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은 아니지만... 이번주면 패치가 될거라는 소식이..있어서... 도움이 될까 (말까?) 해서..ㅎㅎ
아래 소스들은 타사이트에서 이미 패치 해놓은 것이에요.
아..밝혀야 하나..음.. 전 대한생명에서 가져왔어요. 암튼~ 설명해볼께요..
[ object 및 embed 태그가 있는 파일 ]
빨간글씨를 잘 보시고 수정하세요.
<object>
<embed src="***.swf" quality="high" bgcolor="#ffffff" wmode="transparent" width="530" height="140" name="ad" align="middle" allowScriptAccess="sameDomain"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pluginspage="http://www.macromedia.com/go/getflashplayer" />
</object>
이런 소스가 있다면 아래와 같이 바꿔 줍니다.
<script>loadFlash('***.swf',530,140,'');</script>
→ <script>loadFlash('플래시파일경로',width값,height값,'구분명');</script>
구분명을 굳이 쓰실 필요는 없지만 플래시마다 소스가 틀리다면 쓰세요.
그리고 loadFlash() 함수가 있는 파일을 불러와야 겠죠.
<script language="xxJavaScript" src="loadFlash.js" type="text/xxjavascript"></script>
→ <script language="xxJavaScript" src="JS파일경로" type="text/xxjavascript"></script>
(엥..자꾸만 xxjavascript 앞에 xx가 붙네요. =.= 이건 지워주세요..)
이 소스는 플래시가 사용된 페이지에 모두 넣어야 해요.
(만약 공통으로 쓰는 부분을 인클루드해서 사용한다면 인클루드되는 파일에 붙여 넣어도 되겠죠. ^^)
[ loadFlash.js ] 이 파일은 수정없이 그대로 사용하셔도 되요. 로고부분 빼고..ㅋ
<!--
//loadFlashjs
function loadFlash(fname,w,h,gubun) {
var oStr = "";
switch(gubun) {
case "logo": → 예로 로고 플래시를 불러올 때
oStr = "<Object classid=clsid:d27cdb6e-ae6d-11cf-96b8-444553540000 "
oStr += " codebase=http://fpdownload.macromedia.com/pub/shockwave/cabs/flash/swflash.cab#version=7,0,0,0 "
oStr += " width="+w+" height="+h+" align=middle>"
oStr += " <Param name=allowScriptAccess value=sameDomain />"
oStr += " <Param name=movie value="+fname+" />"
oStr += " <Param name=quality value=best />"
oStr += " <Param name=wmode value=transparent />"
oStr += " <Param name=bgcolor value=#ffffff />"
oStr += " <Embed src="+fname+" width="+w+" height="+h+" name=index align=middle allowScriptAccess=sameDomain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pluginspage=http://www.macromedia.com/go/getflashplayer />"
oStr += "</Object>"
break;
default: → 구분명을 쓰지 않았을 경우엔 기본적으로 이 부분이 쓰입니다.
oStr = "<Embed src='"+fname+"'+ quality=high width="+w+" height="+h
oStr += " pluginspage=http://www.macromedia.com/go/getflashplayer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Embed>"
break;
}
document.write(oStr);
}
-->
===================================================================================
아... 설명이 잘 이해가 가실란가요..
LoadFlash.js 이 파일은 고치지 않으셔도 되요. 그대로 사용하시고 로고 부분처럼
태그가 다를 경우엔 추가해서 써주시면 되구요.
프로그래머가 있으시면 그 분께 부탁하셔도 되구요. 저 같은 경우는 프로그래머가 저한테... 하라는..ㅎ
그래서 이래저래 찾아보다 다른 사이트 소스를 퍼왔네요. 괜찮을까 몰라요..ㅜ.ㅜ
익스플로어를 미리 패치해서 해봤는데 소스 바꾸기 전에는 플래시부분에 마우스를 대면 외곽선이 나오고 한번 클릭을 해줘야 플래시가 제대로 작동을 하더군요. 소스 바꾼 담에는 그런 현상이 없어졌어요.
테스트로 해보세요~
첫댓글 ㅡ.ㅜ 저 지금 플래시의 새로운 구현방법 어찌하는지 질문하러 들어왔는데 ㅡㅜ..너무 어려워요.
아..그런가요...음음...예로 파일을 올려드릴께요. ^^;; 위에 소스 보시면 빨간 부분만 고치셔도 되는데..
그럼...파란 글씨 부분은 무엇인지.ㅡㅜ...☞☜
이걸 꼭 고쳐야되는건가요? 아직은 잘 돌아가던데...머징 ㅠㅠ 모르겠당
ㅋㄱ..딸기님 파란 글씨요? 밑에 JS파일 말씀하시는거죠..그건 그냥 알아보시게 표기해놓은 것 뿐..그건 변수..ㅎㅎ 김창수님// 아직 패치가 안되서 잘 돌아가지만 개발자 테스트용으로 나온 패치를 깔아보시면 알겁니다. 위에 설명했듯이 플래시 주변에 이미지 보더 준것처럼 외곽선이 나오고,
플래시를 한번 클릭해줘야 작동이 제대로 되요. 플래시에 마우스를 대면 이런 문구가 나와요. ' 이 컨트롤을 활성화하고 사용하려면 클릭하십시오. ' ㅡ.ㅡ
저희는 프로그래머분이 쉽게 해주셔서 금방고쳤ㄴㄴ데.js보면 막막하다는;
정말 바꼈군요...제가 고쳐야되는데...난감하네요...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