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량을 정화하는 악기 ‘바라(哱囉)’
‘바라(哱囉)’는 사찰에서 법회나 불교 의식무인 바라춤을 출 때
쓰는 금속 불구(佛具)의 하나다.
도량 청정하게 정화하는 악기로 자바라, 발자(鉢子), 제금(提金)이라고도 한다.
바라는 그 크기에 따라 자바라, 요발(鐃鈸), 동발(銅鈸), 향발(響鈸) 등이 있으며
행사 내용에 따라 쓰임새도 다르다.
전체적인 형태가 심벌즈 혹은 갓과 비슷한 타악기의 일종으로,
두개의 얇고 둥근 놋쇠판으로 만든 평평한 접시 모양 원반이다.
각각 그 중앙 움푹 들어간 부분에 구멍을 내고 끈을 달아서
좌우 손에 한 개씩 들고 서로 비벼 치면서 소리를 내는 것이다.
백장청규(百丈淸規)에 따르면, 불전에 향을 올릴 때라든지
설법을 하거나 큰 집회를 행할 때,
그리고 장례의식을 하거나 새로운 주지를 맞아들이는 불교의식 때
수행자가 울렸다고 한다.
법당 앞 불전에서 재를 올릴 때 불교의식 무용의 하나인 ‘바라춤’은
양손에 바라를 들고 모든 악귀를 물리치고 도량을 청정하게 정화하는 춤이다.
바라춤에는 천수(千手)바라, 명(鳴)바라, 사다라니(四茶羅尼)바라,
관욕게(灌浴偈)바라, 막바라(보통 바라), 내림게(來臨偈)바라 등 6종류가 있다.
바라 악기가 쓰이기 시작한 때는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고려도경 高麗圖經》에 그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고려 이전으로 추측된다.
바라는 지금도 장구, 용고(龍鼓), 징, 태평소, 나발 등과 함께
행진곡풍의 대취타 연주에 사용된다.
불교에서는 의식무, 범패, 무악 등에 쓰인다.
<법보신문>
[출처] 도량을 정화하는 악기 ‘바라(哱囉)’|작성자 일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