을 조정에 보고하여 그대로 準劃을 받아 백성들을 구제하다.
철종 8 1857 정사 咸豐 7 53 여름, 殿最에서 下考를 받자, 사직하는 상소를 올리다. ○ 대사헌이 되다.
신석우(申錫愚) 1805년(순조 5)~1865년(고종 2)
海藏集卷之十二 / 記
矗石樓讌遊記 丙辰(1856,철종7)
三月二十六日癸未。自丹城五十里入晉州。晉兵馬節度營。節度使先使幕佐致候問於百里之外。謝有職守。不得進入府。討捕使介冑櫜鞬。迎于五里外。牧使館待于矗石樓。供餼廩焉。樓在城之南。竦抗宏豁。前臨南江。江外竹樹翳蔚。原野平曠。一望暢濶。城周近十里。石築甚鞏。北將臺在節度營之北。俯臨池壕。壕中有島亭。以小艇通。池中滿植菡萏。堤上楡柳成列。節度使在城中。其運籌軒在北將臺之下。討捕使,都護使。皆在城外。所轄諸郡。分隷城堞而各有砲樓。節度使若將具介冑。候迎者禀而得停。然後待坐府。始鞾刀櫜鞬。立門屛請謁。韓昌黎廣州節度使序。略約相似。留一日試士。本州牧使李容在▣▣。大邱判官金琦淳景圭。陜川郡守宋一儁士彦。永川縣監洪健厚稚強。
咸陽郡守金奭均▣▣。丹城縣監李源龜景巨。以試事會。開場于南門樓。開宴于矗石樓。樂工奏樂。女伶奏技。右考試。左觀舞。竟晷作歡。燈燭旣張。遂出城登舟。火箭一發。城頭江岸。一齊發火。藉草𤒈炬。滿江而下。中流簫皷。徹曉溯洄。洵可樂也。余登樓而歎曰。嗟乎此丁酉諸人殉節之地也。倭奴之初來也。城堅不可下。賊不利而退。及其歸也。憤其不下。並諸路歸倭之力而攻之。城竟陷。兵馬使崔慶會及黃進,金千鎰死之。後人比之廵遠之睢陽。倭旣破城。張妓樂于矗石樓。論介抱倭酋墜于水。此睢陽城中人之所不能辦。覽城郭之堅鞏。樓櫓之宏偉。巖壁巉𡽱。江流浩漾。撫想昔日之事。未甞不三歎於對酒當歌之際也。
申泰道
吳敬善
1962년 경임안정단(經任案正單)
院長 吳敬善 海州人郡守 哲宗庚申任
哲宗庚壬戌遞
別有司 鄭煥朝字聖仁河東人 哲宗庚申▣(秋)任 咸陽德岩 未俸
哲宗壬戌遞
都有司 鄭復初 字元之草溪人贈承旨 哲宗辛酉任 咸陽介坪
高宗乙丑遞
有司 鄭東洙 哲宗辛酉任
哲宗壬戌遞
경상우병영계록(慶尙右兵營啓錄)○철종(哲宗) / 철종(哲宗) 12년(1861)○병사(兵使) 윤수봉(尹守鳳) 재임 시 장계등록(狀啓謄錄) / 3월 13일 승정원 개탁
상주 목사 홍한주(洪翰周)와 진주 목사 신억(申檍)과 성주 목사 이인설(李寅卨)과 금산 군수 홍재봉(洪在鳳)과 고성 현령 조대영(趙大榮)과 개령 현감 김후근(金厚根)과 안의 현감 박제영(朴齊韺)은 모두 성묘(省墓)하는 일로 말미를 받았고, 거창 부사 황종석(黃鍾奭)은 공삼(貢蔘) 차사원(差使員)으로서 상경(上京)하였습니다. 상주 겸임 상주진 영장(尙州鎭營將) 이종준(李鍾俊)과 진주 겸임 진주진 영장(晉州鎭營將) 이남집(李南輯)과 고성 겸임 진해 현감 권석우(權錫祐)는 겸임하는 읍의 제언을 원래 정한 날짜에 거행하겠다고 보고해 왔고, 성주 겸임 고령 현감 이학재(李鶴在)와 거창 겸임 합천 군수 조병로(趙秉老)와 안의 겸임 함양 군수 오경선(吳敬善)과 금산 겸임 000과 개령 겸임 지례 현감 홍긍모(洪肯謨)는 겸임하는 읍의 제언을 같은 날에 거행하기 어려운 형세라고 보고해 왔으므로 개령은 같은 달 27일에, 성주ㆍ거창ㆍ안의ㆍ금산은 같은 달 29일로 거행하게 하였습니다.
...................
철종실록 14권, 철종 13년 7월 5일 丙戌 1번째기사 1862년 청 동치(同治) 1년
서계하여 전 함양 군수 오경선을 탄핵한 경상우도 암행 어사 이인명을 불러 보다
○丙戌/召見慶尙右道暗行御史李寅命, 書啓罪咸陽前郡守吳敬善, 居昌前府使黃鍾奭, 晋州前兵使白樂莘, 前牧使洪秉元, 昌原府使徐相岳, 前府使具性喜。
沈宜絢
徐頀淳
文獻公實紀
賜祭文 今上元年甲子(1864,고종1)十一月二十日
國王遣臣咸陽郡守徐頀淳致祭于先正臣文獻公鄭汝昌之靈天右斯文父師其東降及羅麗
韓致肇 政善碑
담인집(澹人集) 신좌모(申佐模)생년1799년(정조 23)몰년1877년(고종 14)자좌인(左人), 좌보(左輔)호담인(澹人)본관고령(高靈)특기사항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허전(許傳), 홍재혁(洪在赫) 등과 교유
澹人集卷之八 / 詩○嶠南紀行 / 咸陽衙。贈主倅紫崖 韓致肇。
고종 | 6 | 1869 | 기사 | 同治 | 8 | 71 | 3월, 嶺南을 방문하여 海印寺, 嶺南樓, 閑山島 등을 유람하다. ○ 동지경연사가 되다. <嶠南紀行序> 往歲己巳。先君退老于文山之鄕廬。 |
讀書韓肯叔。松桂吏三年。食淡魚兼菓。官淸鶴帶錢。循良宜世用。廉白是家傳。千里故人面。臨分更黯然。
澹人集卷之八 / 詩○嶠南紀行 / 學士樓。崔孤雲所建 與紫崖共賦。二首
風風雨雨打車簾。看盡紅流又白鹽。石氣醒來還復醉。泉聲貪着未爲廉。文章歷落餘靑眼。故舊逢迎半皓髯。黃鶴樓中人不見。更將餘句禿毫拈。
風萍會合本無期。偶到翻成一宿遲。了我餘生聊復爾。微君此世更安之。亂山荒店懸燈夜。明月高樓聽角時。兩地相思犀一點。槖中日史案頭詩。
李源進
金奭根
李象先이상선(李象先,1811~?,咸陽郡守1875년7월~)
金鳳洙
金永文
安光默
金載舜
趙秉甲 善政碑閣
李晩允
吳榮錫
金永耉
金靖鎭
金奎升
趙誠熙
金永淳
吳成默 有善政碑
閔廷植 有善政碑
李倫軾
李元熙
金炳定
朴晶奎 有善政碑閣
李鍾元
李章鎔
日政
李在性
閔麟鎬
李鳳和
李源九
金義鎔
盧台植
李玟河
辛昌烈
金處珣
安鍾年
光復
林鍾國
民國
朴在寬
趙升來
金仁濟
裵相甲
趙昌濟
鄭昌鉉
申宗澈
愼宗鎔
辛宣烈
...........................
金公濟에게 答함 [丁酉年 宣祖三0年 一五九七年 金公이 咸陽郡守때]<栢巖先生文集>
김공제(金公濟)에게 답함 : 작자가 54세 때인 1596년(선조29) 10월 강원도 관찰사로 경내를 순행하던 중에 쓴 편지로 보인다. 공제는 김개국(金蓋國)의 자이다. 호는 양진재(養眞齋)이고,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작자보다 5년 연하로, 이때 강원 도사(江原都事)로 있었다.
백암집(柏巖集) 栢巖先生文集卷之六 書 答金公濟 丁酉○金公時爲咸陽倅 김륵(金玏)
창석집(蒼石集) 이준(李埈)생년1560년(명종 15)몰년1635년(인조 13)자숙평(叔平)호창석(蒼石), 유계(酉溪)본관흥양(興陽)시호문간(文簡)특기사항유성룡(柳成龍)의 문인. 정경세(鄭經世) 등과 교유
蒼石先生續集卷之八 / 碑碣 / 贈通訓大夫司憲府執義兼春秋舘編修官金公墓碣銘
金蓋國 | 1548 | 1603 | 延安 | 公濟 | 晩翠堂, 養眞翁 |
始余識金公濟於大學。愛其慈良介直。朝夕遊相好。造膝忠䂓。爲益甚多。從遭兵變。不得再見。而忽聞其居哀滅性。余時係官于朝。無由執紼阡路。每念舊誼。不覺潸然。今年春。其孤汝燁等語余曰。先君棄諸孤十八年矣。而墓道無銘。敢拜手以請。余方悼公之無祿。今於序述之託。何可以不文辭。公諱盖國。本出新羅宗姓。後有以直諫忤旨。退寓延安。因居焉。歷五世有諱濤號蘿葍山人。是生自知號逸溪。金佔畢詩蘿葍,逸溪千載士是也。累代事蹟。詳其世譜。今不著。曾祖諱世衡。祖諱復興。通禮院引儀。考諱夢得。隱德不仕。妣公州李氏。進士克溫女也。以嘉靖戊申生公。幼敏悟不羣。自能勝衣。已肆力於學。常念舊烈中替。夙夜所刻意。無非所以世其業者。癸酉中司馬。辛卯春擢文科。壬辰之亂。鄕人推爲義兵將。乙未夏以功授禮賓主簿。歷刑工曹郞。轉江原都事。
丁酉秋除咸陽郡守。未上任以遞。
戊戌夏授忠淸都事。辛丑春爲養求沃川。閱兩月而罹風樹之慟。後以宣武勳贈司憲府執義兼春秋舘編修官。此其歷官次第也。在嶺東日。寒岡鄭公爲監司甚相得。閫畫多所佐。在湖西日。天兵往來。戎事轇轕。監司病不理。公盡瘁撥劇。皆有條理。軍務以賴。及宰沃川。講究公私利疚。汲汲如不及。去郡之日。一境哭送。鑱石以叙德。噫。使公得位而盡究其蘊。其利澤之及物可旣耶。公天性至孝。自幼奉親。翼翼未嘗有懈容。疾病侍湯劑。一出至誠。戊子遭內憂。守制於廬。晨昏省墓。風雨不廢。遭外艱亦如之。平居務自韜晦。無厓異之行。至其辨義利臨是非。毫髮不可混。佐幕日。有所識邑宰見其冠巾襤縷。遺之以新。謝却之。有無賴子藉監司威勢。貽弊列邑。移書以糾之。其棘棘不阿多類此。所居有松數百株。公揭堂顔以晩翠。自號曰養眞翁。觀其不貶道以求人知。不逐物以易所守。雖不遇於世。而卒能全乎天。可見其顧名踐實。不徒空言而已也。有雜咏若干篇。志行之槩。讀其詩。自當意會。以癸卯四月二十九日。考終。卜葬于先兆次卯向之原。從治命也。配參奉金富民女。文節公淡其高祖也。出法家有淑行。事親睦族。一承夫子意。親表穪之。後公十六年而卒。享年七十五。祔葬于公。男汝燁生員。汝煥,汝煋進士,汝爀。女適黃有定。孫男八人女四人。諸子文藝之富。行誼之美。皆克世其家。豈非公所蓄之裕。於是而發耶。銘曰。
惟眞養匪利營。道未亨履則貞。嗟此翁無媿名。後有考眎斯銘。
.......................
1552~1913년 부보록(裒寶錄)
郡守金宇弘
春秋八卷
內賜
論語七卷
孟子七卷
中庸一卷
大學一卷
典籍張範
春秋七卷
忠淸監司盧禛
儀節四卷
感興詩一卷
延平問答二卷
幼學權汝謙
8)
擊壤集四卷
院備
周易十四卷
紫陽集十卷
大學講義二件
通鑑前紀四卷
論孟或問七卷
小學日記三卷
縣監金淸
周易十四卷
郡守李長榮
小學二件
監司朴大立
大學一卷
中庸一卷
論語七卷
監司盧禛
性理字義一卷
幼學李慶
上蔡語錄一卷
9)
察訪李榮春
禮部韻一卷
內賜
朱子大全九十五卷
朱子語類七十五卷
國朝儒先錄四卷
精忠錄三卷
諺解小學四卷
院備
家禮 二卷
讀書錄一卷
樊川集四卷
唐音九卷
兩山墨談五卷
大學補遺一卷
朱子實紀五卷
朱子書節要十卷
夙興夜寐箴一卷
二程粹言二卷
翼傳三卷
10)
秋江集五卷
朱子行狀一部
童蒙須知一卷
大廣益會三卷
皇明名臣言行錄四卷
晦齋集四卷
續蒙求四卷
選詩十卷
歷代要錄一部
儀禮圖十卷
柳州集二十一卷
太白集十五卷
西山集十七卷
三蘇文五卷
東文選六十八卷
陸放翁二卷
幼學林希秀
比干祿一卷
已上千帙萬曆丁酉爲倭奴所▣
院備 萬曆三十二年甲辰孟夏
11)
通鑑十四卷 都事朴汝樑
校中移送 萬曆乙巳姜應▣林振民有司時
論語七卷
孟子七卷
中庸一卷
大學一卷 小學四卷
幼學盧脊
晦齋先生年譜
左議政奇自獻萬曆丙午
德陽遺藁一卷
院備
詩傳十卷
栗峯察訪姜繗萬曆辛亥
或問大學二卷
幼學姜渭明
心經二卷 萬曆甲寅
院備 ▣…▣造紙▣…▣ 各邑送于全羅道卽來 監司李慶▣ 有司盧佾▣
綱目七十六卷
朱子書節要十卷
大學衍義十二卷
12)
孟子四卷
唐音四卷
近思錄四卷 已上萬曆丁巳
韻會十三卷 院備紙地頼院長姜校理繗印藏
三經釋義一卷
四書釋義一卷
孟子或問二卷
禮部韻一卷
南冥集四卷 已上天啓辛酉
文獻公實紀 刊行 癸亥春焚舊爲新
高麗史七十一卷 崇禎辛巳姜有徵有司時
家禮二卷 小學諺解四卷 上仝
禮記二十卷 崇禎戊子梁梈有司時備上
監司李㬅 己丑
朱文酌海八卷
書傳大文二卷
院備
杜詩諺解癸卯梁世濟有司時備上
朱子大全六十五卷 甲子梁天翼李慶▣(有)司時備上
心經二卷
13)
德溪集四卷
奉事姜渭明
場岩員畓十斗落只初納溏洲甲戌年
介庵先生移安此院後推納本院
..........................
최흥벽(崔興璧) 1739년(영조 15)~1812년(순조 12)
蠹窩先生文集卷之十三 / 行狀 / 中直大夫咸陽郡守濯淸軒先生郭公行錄 乙卯
郭趪 1530 1569 玄風 景靜 濯淸軒
公諱趪。字景靜。姓郭氏。濯淸軒其號也。系出玄風。在勝國時。有金吾衛校尉諱子儀。寔其鼻祖也。其後奕世蟬嫣。入本朝。判司宰監事諱瓊。是生諱得宗。義盈庫使。是生諱安邦官止郡事。歷典二邑。所至有氷蘖聲。選錄淸白。鄕人立祠享之。於公爲高祖也。曾祖諱承陽副司正。祖諱琚別提。考諱之貞。早世不顯。妣寧越嚴氏。漢伯女。參議山壽曾孫。嘉靖庚寅。公生于卛禮里第。幼而端莊聦穎。受學於從父吏郞公。吏郞公亟稱之。旣長。以母夫人命。從事擧子業。明廟丙辰。登別試文科第二。時年二十七。癸亥。由禮曹佐郞。出爲禮安縣監。時退溪先生講道陶山。公甫莅任。卽往從之遊。先生雖接以地主禮。而公自處以門弟子之列。自是往來講磨。多有所啓發。而先生亦極其敬愛推重。相與遊月川泛風潭。逍遙徜徉。迭唱而迭酬。爲政數載。一境大安。公私裕足。於是與趙月川,金後凋,琴勉進,琴惺惺諸公。創立易東書院於鼇潭上。畫出工費。期底於成。又爲之撥寺社田及他田若干結。割良賤若干名以屬之。又優發布糓。資其所需。其顚末。先生所記詳矣。
戊辰(1568,선조1)。自禮安移陞咸陽郡守。將行縣物不以一毫自隨。行李蕭然。其治咸一如治禮。吏戢而民安。
己巳(1569,선조2)春。以巡使差員。行到三嘉。偶得疾捐舘。享年四十。諸孤奉櫬。返葬于本縣西迲本山艮坐原。從先兆也。前配鐵城李氏。參奉審女。左相原五世孫。生二男一女。後配驪州李氏。庶尹承緖女。郡守鶴孫。生二男一女。男長宗慶。能文章善書畵。次宗閔。次宗義直長。次宗禮。女長適進士李慶承。次適進士李世鵬。孫曾以下。甚蕃衍不盡錄。自郡事公始卜于率禮里。以淸白遺子孫。而寒暄先生亦同里閈。其餘風遺韻。薰襲在後人。循循有禮義孝悌之俗。以故進士公諱承華。吏郞公諱之雲。相繼以起。皆以行誼文章。爲世聞人。公生於其後。家庭之間。所以擩染而成就者。固已異於人。而得之天賦者。又俊邁而超詣。蔚爲瑞世之器。當是時。公之羣從兄弟。皆有雋才。英名藉甚於一代。人數苞山人物。必曰郭八走。公其一也。旣早擢嵬第。前塗大闢。而進取非其素志。特以親在之故。黽勉於綬紱之間。民社上畧綽施設。卽公之緖餘耳。不幸中道夭折。使其素所學者。不能大有所爲。年不滿其德。位不稱其才。此非公之不幸。而乃當時之不幸也。今其懿行媺蹟。散佚無傳。無以追尋其一二。然而數百載之後。得有所考據而取信者。獨不有退溪先生詩若文。揭若日星乎。其贈別詩曰。六載終難借一年。民情如孺慕懸懸。方知魯令傳三異。却笑劉公受一錢。臘雪惹愁吟陟岵。春風吹恨去朝天。鼇潭賴有留佳澤。百歲邦人藹誦絃。其他若同遊月川之吟奉呈東閣之作。與夫哀輓之章。其所以興戀愛而寓痛惜者。溢於篇中。至其祭文。益致連卷。其畧曰。惟公湖海之士。英俊之才。連城隱璞。世莫知寶。我邑何幸。能來叔度。我公莅止。如旱得雨。我有疾病。公樂而愈。我有苛痒。公手以撫。若燭破闇。奸蠧靡容。如春著物。枯瘁偏蒙。公馬骨高。我民腹鼓。民阜盖藏。官溢帑庾。乃闢儒館。山高水長。多士興起。詠慕洋洋。召父杜母。民愛無疆。惟願自今。得時大行。推我所專。俾及邦氓。何意彼蒼。不我憖遺。殄瘁之痛。無祿之悲。朝野所同。舊民曷其。惟此一篇。雖謂之公之一部佳傳。亦無不可。而易東院記。尤有大焉。有曰。苞山郭侯。來莅玆邑。能以淸儉明恕爲治。又曰。吾鄕之事力。書院之工費。苟非郭侯之善政。烏能辦此。又曰。賢祠之所以立。學舘之所以闢。其本意與實事。誠不偶然。不知吾輩一鄕之人。以及遠近之來遊者。當何修何務而可以無忝於斯乎。夫禹祭酒先生於易傳。獨得程氏之宗。以倡義理之學。而公能尊尙其道。尸而祝之。使後來學者。得有所歸向。而退溪先生。又爲之推美於賢侯。寄勉於吾黨者。若是其鄭重。則公之爲學。槩可想矣。是故。公之歿也。先生爲起鄕儒。往而酹之。其與人書曰。郭景靜奄逝客中。不謂斯人而至於斯。歎惜不已。先生之片言隻字。皆足以爲千古公案。况聯篇累牘。屢書而不一書者。有如是乎。盖甞論之。人受天地之中以生。其所以應萬事處萬物。而不失乎民彜物則之宜者。亦惟在學焉而已。然其爲學也。有內外賓主之別。輕重本末之分。必須明體以適用。修己以治人。然後方可爲眞正之學。苟或反是。則非所謂學也。公自早歲。已甞有志於此。其所用工節次。雖不得以詳知。而今以見於行事者推之。常以早失所怙。不及逮養。爲終身痛恨。其事母夫人。極其誠敬。與一兄一弟。處之嫗婾。友愛隆篤。其敎子姪。循循有法度。出而交遊。皆當世名贒。相與切磋道義。卒就有道之門以取正焉。而又以其穅秕陶鑄。二邦百姓愛之如赤子之慕父母。則公於明躰適用。修己治人之學。殆庶幾乎。今以退溪先生所稱淸儉明恕四字。有所證響。則淸爲心之源。儉爲德之質。而明者智之用。恕者仁之方也。平日讀聖賢書。將以發諸行而措諸事者。都已包括於此四者。而惟彼騰理於口舌。寄命於耳目。夷考其所爲。不免魯莾而滅裂焉。則視諸公之所學。相去不啻遠矣。先生可謂知公之深而得公之實。此豈但生質之美爲然。素所得力於講學者。亦不可誣也。第恨夫公從先生遊盖五年。親炙於門屛。講質於凾丈者。旣深且久。則其所答問往復。必有可觀而可傳者。而風霜劫火。斷爛已盡。後生之所追慨者。庸有旣乎。本縣士林。舊有畏壘之議。而柳山陰聖和,李翊贊守淵諸公。又自陶山繼發其論。爲邦令所尼。事遂未就。公甞移鄕竹植於禮安縣齋。縣人至今愛護。指謂苞山竹。此可附而書也。後孫崇敬深懼公之言行愈久益沒。遂取家藏所輯錄者。撰此一通。且以興璧爲公家自出。命之與其役。義有所不敢辭者。遂忘其僭拙。謹件如右。以爲乘韋之先。庶幾藉手於當世之秉簡君子云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