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朝鮮칼럼 The Column
[朝鮮칼럼] 제조업은 세계 최강인데, 서비스업은 왜 바닥인가
박병원 안민정책포럼 이사장·한국비영리조직평가원 이사장
입력 2023.08.18. 03:10
https://www.chosun.com/opinion/chosun_column/2023/08/18/CA7THREWQVFFLDH56RCT5XFGKU/
※ 상기 주소를 클릭하면 조선일보 링크되어 화면을 살짝 올리면 상단 오른쪽에 마이크 표시가 있는데 클릭하면 음성으로 읽어줍니다.
읽어주는 칼럼은 별도 재생기가 있습니다.
짓던 아파트 무너지고 잼버리는 숙식 등 기본서 참사… 국제경쟁 노출 없던 탓
의료·보육·교육·교통·통신 등 무조건 가격규제 능사 아니야
제조업처럼 파격 지원·규제 철폐로 외국인 투자유치 성공시켜야
주차장 무너진 검단 아파트 - 지난 5월 2일 인천 검단신도시 LH 아파트 지하 주차장 붕괴 현장에서 사고조사관이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하중을 지지하는 철근이 누락되면서 발생한 이 사고로 인해 정부는 무량판 구조가 적용된 LH 아파트 91곳을 점검했고, 앞으로 전국의 민간 아파트 293곳도 점검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우리나라 굴지의 건설회사가 짓는 아파트가 붕괴하는 사고가 계속되고 있다. 세계에서 4만5000명의 스카우트를 초대한 새만금 잼버리 대회가 숙식과 건강이라는 기본도 충족하지 못하여 일부 외국 대표단이 철수하는 수모를 겪었다. 우리 의료산업의 역량이 코로나와 같은 팬데믹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에는 턱없이 미흡하다는 것도 확인되었다. 설계, 감리, 행사기획, 의료 등 서비스산업의 역량 강화가 절실하다. 2000년대 들어 모든 정부가 서비스업의 중요성을 강조했지만 실천에 옮기고 성과를 올린 정부는 하나도 없었다는 증거다. 다음 세대를 위한 일자리 만들기와 국제수지 균형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국민의 안전을 위해서도 서비스산업을 이대로 둘 수 없다.
별로 어려울 것도 없다. 어차피 다 같이 무에서 출발해서 제조업은 오늘날 세계 최강의 반열에 올라섰는데 농업과 서비스업은 투자유치와 고용창출을 입에 올리기도 쑥스러울 정도로 총체적으로 경쟁력이 없게 된 것은 농업과 서비스업에 종사해 온 우리 국민이 제조업에 종사한 사람들보다 특히 더 지적 능력이 떨어지거나 게으른 사람들이어서 그렇게 된 것이 아니다. 지금부터라도 제조업과 같은 전략, 전술, 정책으로 임하면 농업과 서비스업도 십여 년이면 세계 최강의 반열에 올려 놓을 수 있다.
그 핵심은 국제경쟁에 과감하게 노출시키는 것이다. 제조업의 경우 처음부터 수출을 해서 외화를 벌어들이지 못하면 사람 취급도 안 했고, 70년대 후반에 벌써 수입 개방을 통해서 가차 없는 경쟁에 내몬 것이 오늘의 제조업을 만들어냈다.
국제경쟁에 노출되지 않은 대가로 서비스업은 정부의 엄청난 규제와 간섭에 시달리게 된다. 그 핵심이 가격 규제이다. 역대 모든 정부가 다 그랬지만 전 정부는 의료, 보육, 주거, 교육, 통신, 교통 분야에서 가격을 최대한 억제하여 국민의 가처분소득을 늘리면 소득주도성장을 이룰 수 있다고 이론화하기까지 했다. 결과는 여기에 열거된 가장 중요한 서비스업들을 초토화시키는 것으로 끝났다. 여기에 열거되지는 않았지만 금융업도 정권마다 이자, 수수료 삭감을 강요당해 왔다. 이 나라는 음식숙박업, 관광업, 엔터테인먼트 정도의 서비스산업만 진흥할 생각인 모양이다.
서비스업에서의 경쟁 노출은 수입 개방이 아니라 외국인투자 유치를 통해 이루어진다. 서비스업의 임무가 싼 값에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국민을 위해 제공하는 것이라고 믿고 가격을 통제하여 수익성을 제한하고 고급화를 원천 봉쇄해서는 외국인 투자는커녕 국내 기업의 투자도 일으키기 어렵다.
외국인투자 유치는 지식집약적 고부가가치 서비스업일수록 더 절실하다. 제조업은 최신 기술이 기계, 장비에 체화되어 있어서 달러 빚을 얻어서라도 최신 장비를 사 오면 경쟁력이 이전되지만 고급 서비스업의 경우 일감을 따는 능력이 실적, 노하우 등의 형태로 사람과 기업에 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외국인투자 유치 이외의 방법으로는 잘 이전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인천공항, 잠실 롯데타워 같은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세계적인 설계, 감리회사들이 관심을 가지지 않고 아예 한국에 진출하지도 않는다. 우리나라 건설회사들이 저가 발주를 진입장벽 삼아 국내 시장에서 안주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국내 건설, 건축공사 입찰에 세계적 기업들이 참여하고 한국에 지사나 합작투자사라도 두게 만들어야 언젠가 우리도 이런 분야에 세계적인 기업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규제나 처벌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제조업과 같은 수준의 정책적 지원도 해야 한다. 제조업을 위해서는 농지, 임야를 전용해 부지를 조성한 후 도로, 전기, 수도 등 인프라를 완비한 후 싼 값에 분양해 주었지만 호텔이나 리조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서 나라나 지자체가 토지 확보를 도와 준 적은 거의 없다. 관광 인프라 투자도 미미하다. 지금도 파격적인 정부 지원은 반도체, 2차전지, 바이오 등 첨단기술산업에나 주어진다. 민간의 투자가 허용도 되지 않는 병원산업조차도 “민간투자 불가”를 상쇄할 만한 지원을 한 적이 없다. 외국인 노동력 사용 허용과 같은 수많은 부문에서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차별은 이루 열거할 수도 없이 많다. 다 없애야 한다.
정부는 킬러 규제 혁파를 외치고 있지만 그것이 실현되었는지는 외국인투자 유치로만 입증될 수 있다. 아일랜드, 싱가포르, 두바이 등 서비스업 중심의 외국인투자 유치로 부국을 만든 사례가 즐비하다. 제조업만으로 나라를 경영하기는 어렵다.
밥좀도
2023.08.18 05:11:22
제조업이든 서비스업이든 농업이든 과감한 개방과 투자, 지원으로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것만이 살 길이다. 정치가 항상 경제의 발목을 잡는 것이 문제다.
답글작성
54
2
sagong05
2023.08.18 06:04:12
제조업은 중국 등 후발주자들이 벤치마킹하여 곧 따라 붙는다.서비스업 등은 하루아침에 이룩될리도 없고 사회전반의 수준이 따라와 주지 않으면 쉽게 오를 수 없다. 싱가포르,두바이,아일란드등이 진짜 선진국이다.국민의 지적,생활에 밴 수준이 높고 견고한 느낌이다.한국은 선진국 수준에 많이 못 미친다.사회 각 분야를 세계라는 광야에 던져야 한다.살아남아야 세계수준,선진국이라 할 것이다
답글작성
50
0
JMS
2023.08.18 06:24:32
다시 재정비하고 의싸의싸 가자
답글작성
36
0
저녁노을
2023.08.18 06:52:37
경쟁이 없고 지방 토착세력과 이권 카르텔 때문에 경쟁력 없죠. 이게 수준입니다
답글작성
12
0
강력통치
2023.08.18 06:43:37
2023년, 이 칼럼을 쓰기까지 우리나라는 여전히 쇄국의 DNA가 남아있어서 그렇다. 칼럼을 쓴 사람도 모를 것이다. 한국 사람은 영어공부 시간을 많이 할애함에도 불구하고 밖에 나가서 잼버리에 나온 애들한테 영어로 제대로 말 붙힐 사람이 얼마나 될까? 그것만 봐도 알 수 있다. 그러니 써비스 산업의 선진화는 고사하고 제조업에서도 배타적이지 않은가?! 이런 국민적 DNA를 개조하지 않으면 한국은 영원히 갈라파고스화될 수 밖에 없다.
답글작성
10
1
위스콘
2023.08.18 07:17:48
나라의 미래는 기업을 성공덕으로 세워본 리더에게 맞겨야 한다. 과거만 처다보는 무책임한 법조계 언론계 학계 출신들이 이나라를 삼류 사류로 만들고 있습니다.
답글작성
8
0
duvent
2023.08.18 07:21:45
정치좌파들의 발목잡기부터 언급하라...그들이 없어질 때 바로 갈 것이다
답글작성
7
0
황소80
2023.08.18 06:42:49
농업,서비스업,건설업등을 국제경쟁에 노출시킨다? 보나안보나 재명과 그 떨거지들 무슨 노총 이런 자들이 벌떼같이 들고 일어나 국내기반을 붕괴시킨다고 난리를 칠 것이다. 우리나라는 저 좌파집단들을 없애지않고는 절대로 앞으로 나아가지 못한다.
답글작성
7
0
system
2023.08.18 07:54:13
당국의 지원도 필요하지만 서비스업의 열악한 사업환경의 개선도 시급하다. 서비스업은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아 자영업을 포함해 종사하는 기업이 너무 많다. 업종 불문하고 작은 시장을 놓고 과당 경쟁이 벌어지니 살아남기 위해 가격을 내려야 하고 자연히 수익성과 서비스 품질의 저하는 당연한 수순이다. 또한서비스는 공짜라는 그릇된 인식이 남아있어 서비스에 대한 정당한 댓가를 치르는데 대해 인색한 데다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업이나 고객들도 품질보다 가격을 중심으로 선택하는 경향이 강하여 기술내지 품질 중심의 기업이 살아남기 어렵다. 모두가 너무 많은 영세 기업들이 작은 시장에서 이전투구식 과당경쟁을 벌이고 있기 때문에 벌어지는 일이다. 정부의 인위적인 구조조정이 가능할지 모르겠지만 조정없이는 아무리 자금을 퍼부어도 경쟁력을 높이기는 어려울 것이다.
답글작성
5
0
duvent
2023.08.18 07:19:11
항상 정치꾼들이 발목잡는데... 서비스업 바로잡기 힘들 것이다
답글작성
5
0
양사
2023.08.18 06:35:15
이 민족은 먹고 사는 일에 매달려 쟁취하는 데는 도가 튼 상태. 서비스업이던 제조업이던 먹고사는 일에 대한 의욕과 성취 시스템을 갖추어 주는 게 핵심. 제조업 시스템이 없으면 제조 자체가 불가능하고 잘못 만들어 망하지요. 서비스업은 일꾼을 언제던지 구할 수 있다는 자만심. 건설강국 코리아인데 인천붕괴사고 원인. 잼버리는 지역정치가 주 원인.
답글작성
3
0
춘분
2023.08.18 07:28:14
정말로 지혜로운 말씀이다. 윤석열 정부로부터 시작해서 각좃 서비스 산업의 국내시장을 외국 기업들에게도 개방하고 각종 서비스 가격도 시장원리에 맡기는 대전환과 결단이 필요하다.
답글작성
2
0
계산의인
2023.08.18 08:33:54
공무원, 기자. 국회위원 등도 외국인들을 수혈해서 업그레이드해야 서비스업의 발전도 앞당길수 있다.
답글작성
1
0
예안이
2023.08.18 08:32:55
That's what I'm trying to say. You can't just do manufacturing That's why I'm using Samsung Do it all over again. I have to do it again from nothing to euro to nothing They say to deregulate first 나의 사견이다
답글작성
1
0
The Best
2023.08.18 08:30:41
기업의초과이익 떠드는나라에서 지원이 가능할까? 정부는 관리자가아닌 지원부서라는걸 명심해야한다.
답글작성
1
0
SAJIAT
2023.08.18 08:08:36
건설산업의 문제는 광주와 같은 경우에는 지역카르텔의 문제이고 그밖에는 미숙련 외국인노동자의 문제이다.
답글작성
0
0
이은주82
2023.08.18 07:59:50
로드맴을맹글어서~ 더이상국산품애용강요말고~~ 시장의흐름대로. 시골토지도 규제하려면 나라에서매입해서하고~~
답글작성
0
0
경북애국보수
2023.08.18 06:45:29
언제적 제조업 얘기인가? 1호 영업사원이 철치면서 제조업 창고에 재고가 쌓여 이제 공장문 닫아야 할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