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가기준
1. 매출 : 연봉,후원금,음반판매수익,방송및광고출연료.
기획사와 광고회사의 개런티 기준도 참고.
제작사와 분배 비율, 세금을 비롯한 각종 비용은 따지지 않음.
일본,중국,미국 등 외국에서 올린 소득은 공개된 것만 반영
2. 미디어 노출 빈도 (셀레브리티의 영향력)
중앙,조선,동아 등 주요 일간지에 게재된 횟수,
무비위크,씨네21,여성중앙,여성동아,여성조선,쎄씨,보그,아스타TV 등 8개 잡지 표지,
일간스포츠1면 등장 횟수와 검색 순위
3. 방송 활동 (명성)
광고 정보사이트 'TV CF'의 지상파 광고 모델 순위와
방송사 토크쇼, 예능 프로그램에 게스트로 나온 횟수 참고 (지난해부터 종편채널 포함)
4. 전문성 <직종별로 기준 다름>
배우 및 MC : 프로그램 시청률
영화배우 : 관객 수
가수 :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가 집계한 음반 판매량과 디지털 종합 차트 순위 활용
스포츠 선수 : 경기 성적
* 각종 시상식에서 받은 상도 점수 포함.

박지성, 김연아, 양학선, 박태환의 전문성 < 손연재의 전문성
첫댓글 헐
? 손연재선수가 전문성(이게 정확히뭔지 모르겠음)이 없다곤 생각안하는데...좀 그러네요
경기성적?
금메달, 세계신기록과 상관없는 전문성..? 읭???
손연재를 좋아하긴 하지만 1위라는건 좀 이해가 안가는데 나만그런가. 리스트에보면 올림픽에서 금메달 몇개씩 딴 선수들도 많고, 자기 이름을 딴 기술이름을 가지고 있는 선수들도 있는데 가능성을 보고 점수를 준건지는 모르겠지만, 난 이 리스트 반댈쎄!
전문성의 기준을 모르겠네여 ㅋㅋㅋㅋㅋㅋ
전문성이라면 손연재보단 김연아가 훨씬 위일거 같은데???
하나만 보더라도 이거 믿을수있는거 아닌거 같은데
전문성이 2012 한해의 수상 내역하고 경기 성적으로 평가 된 것 같은데.... 런던올림픽 비중이 큰건가? 그럼 박태환 선수가 걸리고.... 궁금하네요ㅋㅋ
표 만든 사람이 손연재 팬인듯
전문성의 기준이 뭐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투피엠 33 빅뱅 1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투피엠 작년에 앨범 안내서 그런듯ㅋㅋ
빅뱅 1위 할만한데영. 음판 음원디종 둘다 겁나 높아서ㅋㅋㅋㅋㅋㅋㅋ
순위말고요 점수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전문성은 순위가 아니지 않아요? 빅뱅 1점 투피엠 33점 이걸로 이해했는데
순위에요ㅋㅋㅋ 빅뱅 손연재 공동1등
아 헐 그렇구나...뎨둉
분야에 대한 전문성? 아닌가??
오 연아선순 매년 탑10이네 와
이게 뭐지?
삭제된 댓글 입니다.
근데 그래도 이해가 안가는게... 기준에 명확히 대회성적이라고 적혀있잖아요....
또 한해동안 활동을 봐도 박지성선수도 큐피알 이적하면서 계속활동하고 박태환선수나 양학선선수는 올림픽에서 메달을땄구요... 비록 B급 대회지만 김연아선수는 복귀해서 시즌 최고점 까지 따 냈구요...
손연재선수도 올림픽 외에 벌다른 대회 성과나 출전소식이 들리지 않았었는데... 얼마나 활동을 많이했길래 올림픽 은메달 두개와 금메달 한개를 제칠만한 대회성적을 쌓을수 있었는지 이해가 가지 않아서요...
흠...그럼 뭘까요..기준이 뭘까요..흠...
이해가 안되네..
수지 있을 줄 알았는뎅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유머글 맞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