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 his Coy Mistress
(수줍은 여인에게)
- Andrew Marvell(1621-1678)
Had we but world enough, and time,
This coyness, lady, were no crime.
We would sit down and think which way
To walk, and pass our long love's day;
Thou by the Indian Ganges' side
Shouldst rubies find; I by the tide
Of Humber would complain. I would
Love you ten years before the Flood;
And you should, if you please, refuse
Till the conversion of the Jews.
My vegetable love should grow
Vaster than empires, and more slow.
An hundred years should go to praise
Thine eyes, and on thy forehead gaze;
Two hundred to adore each breast,
But thirty thousand to the rest;
An age at least to every part,
And the last age should show your heart.
For, lady, you deserve this state,
Nor would I love at lower rate.
But at my back I always hear
Time's winged chariot hurrying near;
And yonder all before us lie
Deserts of vast eternity.
Thy beauty shall no more be found,
Nor, in thy marble vault, shall sound
My echoing song; then worms shall try
That long preserv'd virginity,
And your quaint honour turn to dust,
And into ashes all my lust.
The grave's a fine and private place,
But none I think do there embrace.
Now therefore, while the youthful hue
Sits on thy skin like morning dew,
And while thy willing soul transpires
At every pore with instant fires,
Now let us sport us while we may;
And now, like am'rous birds of prey,
Rather at once our time devour,
Than languish in his slow-chapp'd power.
Let us roll all our strength, and all
Our sweetness, up into one ball;
And tear our pleasures with rough strife
Thorough the iron gates of life.
Thus, though we cannot make our sun
Stand still, yet we will make him run.
수줍은 연인에게
- 앤드류 마블
우리에게 충분한 세계와 시간이 주어진다면
여인이여, 그대의 수줍음을 탓할 수 없을 것입니다
함께 앉아 어느 길을 걸을까 생각하며
긴 사랑의 날들을 보내겠지요
그대는 인도의 갠지즈 강가에서 루비를 찾고
나는 험버강 물결에 사랑을 하소연할 것입니다
나는 대홍수 십년 전부터 그대를 사랑하고
만약 그대가 원한다면
유대인의 개종 때까지 내 사랑을 거절해도 좋습니다
나의 식물같은 사랑은
제국보다 더 넓고 더 느리게 자랄 것입니다
그대의 두 눈을 찬미하고 이마를 응시하는데 일백 년
당신의 두 젖무덤을 동경하는데 이백 년
나머지 부분을 찬탄하는데 삼만 년이 걸릴 것입니다
육체의 한 부분마다 찬양하는데 적어도 한 시대씩 걸릴 것이며
그리하여 최후의 시대에 그대의 마음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여인이여, 그대에겐 이만한 가치가 있으며
난 이보다 값싼 사랑은 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나의 등 뒤에선 언제나
날개돋친 시간의 전차가 달려오는 소리를 듣습니다
그리고 우리 앞 저만치엔
온통 광막한 영겁의 사막이 놓여 있습니다
대리석 무덤 속에선
그대의 아름다움을 더 이상 찾을 수 없고
메아리치는 나의 노래 울릴 리 없고
굼벵이가 그토록 소중히 간직한 처녀성을 범할 것입니다
그대의 성스런 영예는 티끌로 변하고
그리고 나의 모든 욕망도 재가 되고 말 것입니다
무덤이 아늑하고 은밀한 곳이겠지만
그곳에선 아무도 포옹하지 못할 것입니다.
자, 그러니 그대 살결에 젊음의 색조가
아침이슬처럼 앉아 있는 동안
그대의 정열적인 혼이
숨구멍에서 불을 뿜어내고 있는 동안
우리가 마음 먹기 달린 지금, 인생을 즐깁시다
자, 느리게 씹어먹는 시간의 입속에서 시들어가느니
차라리 사랑에 굶주린 맹금처럼
우리의 시간을 당장에 삼켜버립시다
사랑의 온 정력과 달콤함을 한 개의 공으로 뭉쳐서
냉혹한 인생의 철문을 뚫고 나아가
우리의 쾌락을 쟁취합시다
그러면 우리는 우리의 태양을 정지시킬 수는 없겠지만
달리게 만들 수는 있겠지요
불확정성에 대한 실제 비평적 분석
이윤섭 저, <지식으로서의 문학: 뉴크리티시즘의 연원> 중의 일부이다. (p. 204-210)
지금까지 검토한 랜섬의 불확정성에 대한 시론은 실제 비평적 분석에 의하여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우리는 여기서 앤드류 마블의 [수줍은 연인에게]에 대한 랜섬의 정교한 분석을 소개한다. 랜섬은 시는 의미와 소리로 구성되어 있고, 이 시의 의미에는 확정적 의미와 불확정적 의미의 두 종류가 있고, 시의 소리는 확정적 소리와 불확정적 소리의 두 종류라고 설명한 바 있다. 먼저 확정적 의미는 시의 논리적 구조를 형성하는 의미이고, 불확정적 의미는 시의 논리적 구조에 포함되지 않는 비논리적 의미이다. 그리고 확정적 소리는 시의 운율 법칙이나 형식에 충실한 소리의 패턴이고, 불확정적 소리는 운율 법칙이나 형식에 어긋나거나 예외적인 소리이다.
앤드류 마블의 [수줍은 연인에게]는 그 이미지의 훌륭함과 완벽한 운율로 인하여 오랫동안 애송되어 왔고 대다수 비평가들로부터 심미적 우수성을 널리 인정받고 있다. 그런데 랜섬에 따르면 이 시의 훌륭함은 주로 이 시의 불확정성으로 인한 것이다. 다시 말하여 이 시의 확정적 의미와 확정적 운율은 서로 상충될 때, 시인은 운율이나 보격을 지키기 위하여 명백한 의미를 포기하기도 하고, 때로는 의미를 위하여 규칙적인 각운이나 보격을 깨뜨리기도 한다. 이 강요된 타협은 시인의 입장에서는 원치 않았던 선택이었지만, 결과적으로는 예기치 않았던 절묘한 표현과 시상을 낳고는 한다. 시인이 미처 생각하지 못했으나 시를 쓰는 창조 과정에서 상상력이 발동되어 만들어진 절묘한 표현과 시상은 운율 법칙을 지키기 위하여 분명한 논리적 의미를 포기하거나, 의미의 명확성을 위하여 운율의 규칙성을 포기한 결과이다. 이 분명하고 확정적인 의미나 운율을 포기한다는 것은 불필요한 요소나 잉여적 자질이 시 속에 들어오게 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여 시인은 창작 과정에서 통일성이나 명확성 규칙성 등의 확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면 일종의 타협을 하게 되고, 이 창조적 타협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시인은 불확정적 의미와 불확정적 소리가 빚어내는 불확정성이라는 예술적 성공을 거두는 것이다. 이 점에서 관해서는 18세기의 알렉산더 포우프가 일찍이 그의 [비평론]에서 "기술의 한계를 넘어서는 우아미를 잡아채어라 snatch the grace beyond the reach of art"라고 갈파한 바 있다. 규칙을 중시하는 신고전주의 문학의 대가 포우프는 규칙을 지키는 것만으로는 훌륭한 예술 작품을 만들 수 없다고 보았던 것이다. 그는 예술적 우아미나 절묘함은 규칙이나 기교만으로는 불가능하고, 우연적 요소나 천재성 혹은 신의 은총이 개입함으로써 가능하다고 보았다. 마찬가지로 랜섬은 [수줍은 연인에게]라는 시의 우아함은 바로 불확정적 의미와 불확정적 소리가 빚어내는 불확정성의 결과라고 보았던 바, 보다 상세히 검토하고자 한다.
라이오닐 트릴링에 의하면, 이 시는 엄격한 논리적 형태를 취하고 있고, 세 개의 연들은 그 하나 하나가 삼단논법의 세 가지 논리적 단계에 해당하고 있다. 이 시의 화자는 인간에게 주어진 시간이 유한함을 근거로 하여 여인을 설득하려고 한다. 그의 삼단논법은 다음과 같다: 만일 시간이 충분하다면 언제까지라도 기다리겠다.(1연) 그러나 시간이 촉박하다.(2연) 그러므로 인생의 즐거움을 쟁취하자.(3연) 이 시의 표면적 주제는 역시 서양 문학의 전통적 주제 중의 하나인 "오늘을 잡아라carpe diem; seize the day!"이다. 이 현세향략적인 주제는 세 번째 연에 나타나는 시간에 대한 명상에 의하여 교묘하게 제한되고 있다. 유한한 시간에 대한 사색의 결과로 인생에 대한 향락주의적 태도를 취하거나, 아니면 금욕주의적 태도를 취하던지, 이 시의 화자는 시종일관 시간을 의식하고 있다. 그는 두 번째 연에서는 "시간의 날개 돋친 마차가 가까이 다가온다 Time's wing d chariot hurrying near"고 지적한다. 그런데 화자가 시간을 주로 의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시는 "우리에게 충분한 세계와 시간이 있다면"이라는 구절로 시작한다. 의미의 명백함만을 생각한다면 이 구절에 구태여 '세계'라는 단어가 들어갈 필요는 없다. 이 시는 전체적으로 공간의 제약과 한계보다는 인생이라는 시간적 제약과 한계에 대하여 노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랜섬은 세계라는 낱말은 "우리 앞에 놓여 있는 세계의 전 역사"라는 뜻을 폭력적으로 압축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 "폭력적인 압축"은 명백한 의미의 전달에는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다. 앞서 랜섬은 긍정적 불확정성과 부정적 불확정성을 구별한 바 있는데, 이 폭력적 압축은 부정적 불확정성에 해당한다. 그러나, 후술하겠지만, 이 부정적 불확정성은 시인의 상상력을 발동시키고 긍정적 불확정성을 창출하는데 기여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구태여 시인이 "우리에게 충분한 세계와 시간이 있다면, 여인이여, 이 수줍음은 죄가 아닐 것입니다"라고 노래한 이유는 무엇인가? 다시 말하여 부정적 불확정성을 시 속에 끌어들인 이유는 무엇인가? 왜 시인은 '세계'라는 약간 부적절하고 불필요한 단어를 썼을까? 이는 시의 리듬과 운율에 대한 고려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약강 4보격을 사용하여 시를 쓰기로 결정한 시인에게 "Had we but time enough"은 너무 짧은 시행이어서, 그는 한두 단어가 더 필요했다. 그리고 시간과 세계는 어울리는 짝이기도 하다. 그래서 첫 번째 시행은 "Had we but world enough and time"이 되었다. 운율을 고려하는 과정에서, 논리적 의미만을 위해서는 불필요한 "세계"라는 단어가 시 속에 들어온 것이다. 다행히 시인은 이 "세계"라는 단어의 사전적 의미인 공간성을, 제 5행과 제 7행의 갠지스강과 훔버강으로 훌륭히 전개할 수 있음을 깨닫게 된다. 다시 말하여 운율을 고려하여 도입된 '세계'라는 단어는, 추상적 공간성이 아닌 인도의 거룩한 갠지스강과 영국의 이름 없는 훔버강이라는 극히 대조적인 구체적 공간으로 전환된다. 이 경우에도 시인은 여전히 운율을 고려하고 있다, 갠지스강의 'side'를 먼저 언급한 시인은 훔버강의 'side'도 말해야 했지만, 각운을 고려한 그는 훔버강에는 'side'와 각운 하는 'tide'를 선택한다. 그러나 이 'side'와 'tide' 사이의 차이와 불일치는 강요된 것이고 어쩔 수 없었던 것이기는 하지만, 그 결과를 시각적으로 상상하여 그려 본다면 결코 나쁜 것만은 아니다. 갠지스강의 드넓은 강둑과 훔버강의 졸졸 흐르는 강물을 한 번 상상해 보라. 이러한 시각적 상상은 '세계'라는 말의 추상성을, 대조를 통하여, 구체화하는 효과를 주고 있다. 랜섬은 "이미지가 나타날 때, 긍정적이고 가치 있는 불확정성이 도입된다"고 말하고 있다. 그리고 "Ganges' side"의 소유격은 "the tide / Of Humber"에서는 'of' 절로 대치되어 버려, 일관성을 잃어버리고 있다. 다시 말하여 시인은 운율을 고려한 나머지, 산문으로서는 그다지 좋다고 할 수 없는 문장을 구사하고 있다.
아울러 두 번째 연에서 시간과 공간은 짝을 이루면서 시간의 촉박함을 언급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내 등뒤에서 나는 항상 듣습니다 / 시간의 날개 돋친 마차가 가까이 달려오는 소리를 / 그리고 저기 우리들 앞에 놓여 있습니다 / 광대한 영원의 사막이 But at my back I always hear / Time's wingd chariot hurrying near, / And yonder all before us lie / Deserts of vast eternity." 하지만 이 영원의 사막이라는 공간적 표현 역시 시간을 공간화 시킨 것일 뿐이다. 다시 말하여 이 시의 첫 행에서 약강 4보격이라는 운율을 위하여 도입된 '세계'라는 단어의 잉여 요소인 공간적 의미는 영원이라는 시간, 또는 비시간적 개념을 사막이라는 공간적 개념으로 전이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다행히 이번에도 불모성이나 생식불능을 함축하는 "광대한 영원의 사막"은 여인을 유혹하고자 하는 남자에게는 쓸모가 있다. 이 사막이라는 공간 개념은 무덤이 조용하고 좋기는 하지만 아무도 그곳에서 포옹하지는 않는다는 제 2연 마지막의 절묘한 언더스테이트먼트로 이어진다. 이렇게 살펴 볼 때, 우리는 이 시의 논리적 표면에 있는 시간의 유한성과는 그다지 관계가 없는 '세계'라는 부적절한 잉여 자질은 시인으로 하여금 이 시의 절묘한 표현들을 발견하는데 기여했다고 인정할 수 있다.
이 시에서 가장 인상적인 표현 중의 하나는 "내 식물 같은 사랑 My vegetable love"일 것이다. 이 절묘한 표현에 대하여 랜섬은 원래 "식물이라는 말은 사랑에 대한 그로테스크한 수식어이고, 전체적으로 보아 적합하기보다는 부적합하다"고 지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식물'이라는 부적절한 어휘가 사랑을 수식하기 위하여 사용된 이유는 시인이 아마도 이 연의 마지막 단어인 'slow'를 사용하고 싶어서 였을 것이다. 시인은 그들에게 충분한 시간이 있다면 유대인이 돌아올 때까지 기다리는 매우 슬로우한 사랑을 할 용의가 있음을 말하고자 한다. 이 'slow'와 각운 하는 것은 'grow'이다. 시인은 운율을 고려하여 'grow'를 사용하기로 결정하고 난 다음에는 이에 걸맞은 주어를 찾아야 했다. 식물이 성장하는 것은 자연스럽다. 필자는 이것이 "내 식물 같은 사랑"이라는, 얼핏 보아 별로 어울리지 않는 표현이 시인의 뇌리에 떠오른 이유라고 추측한다. 그런데 써 놓고 보니 다행히도 "내 식물 같은 사랑"은 그 문맥상 육체적 사랑이 결핍된 사랑을 묘사하는 기발한 표현이었다. 시간적으로는 태초부터 종말까지, 공간적으로는 인도의 갠지스강에서 영국의 훔버강에 걸쳐 자라나는 이 제국보다 거대한 사랑의 이미지는 우리의 감수성을 압도한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식물 인간 human vegetable이라는 말에서처럼, 식물과 같은 사랑은 생명력의 고갈을 의미한다. 살아 있는 인간이라면 아무도 이 위대한 사랑을 원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것을 이 시의 화자는 암시한다. 육체적 결합이 배제된 사랑은 거대하거나 위대하다. 그러나 이 플라토닉한 사랑이 꼭 바람직한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왜냐하면 이 사랑은 식물 인간의 그것처럼 생명이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정신적 사랑의 우월성은 "식물과 같은 사랑"이 함축하는 의미에 의하여 심각하게 제한되고 유보된다. 그렇다고 이 시가 육체적 사랑을 전폭적으로 긍정하는 것도 아니다. 그는 시간이 한정되지 않는다는 조건 속에서는, 육체적 탐닉이 배제된 사랑이 위대한 것이라고 묘사한 것이다. 그리고 이 시의 마지막 연에 나오는 시간에 대한 명상은 쾌락을 추구하는 육체적 사랑을 다시 제한하고 있기도 하다. 그렇다면 이 시는 정신적 사랑과 육체적 사랑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불확정적 의미만을 제시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애당초 부적절하게 보였던 비유를, 운율이나 여타 요소를 고려하여, 할 수 없이 채택하는 과정에서, 시인은 예기치 못했던 탁월한 표현과 새로운 의미와 불확정성에 도달한 것이다.
<자료출처: 17, 18세기 영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