펠로폰네소스전쟁 (Peloponnesian War BC 431~404)
BC 431∼BC 404년 아테네와 스파르타가 각각 자기 편 동맹시(同盟市)들을 거느리고 싸운 전쟁. 스파르타의 승리로 끝났으나, 고대 그리스 쇠망의 원인(遠因)이 되었다. 델로스동맹을 지배하는 아테네가 횡포를 부려 제시(諸市)의 자치를 범하고 위협한 때문이며, 또한 스파르타가 아테네의 번영을 시기하고 두려워한 때문이었다. 그러나 직접적인 원인은 케르키라(코르푸섬)와 코린토스의 싸움에 아테네가 끼어든 데 있었다. 상업무역으로 번영을 누리고 있던 코린토스는 아테네의 해상진출에 위협을 느끼고 있었다. 그런데 케르키라와 코린토스의 싸움에 아테네가 케르키라의 편을 들어(BC 433) 양자의 관계는 험악해졌다. 이 밖에도 메가라 등 아테네에 불만을 품고 있는 도시들이 있었다. 코린토스·메가라 등은 펠로폰네소스 동맹회의를 열고 아테네와의 전쟁을 결의, 스파르타를 부추겨 개전(開戰)하게 하였다. 전쟁은 개전 후 얼마되지 않아 아테네에 페스트가 유행하여 많은 인명을 빼았고 페리클레스도 이때 병사하였다. 이후 시칠리아 원정에서 패하고, BC 405년 아이고스포타미전투에서도 패하였다. 또한 델로스 동맹도시들은 점차 아테네로부터 떨어져 나가 아테네는 식량난으로 시달렸다. 아테네는 갈수록 불리하게 되어 BC 404년 마침내 스파르타에 항복하고 말았다. 아테네는 함대를 스파르타에 인도하고 장성(長城)을 헐었으며, 델로스동맹을 해산하게 되었다.
고대 그리스 도시국가의 양대 세력인 아테네와 스파르타가 서로 패권을 다툰 전쟁.
아테네와 스파르타는 제각기 동맹을 이끌었는데, 이 두 동맹에는 그리스의 도시국가들이 거의 포함되어 있었다. 전쟁은 사실상 그리스 세계 전체를 휩쓸었고, 동시대의 역사가 투키디데스는 이 전쟁을 그때까지 벌어진 전쟁 가운데 가장 중요한 전쟁으로 보았다. 펠로폰네소스 전쟁에 대한 투키디데스의 기록은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역사서의 하나로 꼽힌다.
아테네 동맹은 사실상 에게 해 북해안·동해안 주변에 있는 섬나라와 연안국가를 대부분 포함하는 하나의 제국이었다.스파르타는 펠로폰네소스 반도와 그리스 중부 내륙지방에 있는 대부분의 주요강국을 비롯해 해양 강국인 코린트를 포함하는 독립국가동맹의 지도자였다. 따라서 해군은 아테네 쪽이 강했고 육군은 스파르타 쪽이 강했다. 아테네인들은 제국 각지에서 정기적으로 바치는 공물로 막대한 전쟁자금을 비축했기 때문에, 재정적으로 적들보다 훨씬 나은 대비 태세를 갖추고 있었다.
아테네와 스파르타는 펠로폰네소스 대전이 일어나기 전에도 서로 싸웠지만(이것을 제1차 펠로폰네소스 전쟁이라고도 함), BC 445년 이른바 30년조약이라는 휴전협정을 맺었다. 그후 몇 년 동안 불안한 평화가 유지되다가 BC 433년에 양측을 다시 적대행위로 몰아넣은 사건이 일어났다. 아테네가 전략적 요충에 위치한 코르키라(코린트의 식민지)와 동맹을 맺은 것이다. 그결과 싸움이 벌어졌고 아테네는 30년조약을 명백히 위반하는 조치를 취했다. 스파르타와 그 동맹국들은 아테네의 침략 행위를 비난하고 전쟁을 일으키겠다고 위협했다.
아테네의 실력자인 페리클레스의 선동에 따라, 아테네는 양보를 거부했고 분쟁 해결을 위한 외교적 노력도 모두 실패로 끝났다. 마침내 BC 431년 봄, 스파르타의 동맹국인 테베가 아테네의 동맹국인 플라타이아이를 공격함으로써 전쟁이 다시 시작되었다. 이 전쟁은 6년 동안의 중간 휴전기를 경계로 하여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눌 수 있다. 10년 동안 지속된 전반기는 아르키다모스가 이끄는 스파르타 동맹군이 아티카를 침공한 것으로 시작되었다. 페리클레스는 우세한 동맹군과 싸우기를 거부하고, 아테네 시를 굳게 수비하면서 우세한 해군력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적의 해안과 선박을 집요하게 공격하라고 아테네인들을 부추겼다. 그러나 몇 개월도 채 지나기 전에 페리클레스는 아테네 시를 휩쓴 전염병으로 죽었다. 민간인만이 아니라 군인의 대다수도 전염병에 희생되었다. 투키디
데스는 전염병의 공격을 견디고 살아남아, 이 전염병이 아테네인의 사기에 미친 영향을 생생하게 기록했다. 한편 스파르타군은 그리스 서부에 있는 아테네의 기지들을 공격했지만 격퇴당했으며(BC 430~429) 바다에서도 패배했다.
BC 428년 그들은 아테네의 속국으로서 반란 계획을 좌절시키고, 레스보스 섬의 수도인 미틸레네를 장악했다. 선동가 클레온의 부추김을 받은 아테네인들은 미틸레네 시의 남자들을 학살하고 나머지 사람들은 모두 노예로 만들기로 의결했지만, 이튿날에는 마음을 돌려 반란 지도자들만 처형했다.아테네에 전염병이 만연하는 동안 스파르타가 주도한 공격은 BC 427년에 전략 요충지인 플라타이아이 시를 점령한 것을 제외하고 모두 실패로 끝났다.
그후 몇 년 동안은 아테네인들이 공세를 취했다. 그들은 시칠리아의 도시 시라쿠사를 공격하고, 그리스 서부와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원정했다. BC 425년 스파르타의 상황은 암담해졌고 스파르타인들은 평화조약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델리움 전투의 영웅 브라시다스가 이끄는 스파르타군이 BC 424년에 칼키디키에서 중요한 승리를 거두자 아테네 속국들은 잇따라 반란을 일으켰다. BC 422년 암피폴리스에서 벌어진 결전에서 브라시다스와 아테네의 지도자 클레온이 모두 전사했다.
덕분에 클레온의 경쟁자인 니키아스가 평화조약을 맺자는 스파르타의 제안을 받아들이자고 아테네인들을 설득할 수 있는 무대가 마련되었다.
니키아스 평화조약은 BC 421년부터 6년 동안 지속되었다. 이 시기에 각 도시는 작은 도시국가들을 자기 편으로 끌어들이려고 애썼는데, 그 수단은 외교적 책략에서 소규모 군사작전으로 차츰 바뀌었다. 이 불안정한 평화는 BC 415년에 아테네군이 시칠리아 섬에 대공세를 퍼부어 결국 깨지고 말았다. 그후 11년의 기간이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후반기를 이룬다.
결정적인 사건은 아테네군이 시칠리아에서 당한 재난이었다. 시라쿠사는 스파르타군의 도움을 얻어 아테네의 봉쇄를 뚫을 수 있었다. 아테네군은 BC 413년에 증원된 뒤에도 다시 패배했다. 해군마저 참패를 당한 직후, 아테네군은 후퇴하다가 거의 전멸하고 말았다. BC 411년경에는 아테네 자체가 정치적 혼란에 빠지게 되었다. 민주주의는 과두정치 지배자들에게 전복되었고, 과두 정치체제는 좀더 온건한 500인 정권으로 바뀌었다. BC 411년말에 재건된 아테네 해군은 몇 차례의 승리로 기력을 되찾아, 민주정치를 회복하려고 애썼다. 그러나 민주정치 지도자들은 스파르타의 평화제의를 거부했고, 바다에서는 전쟁이 계속되었다. 스파르타 함대와 아테네 함대는 승리를 얻기 위해 값비싼 대가를 치러야 했다. 이 끝없는 전쟁이 결말난 것은 BC 405년이었다.
아테네 해군이 아이고스포타미에서 페르시아의 도움을 받은 스파르타 해군에 참패를 당한 것이다. 이듬해 아테네는 스파르타군의 봉쇄를 뚫지 못하고 굶주림에 시달리다가 조건부로 항복했다. 이로써 문화적으로 가장 진보한 그리스 도시국가는 마침내 쇠퇴하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