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지시간 12월 22일 오전부터 엘히에로섬의 남동부지점에서 지진떼가 발생중입니다..
현재까지 약 120회의 지진(규모 1.8이상)이 발생중에 있으며,
진앙지깊이는 15km 내외입니다..

오늘새벽 1시 45분경(한국시간) 미동부지역 대서양에서 규모 5.2(최초 6.0)의 강진이 발생합니다..
이것때문에 떠들썩 합니다..
위 엘히에로섬과 미동부지역의 지진을 연관시켜보면..
어제 준초리님께서 올려주신 22일 지구위협 소행성이 지난 지점과 연결이 됩니다..

대서양 쓰나미설이 괜히 나오는게 아닌것 같네요..

현지시간 12월 19일 아이슨관측캠페인 사이트의 과학자 한분이 아이슨에 대한 전망을 내놓습니다..
지금껏 너무 조용했던(자료를 공개하지 않았던)것에 대한 사과를 하며,
아이슨은 아무것도 아니다...걱정하지 말라고 합니다..
누구의 말처럼 "날 믿어달라..한달치월급 건다.." 이렇게 얘기하면서 그 근거로
1.아이슨의 파편은 매우 작은것들이다..모래알갱이와 같다..모래알갱이가 대기권에 부딪치면
어떻게 되느냐??
2.우주공간은 매우 크다..그래서 혜성의 꼬리가 크게 확장되는것 아니냐?
서울에서 김서방 찾기다..비하인드 이미지에서 봤던 더브리는 그냥 먼지덩어리일 뿐이다..
아주 작은 입자들인데 왜 신경쓰냐??
답이 안되었으면 세번째..
3.지구에 혜성의 꼬리(파편,더브리)가 찾아온적이 언제였느냐? 몇세기 흘렀냐?
지난주(12월 14일을 말합니다..)에도 제미니드 유성우가 찾아오지 않았냐?
자주 있는 일이며 위키백과에서 얼마든지 유성우의 전체목록을 찾을수 있다..
걍 접어라..
이런식의 요지를 밝힙니다..
간단하죠? 피해가는 방법이..
그럼 여기에 대한 질문을 간단히 작성해보면
1.태양을 돌아나오는 그 거대한 더브리가 모래알갱이라고? 장난하냐?
(위 이미지 참조)
2.작은입자들의 크기가 16,000,000 km (천육백만km,,,,지구직경의 약 1,250배)의 먼지덩어리가
오는데 그 먼지덩어리에 제법 큰 덩어리도 있을터이며 그냥 먼지덩어리라고 한다 해도
밀도가 높다고 가정하면 그 먼지덩어리를 통과하는 지구가 최소 며칠은 걸릴텐데 온전하겠냐?
3.항상 지구궤도에 뿌려두는 유성우는 있다..그것들은 거의가 단주기혜성들이다..
말그대로 수십년,수백년,수천년동안 지구가 그 파편들을 맞으면서 면역력이 생겼다는 것인데,
아이슨은 니들(나사)에서 말한데로 45억년 된 혜성이라고 하지 않았느냐? 그리고 애초 데이터에는
공전주기가 46만년이라고 하지 않았냐? 오르트구름떼 저너머에서 온넘이 어떤 물질,어떤 쓰레기를
달고 왔을지 모르는데 이걸 믿으라는 소리냐?
여기에 추가하면 역사적으로 대혜성이 지나간 이후에는 전염병이 확산되어 전세계에서
사망자가 많이 발생하였었습니다..
대충 요렇게 반박이 됩니다..
첫댓글 오...나는 누군겨님 며칠 소식이없어 학수고대하며 기다렸읍니다.. 가뭄에 단비내리듯 기다리던 기쁜소식에 감사드리며 .. 벌써 담소식이 궁금해집니다
가뭄에 단비! 동감입니다.
흥미롭군요..
소식 고맙습니다.
귀한소식이네요....