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집에 저장된 꿀을 여러층을 올리고 간격을 두므로 오래동안 꿀벌이 만들고 숙성 시킨 꿀 . 옥천 참나무장작님은 한층에 6장이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사진 참나무장작님 )
12월의 관리 : 가만히 두는 것이 좋습니다. 세계적 명품꿀 도전
꿀벌은 겨울에는 춥고 눈이 많이 내리면 좋다고 합니다. 눈이 벌통에 쌓이면 벌통 속은 에스키모의 이글루 마냥 보온 효과가 있고, 기온의 변화가 적어지기 때문입니다. 지구 온난화와 기상이변으로 요즈음 겨울 날씨는 변화가 많고 예측할 수 없습니다.
어쨌든 겨울을 잘 나고, 꽃놀이하는 봄벌의 윙윙윙 힘찬 날개짓 소리를 듣고 싶은 것이 모든 양봉인들의 소망입니다. 강군으로 병충해가 없고 먹이만 풍부하다면 포장이 허술하던, 날씨가 춥던 큰 지장이 없습니다. 다만 겨울에 이상난동현상이 나타날 때가 위험합니다. 몇 가지 겨울나기에 유의할 점이다.
1. 열어보지 마세요
겨울에는 더운 날씨라도 알을 낳거나 애벌레가 없다면 꿀을 많이 먹지는 않습니다.. 겉포장을 두텁게 하고 춥든지 덥든지 가만히 두는 게 상책빈니다. 지난날 왕겨와 짚으로 포장하고는 다음 해 2월 말까지 가끔 나들문으로 철사꼬챙이를 넣어 죽은벌로 막힐까 뚫어주고 그냥둘 때가 겨울나기를 잘했습니다. 스티로폼으로 포장하고부터는 궁금하여 자주 열어보게 되는데 좋지 않은 관리입니다. 지난해는 한 줄은 보온덮개로 덮어씌워 보았습니다. 그대로 둔 줄과 비교해 본 결과 오히려 그냥 둔 것보다 좋지 않았습니다. 환기가 잘되게 하는 것이 좋다는 결론을 얻었습니다.
겨울은 좀 추워야 겨울나기를 잘하고 눈이 많은 해는 겨울나기 성적이 더 좋습니다. 온도 차이를 적게 하고 안정이 제일입니다. 가만히 두어도 먹이가 넉넉하고 병충해만 없다면 겨울을 잘 나게 됩니다.
6개월 이상 겨울을 나는 러시아의 벌통{외국 자료}
2. 겨울 도둑벌의 방지
밀원이 없는 때에 기온이 높으면 도둑벌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벌나들문을 좁혀서 도둑벌을 예방합니다. 따뜻한 날 벌이 활동하면 도둑벌이 되기도 쉬우며, 겨울철에 발생한 도둑벌은 처리하기도 힘듭니다. 그대로 두면 도둑 당한 벌은 굶어 죽게 됩니다. 보온덮개를 벌통에 앞가림하여 보름정도 드나드는 것을 막아주면 도둑벌을 막을 수 있습니다.
3. 프로폴리스를 쉽게 떠는 방법
모기장을 비빌 필요가 없고, 5장정도 둘둘 말아서 옛날 다디미질 하듯 방망이로 두들기면 된다는군요. 추운 날에 프로폴리스가 엉겨 붙은 모기장 5장을 둘둘 말아서 빨래방망이로 둥둥 두드려서 툴툴 털어 보았습니다. 우수수 떨어지는 프폴가루!
4. 고무줄 청진기로 진단해봅니다
길고 추운 겨울, 벌들이 살았는지, 죽었는지 궁금하여 견딜 수 없을 때가 있습니다. 괜시리 벌통 앞에 가서 궁금한 나머지 벌통을 두드려 벌들이 나들문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보아야 직성이 풀립니다. 심지어 열어보기도 하지로 벌뭉치가 되어 고요히 겨울을 나는 벌들에게는 백해무익한 일입니다. 이 때는 대롱처럼 된 고무줄 청진기를 나들문으로 고이 집어넣고 한쪽 끝을 귀에 꽂으면 살아 있는 벌들의 소리가 들립니다. 세~셰~셰~셰~~~~ (나 살아 있어요!)
겨울철 관리
저는 겨울나기에는 스티로폼 포장을 하고 별 신경을 쓰지 않고 있지만 올해는 한 줄 50통은 보온 덮개를 늘여뜨려 나들문 앞을 가려보았다. 나들문을 노출시켜 그대로 둔 것과 비교해볼 생각이다. 벌나들문 앞을 보온 덮개로 덮어둔 경우에는 강추위가 오기 전에 맑고 따뜻한 날을 택하여 덮개를 열어 탈분(脫糞)을 시켜두는 것이 좋다. 한겨울이라도 보름에 한번 적어도 한달에 한번은 충분히 탈분 시킨다. 따뜻한 날을 골라 탈분을 시키며, 벌나들문 안에 죽은 벌을 ㄱ자 철선으로 끌어내어 환기가 잘 되도록 해주는 것이 좋다. 농한기라 할 수 있는 겨울 동안에 벌집틀 벌통 등의 양봉 기구를 준비해 다가오는 유밀기에 대비해 두는 것이 좋다.
벌지기의 교양과 기술 서적을 탐독할 시기
또한 이 기간 동안 참고 문헌을 숙독해 양봉의 이론을 다져 둘 때입니다.
사람이 늙으면 아집과 고집에 사로잡히기 쉬운데, 요사이 인터넷에서 좋은 정보 많이 얻고 있습니다. 유투브 동영상으로도 좋은 정보와 관리법을 배울 수 있어 초보자에겐 매우좋습니다만 시간 낭비와 창조적 생각을 머물게 하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글과 사진과 그림으로 남겨두는 것이 제가 할일로 생각합니다.
벌지기에게는 교양과 인격도 필요합니다. 더불어 사는 세상에서 남과 어울리고 대화할 줄도 알아야 하고, 교양과 인격을 쌓고 사회에 봉사함으로서 사회에서 존경받는 일이 중요합니다.
나만 옳고 내것만이 최고라는 태도는 발전을 가로 막는 일입니다.
꿀벌처럼 서로 도우며 사는 이상적인 인간사회 건설을 우리는 꿀벌에게서 배우고 있습니다.
참고자료 세계적인 명품꿀에 도전하는 우리 꿀
벌집 뚜껑에 자연 적으로 저장 된 꿀을 뚜껑 높이를 높이고 생산해보며 자연숙성 명품꿀을 생산해 보고자합니다.
양봉에 최적의 자연조건과 헛개나무를 비롯하여 최고의 꿀샘식물이 있는 우리나라입니다.
우리나라에는 3km이내에 축사도 있고 과수원과 경작지도 많지만 꿀벌 관리에서는 항생제와 화학 약품 살충제를 쓰지 않는 관리를 모색해왔습니다.
그동안의 경험과 기술로 세계 최고의 명품꿀 생산에 도전해 보고자 합니다.
자연숙성꿀의 진가를 아는 사람들과 특히 꿀을 좋아하는 중동인들이 두바이와 아부다비에서 명품꿀로 인정하는 대한민국 꿀을 생산하고자 합니다.
강군을 분봉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므로 아까시꿀 늦게 들어온 꿀부터 8월 초순까지 온갖 꽃꿀을 모아 전화된 꿀벌이 만든 꿀입니다.
그 동안 공개하며 회원의 의견을 들으며 관리해왔습니다만 지금까지의 관리법을 요약합니다.
1. 희생군 채밀군 숙성군 관리: 올해는 벚꽃꿀도 들어왔습니다만 구분해 뜨지 못하고 아까시꽃이 피기 전에 남은 먹이장을 희생군과 짝짓기통으로 옮겼습니다.
2. 쉬는 공간: 벌통 높이를 높이거나 벌집 7장을 넣어 벌이 벌통 안에서 쉬게 합니다. 옥천 오과영님은 6장 넣으니 더 일하기 좋고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3. 간격법: 벌집 사이 간격을 넓혀서 꿀이 많이 저장되고 자유롭게 다니게 합니다.
4. 수벌집 짓기: 4월 말부터 응애를 생태공학적으로 유인하여 없애고 분봉열도 방지합니다.
5. 일벌의 보충:숙성군에 벌이 약하다 싶으면 희생군에서 벌을 털어 보충합니다.
6. 마이트아웃 처리: 무더운 날 개미산 처리는 위험이 따르므로 친환경 처리제 마이트아웃 처리합니다.
7. 꿀장 6장 :덧통에 두니 일하기 더 편리했습니다. (참나무장작님 방법)
8. 꿀 뜨기 : 장마 전에 충분히 숙성된 꿀을 뜨고 늦게 들어온 꿀은 덧통에 두었다가 토종꿀처럼 떠도 되고 겨울에 따뜻한 공간에서 떠도 됩니다.
2층부터 5층에 두었던 꿀장입니다. 대부분 덮개를 덮었지만 덜 덮은 꿀장도 있습니다.
간격을 좁혔으면 모두 덮었을 것입니다.
과제
1. 이 꿀의 이름을 붙이고자 합니다.
2. 1층은 서랍식으로 개조하고자 합니다.
첫댓글 경험 글 계절별 관리 감사합니다 ^^
우리나라는 가장 좋은 양봉의 조건을 갖고 있는데 아쉬운 일이 많습니다.
새롭게 고쳐 쓰는데 부족이 많습니다.
따가운 지적 주시길 바랍니다.
선생님 자세하신 글월 항상 감사합니다.
18미리 나무통은 외부보온 해야하기에 스치벌통으로 겨울 나는데
습기(환기) 조절이 어려웠습니다.
금년엔 뒷편 한쪽 모서리 부분 개포를 조금 접어주니 현재까지 습기는 없는듯 합니다.
그 위에 보온덮게 1장만 올려주는게 좋을지 질의드립니다
많은 분들이 온도변화가 적은 수지벌통을 사용합니다.
외국 자료에도 덮개는 투습 즉 습기를 통과시키는 자료를 사용합니다.
모서리를 접는 것은 좋다고 생각합니다.
겨울에는 좀 추운 것이 좋다고 하지만 온도 변화를 작게 하는 보온덮게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겨울에 비닐 덮개는 금물이며 따뜻하여 산란이 나가면 더 좋지 않습니다.
@한결 (예천) 가르침 감사드립니다
여왕은 무심소비 왕롱에 가두어 보았습니다.
그동안 비닐덮게 하니 습이 너무 많이생겼습니다.
보온덮게 1개만 올려주고 우수에 벌깨우면서
보온덮게 1장더 올려 줄까합니다
@완숙꿀(서천) 무심소비 왕롱은 처음 대하는 말입니다.
무심은 정읍의 무심님인가요?
@한결 (예천) 정읍 "무심"님 입니다
@완숙꿀(서천) 무심 회장님!
제게 알리지도 않고!!!
무심 왕롱이 궁금합니다.
사진으로 먼저 보고싶습니다.
@한결 (예천) 선생님 제가 컴맹이라 사진 올릴줄 모릅니다.
크기는 격리판정도이고 왕 가두는 구멍은 양쪽에 있고
왕 풀어줄때는 왕완을 좌 우판을 분리시키는 구조입니다
내일 무심님께 연락드려 사진 부탁드리겠습니다
응애처리를 철저히 했는데 월동포장을 할려고 열어보니 벌통이 허전하다는 전화가 왔습니다
응애와 응애가 옮기는 바이러스가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회원들의 진단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바이러스에 촛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개미산 단기처리를 하면 바이러스도 방제가 되는지요?
궁금합니다. 9월에 개미산2회 11월에 옥살산 흘림처리만으로 병충해 방제를 했는데 벌통안은 깨꿋하고
월동을 잘하고 있습니다.
@두동지벤(울산) 네, 축하드립니다.
개미산 구입 후 바로 사용하셨나 봅니다.
개미산이 백묵병 노제마 부저병에도 효과 있고 바이러스에도 효과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호과 없다는 사람도 있습니다. 개미산의 휴효기간은 1년입니다.
지금은 꿀벌의 비상사태입니다.
바이러스는 감염도 잘 되니 방제소독은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꼬집어주시면 더 고맙겠습니다.
12월 맞나요?" 8일 낮 최고 22도
12. 11. 전국 장대비 예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