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Rail+ 철도동호회
 
 
 
카페 게시글
② 한국철도 (기술, 차량) 질문/ 디젤기관차와 전기기관차에 대해서 말입니다.
미션철도공학 추천 0 조회 991 08.09.04 00:58 댓글 13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8.09.04 04:25

    첫댓글 아무리 성능이 좋은 전기기관차가 개발된다고 해도 디젤기관차는 절대 사라지지 않습니다. 만일 전기가 끊겨 전기기관차가 오도 가도 못하는 상황이 되면 대신에 열차를 끌어 줄 디젤기관차가 반드시 필요하죠. 그리고 열차가 적게 운행되는 노선은 전철화보다 디젤기관차가 더 경제적입니다. 열차가 하루에 손에 꼽을 정도로 적게 다니는 노선에 하루 종일 전기를 흘리는 건 전력 낭비죠. 일본은 간선 철도와 도시철도는 대부분 전철화 되어 있지만 지방 노선은 전철화되지 않은 노선이 많습니다.

  • 08.09.04 16:20

    열차가 다닐때만 전력을 흘리게 할 수는 없나요?

  • 08.09.04 22:43

    가능은 합니다만, 그렇다면 급전구간의 구분이 상당히 짧아져야 할 것이고 특히 교류에서는 SS, SP의 조밀화로 인한 건설비용, 관리비용이 늘어날 것입니다. 또한 잦은 급전과 단전의 반복은 혼란을 가져올 수도 있다고 봅니다.

  • 08.09.05 21:15

    그렇군요.

  • 08.09.04 11:29

    무게 때문에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8000대형 기관차가 실제 특대형이랑 중량이 같은 132톤이니까요 설비라던가 효율 영업적인 측면에서 디젤을 사용할 뿐입니다. 중앙선 복선화는 계속진행중에 있습니다. 제천까지 계획이 되어 있고 진행중입니다.

  • 08.09.04 19:46

    중앙선은 한창 복선화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데 너무나 쌩뚱맞은 PS를 붙이시는군요. 봉양-제천, 청량리-팔당은 이미 복선화되었고 팔당-원주와 제천-도담간이 공사중입니다.

  • 작성자 08.09.07 01:00

    아 ;; 그렇군요. 제가 학교가 풍기여서 열차가 학교에서 청량리까지 가는데 시간이 너무 많이 들어서 물어봤는데 복선화 공사를 하고 있다니... 몰랐습니다.

  • 08.09.05 00:24

    수요가 적은 노선 에서 전철화를 하면 중동역 님이 말씀하신것처럼 전력낭비도 있거니와 전철화설비비(건설비용,유지비용)가 막대하게 손해를 볼수 있고 실제로 미국에 어떠한 노선에서 전철화를 했다가 다시 비전철화로 돌아간 노선도 있다고 합니다.

  • 08.09.07 13:58

    측선이나 전용선(공장이나 군부대 등) 이런곳에 화차를 넣고 빼주는 역할을 하는 내연기관 동력차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저런곳에는 전철화하기도 힘들고 화물적재 등의 이유로 전차선을 깔수 없기때문이지요 (우리나라 화물열차 시스템은 미국식입니다)

  • 08.09.08 21:04

    전기기관차가 보편화 되면 디젤은 일부 비전철구간을 제외하고는 거의 보조수단(구원운전용 등)으로 이용될 듯

  • 08.09.08 22:00

    그리고 전시체제에서도 널리쓰이죠^^

  • 08.10.05 23:03

    아무래도 전차선 관리비와 DL 관리비를 비교해서 더 나은 쪽으로 하기에 DL이 아직도, 앞으로도 남게 되는 이유겠지요. 조금 이후의 미래에는 배터리나 압축공기통, 초전도코일 등을 이용하는 전기충전식 기관차나 동차가 DL을 대체하리라 생각합니다.

  • 08.10.06 22:20

    석유고갈에 대비하여 천연가스, 또는 메탄가스 기관차도 만들었으면... 장난.ㅡㅡ;;;;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